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2011년 7월 19일(화)부터 9월 18일(일)까지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특별전을 개최하여 프랑스에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를 처음으로 일반에게 공개합니다. 『풍정도감의궤』등 71점의 외규장각 의궤를 중심으로 전시하되 의궤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위하여 <강화부 궁전도> 등 관련 유물을 함께 배치하여 총 165점의 유물이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그동안 프랑스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의 중요성과 그 내용을 알리고 무엇보다 의궤 귀환의 기쁨을 국민과 함께 하는 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
조선왕조 의궤는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이미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꽃입니다. 조선왕조 내내 의궤는 꾸준히 제작되어 예(禮)를 중시하는 유교문화권의 특징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조선시대의 통치 철학 및 운영체계를 알게 하는 대단히 의미있는 기록물입니다. 특히 이번에 반환된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국왕의 열람을 위해 제작한 어람용(御覽用)이라는 점과 국내외에 한 점밖에 없는 유일본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의궤 연구 및 활용에 있어 중요한 전기를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에서 특히 역점을 둔 것은 관람객들이 의궤의 다양한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영상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 관람객들은 의궤의 구성과 목차, 가례도감의궤나 국장도감의궤에 그려진 장대한 행렬 및 의식에 사용한 물품의 도설을 영상을 통하여 다각도로 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의궤는 조선 왕조의 철저한 기록 정신을 바탕으로 제작된 것으로 이번 전시를 통해 외규장각 의궤의 중요성과 예술적 품격, 오늘의 결과가 있기까지 애쓴 국내외 여러 사람들과 기관의 노고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시작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은 외규장각 의궤에 대한 심도있는 조사와 연구를 실시하고 누구나 쉽게 외규장각 의궤를 접하여 의궤의 풍부한 내용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ㅇ관람시간
화,목,금: 오전 9시-오후 6시
수,토: 오전 9시-오후 9시
일,공휴일: 오전 9시-오후 7시
* 입장은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가능합니다.
*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ㅇ관람료
무료 입장
ㅇ전시설명
화~금: 오전 10, 11시, 오후 2, 3시
토: 오전 10시, 11시
*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ㅇ큐레이터와의 대화
7.20(수)/ 8.17(수)/ 8.31(수)/ 9.14(수): 오후 6시 30분/ 기획전시실
ㅇ특별 강연
일시 7월 22일(금) 오후 2시~5시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
1. 이태진(국사편찬위원장) 외규장각 의궤 귀환의 의의
2. 이성미(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외규장각 의궤의 문화사적 의의
(원고)145년 만에 프랑스에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외규장각 의궤 특별전을 통해 국민들과 만납니다. 현종명성후기례도감의궤 : 1651년 현종이 세바빈,명성황후를 맞이한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외궤. 숙종인현후가례도감도성의궤 : 1631년 숙종이 인현황후를 계비로 맞이한 혼례식 과정을 기록한 의궤.
김영나 관장 : 특별전에 선보이는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국왕이 보기 위해 특별한 정성을 기울여 만든 어람용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하겠씁니다. 외규장각 의궤 특별전은 프랑스에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71점 외에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한연구원 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의궤, 국립고궁박물관 공예품 등 모두 165점의 전시품이 포함되었습니다.
손범수 홍보대사 : 소중한 우리의 기록 문화가 놀라울 정도로 훌륭하게 잘 보존이 되어 있습니다. 국민여러분께서 국립중앙박물관에 오셔서 한번 둘러보시고 우리 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네 고맙습니다.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2011.7.19(화)~9.18(일)/국립중앙박물관 특별선시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