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서원편
조선시대의 중심 사상 뭐 다 아시죠 바로 성리학입니다. 서원은요, 이 성리학의 가치관, 세계관, 자연관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는 공간인데요.
(자막: 성리학. 서원, 성리학의 가치관, 세계관, 자연관이 가장 잘 반영된 공간)
중국에서 전래된 건 맞습니다. 그런데 이 조선에서 학문적으로 성숙되면서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 성리학 교육기관의 탁월한 증거.
(자막: 조선에서 학문적으로 성숙, 정치와 사회에 큰 영향. 돈암서원, 무성서원, 필암서원, 남계서원, 도산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막: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지정 세계유산으로 등재(2019년))
선비의 품격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한국의 서원은요, 조선시대의 그 성리학 교육 시설로 16 세기 중반부터 17 세기 중반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들에 의해 건립되었습니다.
(자막: 조선 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 한국의 서원, 향촌 지식인 사림)
전국에 걸쳐 분포된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이렇게 아홉 개의 서원이 바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포함된 한국의 서원입니다.
(자막: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연속유산 Serial nomination, 다른 입지 조건에 놓여있으나 동일한 가치를 표상하는 9개 서원이 한국의 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됨)
이 한국의 사원은요 조선시대의 그 교육 및 사회적 활동에서 널리 보편화되었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라는 측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가지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입니다.
(자막: 조선 시대의 교육·사회 활동에서 널리 보편화 되었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
이 서원은요 정말 이 자연 경관과 하나로 어우러지는 그런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자막: 자연경관과 하나로 어우러지는 서원의 입지적 특징)
이런 입지 위에서 이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와 유형적 구조물들이 창조되었는데요.
(자막: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와 유형적 구조물 창조. 병산서원)
이 선원의 건물 구성은요 크게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향 공간,
(자막: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공간, 제향공간)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강학 공간,
(자막: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공간, 강학공간)
인간과 자연이 원만하게 소통하고 자유롭게 공존하는 유식 공간 이렇게 나눠집니다.
(자막: 인간과 자연이 소통하며 공존하는 공간, 유식공간)
이런 공간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 서원의 아주 전형적인 형태를 완성하는데요. 주택, 사원, 정자의 건축 양식이 배합되어서 아주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자막: 주택, 사원, 정자의 건축 양식이 배합되어 독특한 아름다움을 지닌 서원의 건축)
더불어서 이 한국의 서원은요 그 서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구성하는 기록유산과 무형 유산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자막: 서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구성하는 기록유산과 무형유산까지 포함)
서원 거간 인물들이 담긴 전적, 문집, 기문, 목판 이런 것들을 비롯해서,
(자막: 서원을 거쳐 간 인물들이 남긴 전적, 문집, 기문, 목판의 계승)
제향 공간을 구성하는 사후, 위폐, 전사청. 간학 공간을 구성하는 강당, 제사, 도서관 각 건물의 편에 유식 공간을 구성하는 누가, 이런 것들이 아주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죠.
(자막: 제향공간, 강학공간, 유식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과 세부 구성물들이 온전하게 보존. 소수서원)
서원은요 향교하고는 좀 다르게 각 서원에서 각기 다른 선현들을 제사 지내는데요.
(자막: 향교와 달리 각 서원에서 각기 다른 선현들을 제사)
이거는 제사를 지내는 제향 인물을 통해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했기 때문입니다.
(자막: 제사를 지내는 제향 인물을 통해 강한 학문적 계보 형성)
각 서원마다 학문적 계보에 따라 제안하는 인물이 다른 것도 바로 한국의 서원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아주 독특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막: 옥산서원)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선비답게, 명예로운 삶을 살 것을 가르쳤던 서원, 물질적 이익에 얽매인 현대인의 삶 속에서 올바른 정신의 가치를 일깨워주는 맑고 청량한 울림입니다.
(자막: 지조와 절개를 지키며 선비답고 명예로운 삶. 올바른 정신적 가치를 일깨워주는 맑고 청량한 울림 한국의 서원)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KCISA 한국문화정보원
‘한국의 서원’(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건립)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기관의 유형을 대표하는 9개 서원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으로, 한국의 성리학과 연관된 문화적 전통에 대한 탁월한 증거이다.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등 9개 서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중부와 남부 여러 지역에 걸쳐 위치한다.
서원은 중국에서 도입되어 한국의 모든 측면에서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성리학을 널리 보급한 성리학 교육기관으로서 탁월한 증거가 되는 유산이다.
서원의 향촌 지식인들은 학습에 정진할 수 있는 교육체계와 유형적 구조를 만들어냈다. 학습과 배향, 상호교류는 서원의 핵심적인 기능이었으며 이는 건물의 배치에 잘 드러나 있다. 서원은 그 지역 지식인들인 사림이 이끌었으며, 사림의 이해관계에 따라 향촌의 중심으로 발전하고 번성했다.
서원의 위치에 가장 크게 고려되는 요소는 선현과의 연관성이다. 두 번째 요소는 경관으로, 자연감상과 심신단련을 위해 산과 물이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서원에서 누마루 양식의 개방적인 건물은 그러한 경관과의 연결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학자들은 성리학 고전과 문학작품을 공부했으며, 우주를 이해하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했으며, 고인이 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을 배향하고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했다. 나아가 서원에 근거한 다양한 사회정치적 활동을 통해 성리학의 원칙을 널리 보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문화유산적 가치
등재 기준: 세계문화유산기준 (Ⅲ)
- (Ⅲ) ‘한국의 서원’은 성리학과 관련된 한국의 문화적 전통의 탁월한 증거로 그 교육과 사회적 관습은 많은 부분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서원은 중국에서 들어온 성리학이 한국의 여건에 맞게 변형되고 그 결과 그 기능과 배치, 건축적인 면에서 변화를 겪고 토착화되는 역사적 과정에 대한 특출한 증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