문화체육관광부 주요 정책사업에 대한 사진·글과 영상으로 블로그 등 누리소통망 콘텐츠를 제작하는 대학생기자단입니다.


2006년 정부 중앙부처 최초의 블로그 기자단으로 출범하여, 매년 문화체육관광부의 대표 블로그 <도란도란 문화놀이터>를 포함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네이버 포스트, 트위터, 카카오TV 등을 통해 누리꾼에게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총 1317건 [64/264 쪽]

  • 세계 무대 속 떠오르는 한국 애니메이션 <한국콘텐츠진흥원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지원 사업>

    세계 무대 속 떠오르는 한국 애니메이션 <한국콘텐츠진흥원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지원 사업>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애니메이션 산업의 저변 확대 및 기초 체질 강화를 목적으로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5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원한 탁도연 감독의 <여우소년>은 6월 개최되는 2019 자그레브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 초청됐다. 자그레브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는 캐나다의 ‘오타와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일본의 ‘히로시마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프랑스의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와 더불어 세계 4대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로 꼽힌다. 기자는 탁도연 감독과의 인터뷰를 통해 <여우소년>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제작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봤다. ​
    • 대학생기자 박정현
    • 2019.09.25.
    상세보기
  • 문화재생사업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_ 골목길과 예술의 만남

    문화재생사업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_ 골목길과 예술의 만남

    대전공공미술연구원은 2016년도부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주제로 문화체육관광부의 마을 미술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마을 미술 프로젝트는 일상 공간에 주민들과 예술가들이 함께 예술을 통해 교류하고 서로의 삶의 이야기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문화재생 사업이다. 대전공공미술연구원은 3년 동안 꾸준히 주민들과 예술가들이 교류하면서 그 성과를 최근 기획재정부 시민 참여 과제의 우수성을 인정받아서 우수과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 대학생기자 조재형
    • 2019.09.03.
    상세보기
  • 보기만 해도 혜택이 넘쳐나는 사다리가 있다? <내 삶에 힘이 되는 희망사다리 2019>

    보기만 해도 혜택이 넘쳐나는 사다리가 있다? <내 삶에 힘이 되는 희망사다리 2019>

    보기만 해도 혜택이 넘쳐나는 '사다리'가 있다? 누구나 한 번쯤 자신에게 맞는 정책을 찾아 헤맨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책은 수없이 많고,나에게 딱 맞는 정책과 혜택이 어디 있는 지 찾기 힘든 실정… 가 받을 수 있는 혜택, 어디 없을까? 그런 국민들을 위해 정책과 국민을 연결해주는 사다리가 생겼다! 바로 '내 삶에 힘이 되는 희망사다리 2019'
    • 대학생기자 김지수
    • 2019.09.03.
    상세보기
  • 국제문화교류 관련 정보의 장 <문화로>

    국제문화교류 관련 정보의 장 <문화로>

    국제 정치, 외교 정보는 뉴스만 봐도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에 비해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정보는 얻기 힘들다. 국제문화교류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해외문화홍보원 누리집에 들어가 한국 문화에 관심 갖는 외국인들의 소식을 접할 때면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4월 3일 이런 국제문화 관련 정보를 한 번에 받아볼 수 있는 종합 정보시스템인 문화로 서비스를 구축했다.
    • 대학생기자 유민선
    • 2019.09.03.
    상세보기
  • 해외문화홍보원 <K-POP 아카데미>_ K-POP이 한국 문화 전도사가 되는 순간

    해외문화홍보원 <K-POP 아카데미>_ K-POP이 한국 문화 전도사가 되는 순간

    해외문화홍보원은 문체부 산하 기관으로서 1971년 12월 31일에 문화체육관관부의 예전 이름인 ‘문화공보부’ 소속의 ‘해외공보관’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999년 5월 24일 ‘국정홍보처’가 신설되면서 다시 ‘해외홍보원’으로 개편되었으며, 2008년 이후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해외홍보문화원’으로 개편되어 현재의 조직과 조직명을 유지하고 있다.
    • 대학생기자 이혁준
    • 2019.09.03.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