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

저/역자
김탁환 글, 조위라 그림
출판사
살림어린이
출판일
2011.12.02
총페이지
231쪽
추천자
오은영, 서정숙(동시동화작가, 그림책평론가)

도서안내

우리 민족은 호랑이와 친한 민족이다. 단군신화에 호랑이와 곰이 나오고, 민화에는 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나온다. 한반도를 토끼가 누운 형상이라고도, 호랑이가 누운 형상이라고도 한다. 그뿐이 아니다. 전래동화에도 호랑이가 많이 나온다. 가끔은 어리석게, 가끔은 탐욕스럽게, 가끔은 신선의 충직한 심부름꾼으로. 한반도 어디서나 호랑이들이 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난 100년을 지나면서 한반도에서 호랑이가 사라졌다. 그 사이 나라가 망하고, 일본의 지배를 받고, 전쟁을 거치고, 나라가 두 토막으로 갈라졌다. 혹시 이 땅에서 동물의 왕, 호랑이의 우렁찬 외침이 사라진 탓은 아닐까? 물론 아닐 수도 있다. 어쨌든 한반도에서 호랑이가 멸종된 것은 아쉬운 일이다. 김탁환 작가 역시 숲을 누비고 바위를 뛰어넘는 한국 호랑이가 보고 싶어 이 책을 썼다고 했다. 당연히 주인공은 호랑이이다. 일제 강점기 인왕산에서 태어난 아기 호랑이 왕대는 어느 날 일본인에게 잡혀 창경궁에 있는 동물원에 갇히게 되고, 사육사 보조인 재윤이를 만난다.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지게 되자 동물원 동물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한다. 일본인 사육사들에 의해 모든 동물이 독살당하나 왕대는 재윤이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왕대가 살아서 인왕산까지 갔는지, 가다가 죽었는지 상상하는 것은 독자 몫이다. 분명한 것은 한국 호랑이 멸종이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역사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이런 역사적 사실, 동물의 생태가 작가의 상상력과 함께 잘 버무려져 있다. 생태와 역사를 놓치지 않은 탓인지 이야기 결말이 뻔하고, 구조가 단조로운 면이 있지만 현실 비판 동화가 많은 요즘 멸종된 한국 호랑이를 소재로 희망을 그려준 점은 무척 매력적이다. 우리 역사도 알고 상상력도 키우기에 안성맞춤이다. 한국 호랑이를 전래동화가 아닌 요즘 동화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것도 반가운 일이다. 고학년이 읽기에 좋을 듯하다.

국립중앙도서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문화체육관광부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