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광] 한국 마이스산업 미래 비전과 전략

최종수정일
2024.03.27.
게시일
2024.03.27.
관련링크
[보도자료] 민관이 힘을 모아 케이-마이스 시대 연다
  • 지역과 상생하고 미래로 혁신하는 K-MICE 산업을 열겠습니다. -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조해주세요

    "지역과 상생하고 미래로 혁신하는 K-MICE산업을 열겠습니다."

    K-마이스 3C 전략 ('24-'28)
    유치·개최건수 1,400건 달성
    세계 1위, 점유율 12% 달성
    외국인 참가자 수 130만 명 유치
    외국인 관광객 수 5% 내외 수준
    외화획득액 30억불 달성
    관광수입 약 10% 수준
    전략 1
    Collaboration
    지역과의 상생을 위한 협력
    • 지역 마이스 신규 수요 창출 (지역 시그니처 국제회의 발굴·지원)
    • 지역의 마이스 유치를 위한 유치·개최·역량 강화(마이스 원벨트)
    전략 2
    Convergence
    더 큰 MICE를 위한 융합
    • 다양한 마이스 유형의 창의적 결합 (대형 국제이벤트화 촉진)
    • K-컬처 체험관광 활성화(국가별 맞춤형 K-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전략 3
    Competitiveness
    혁신 지속을 위한 경쟁력
    • 디지털 혁신 대응(디지털 혁신 마이스 프로젝트)
    • 마이스산업 전문인력 육성(예비인력·경력단절자 교육)
    이미지 확대보기
  • MICE산업 미래비전과 전략 주요과제1 지역 시그니처에서 K-마이스까지 성장 단계별 지원 -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조해주세요

    주요 과제 1 MICE산업 미래비전과 전략

    지역 시그니처에서 K-마이스까지 성장 단계별 지원
    발굴과 기획 지원 단계 지역 시그니처 국제회의 지원·육성
    지역 마이스산업 전담조직 대상 지역 전략 산업 국제회의 지원 육성
    지역 국제회의
    원자력산업
    정보통신산업
    조선산업
    기술부품 산업
    성장 및 안정화 지원 단계 유망 국제회의 지원·육성
    개최운영-전략화-홍보 등 국제회의 성장 및 안정화 도모
    유망 국제회의
    개취 운영지원
    전략컨설팅
    해외홍보지원
    글로벌 국제회의 육성 단계 K-국제회의 집중 지원·육성
    K-국제회의

    * 예시: 스위스 다보스 포럼(1971년~), SLUSH 컨퍼런스(2008년~)

    이미지 확대보기
  • MICE산업 미래비전과 전략 |  주요 과제 2 MICE산업 미래비전과 전략 -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조해주세요

    주요 과제 2 MICE산업 미래비전과 전략

    국제회의복합지구 제도 개편
    국제회의산업 사각지대 해소 예비 국제회의지구 도입
    ※ 예비 국제회의지구란? 예비 국제회의 지구: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요건 중 일부 항목이 충족하지 않으나 (외국인 참가자 수, 전문회의 시설 전시면적 등) 국제회의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이 집적화된 강소 국제회의지구
    • 회의시설-예비 국제회의지구 지원
    • 소규모 회의시설
    • 소규모 공연장
    • 소규모 숙박시설
    • 소규모 유통시설
    세계적 수준의 국제회의 시설 집적화 국제회의복합지구 육성
    국제회의복합지구란? 국제회의산업법 제15조의2에 따라 문체부 장관이 승인한 계획에 따라 시도지사가 지정한 지구를 의미함.
    • 컨벤션 센터-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최대면적 400만㎡
    • 전문 회의시설
    • 국제회의집적시설
    국제회의복합지구 시·도 간 광역 협력 마이스 원벨트(ONE-BELT) 구축
    국제회의 광역 원벨트 사업
    활성화 사업 추진
    2개 이상의 국제회의복합지구 연계 (예비 국제회의복합지구 포함)
    A 국제회의 복합지구
    예비
    B 국제회의 복합지구
    예비
    • CVB
    • PCO
    • 지원기관
    • 시설
    이미지 확대보기

문화체육관광부 "한국 마이스산업 미래 비전과 전략"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융합관광산업과 (044-203-2879)

전체댓글 (0) 별점 평가 및 댓글 달기를 하시려면 들어가기(로그인) 해 주세요.

0/1000자

  • 비방 · 욕설, 음란한 표현, 상업적인 광고,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및 자료 등에 대한 문의는 각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하여 질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