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의 재발견이 이루어지는 곳! -서울새활용플라자-
게시일
2018.10.29.
조회수
2389
담당부서
홍보담당관(044-203-2050)
담당자
이성은
 

 쓰레기의 재발견이 이루어지는 곳!

-서울새활용플라자-


요즘 젊은 세대들은 예쁘지만 쓸모없는 물건을 예쁜 쓰레기라고 부른다. 활용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이런 물건들은 곧 진짜 쓰레기가 되곤 한다. 그 쓰레기들, 즉 폐자원을 이용한 예쁜 예술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폐기물이 쓰레기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탈피하고 가치 있는 자원으로 거듭나게끔 하는 공간인 서울새활용플라자다.

 

 

서울새활용플라자

[▲ 서울새활용플라자 ⓒ정혜수]


서울새활용플라자는 2017년 9월 개관하여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폐기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만들고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한다. 폐자원의 공급과 수요를 도맡아 하여 국내에서 새활용 문화가 확산될 수 있게끔 하는 것도 역할 중 하나다. 또한 문화 복합 공간으로 설계되어 시민들에게 전시, 휴식, 교육 등과 같은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 서울의 독특한 관광명소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도영 작가의 ‘내가 1년 동안 버린 1회용품은 얼마나 될까?’. 일회용컵 512개와 비닐봉지420개로 만들었다. 1회용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다.

[▲ 유도영 작가의내가 1년 동안 버린 1회용품은 얼마나 될까?’. 일회용컵 512개와 비닐봉지420개로 만들었다. 1회용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다. ⓒ정혜수]


여기서 드는 의문점이 있을 것이다. ‘새활용(업사이클링 : Upcycling)’이란 무엇인가. 재활용의 오타처럼 보이는 새활용은 재활용의 상위개념이다. 자원을 순환시키는 재활용에서 더 나아가 폐기물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서 활용하는 것이다. 서울새활용플라자에서는 폐기물에 디자인을 더하여 예술로 승화시키고 있다.

 

밀키프로젝트의 ‘Go social’. 우유곽으로 만든 지갑이다. 

[▲밀키프로젝트의 ‘Go social’. 우유곽으로 만든 지갑이다. ⓒ정혜수]

 

작품명 : 공생. 택배박스를 활용한 작품으로 하마와 하마새를 표현하며 지구와 인간도 공생해야함을 표현했다. 

[▲ 작품명 : 공생. 택배박스를 활용한 작품으로 하마와 하마새를 표현하며 지구와 인간도 공생해야함을 표현했다. ⓒ정혜수]


폐기물에서 피어난 예술


우유갑으로 만든 연필꽂이, 헝겊으로 만든 앞치마. 지금 떠올릴 수 있는 예술작품은 학창시절 만들어본 그 정도일 것이다. 하지만 새활용플라자에서는 새활용 예술의 시각을 넓혀준다. 9월 진행된 ‘자동차 해체쇼’와 같은 새로운 시도들이 대표적인 예다. 자동차를 분해하는 쇼, 과정은 공연이 되고 분해된 부품은 새로운 자원이 된다.

 

해체된 자동차 내부를 지나가는 어린이 

[▲ 해체된 자동차 내부를 지나가는 어린이 ⓒ정혜수]


폐자원을 활용한 특별한 전시는 현재 새활용플라자 1층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다. ‘서울새활용전 쓰레기 새로고침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리?展’ 이 12월 30일까지 전시되고 있다. 일반시민, 디자이너, 공예가, 건축가, 예술가 등 다양한 사람이 폐자원을 재탄생시켜 만든 작품들이 전시돼있는데 이 작품들 하나하나가 새활용으로 만들어짐으로써 서울새활용플라자의 목적을 드러내고 전시관을 알뜰하게 채우고 있다.

 

 

서울새활용플라자 1층의 ‘서울새활용전 쓰레기 새로고침’ 전시관 입구

[▲ 서울새활용플라자 1층 ‘서울새활용전 쓰레기 새로고침’ 전시관 입구 ⓒ정혜수]

 

전시관 내부 

[▲ 전시관 내부 ⓒ정혜수]


새활용 복합 문화 공간에서 만나는 다채로운 프로그램


서울새활용플라자에서는 전시 외에도 다양한 활동이 활발하다. ‘새활용아카데미’에서는 새활용 탐방, 교육, 체험, 기업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메이커 괴짜 나무오리기’, ‘커피찌꺼기 점토인형 만들기’ 등 신기한 프로그램들이 새활용을 알리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교육프로그램은 온라인 접수만 하고 있으니 참여하고 싶다면 사전 신청은 필수이다. (접수 주소 http://www.seoulup.or.kr/program.do?type=Education)

 

 

서울새활용플라자 누리집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 서울새활용플라자 누리집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정혜수]


사진에서 보이는 프로그램들의 정보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기사의 하단에 나와있는 누리집을 방문하면 된다. 매주 토요일에 열리는 어린이 새활용 토요장터, 교육프로그램,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꽉 채워져 있는 새활용 공간들에 대한 안내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새활용플라자에 3층에 입주해있는 ‘글라스본’의 작품. 유리병시계 폐유리병을 활용하여 작품을 만든다.

[▲ 서울새활용플라자에 3층에 입주해있는 ‘글라스본’의 작품. 유리병시계 폐유리병을 활용하여 작품을 만든다. ⓒ정혜수]

 

‘글라스본’에서 폐유리병을 활용한 유리공예를 체험하는 시민들 

[▲ ‘글라스본’에서 폐유리병을 활용한 유리공예를 체험하는 시민들. ⓒ정혜수]


서울새활용플라자에서 새로운 체험을 해보세요!


미래 자원 고갈 우리가 직면한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고 하면 어둡고 무거운 느낌이 들 것이다. 하지만 앞서 확인했듯 서울새활용플라자는 밝고 통통 튀는 작품과 생각들로 채워져있다. 그 안에는 새활용에 대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인식을 넓히고 새로운 휴식공간이자 관광명소로 발돋움하려는 노력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있다. 나들이를 가듯 가벼운 마음으로 서울새활용플라자를 방문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함께 해보는 것은 어떨까.


서울새활용플라자 운영시간 : 화요일-일요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매주 월요일, 설날, 추석 당일 휴관

 

문화체육관광부 대학생기자단 울림 13기 정혜수 기자 wjdgptn1004@naver.com 경상대학교 법학과 

 

공공누리 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문화체육관광부 "쓰레기의 재발견이 이루어지는 곳! -서울새활용플라자-"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 방문통계

통계보기

전체댓글(0) 별점 평가 및 댓글 달기를 하시려면 들어가기(로그인) 해 주세요.

  • 비방 · 욕설, 음란한 표현, 상업적인 광고,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및 자료 등에 대한 문의는 각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하여 질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