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공연

《준유 : 낯선 중력》
- 분야
- 전시
- 기간
- 2025.09.02.~2025.09.22.
- 시간
- 목요일~화요일(12:00-19:00) *매주 수요일 휴무
- 장소
- 경기 | 소현문
- 요금
- 무료
- 문의
- 소현문 070-8121-4827
- 관련 누리집
- 바로가기
전시소개
서문
사랑의 편지는 어떻게 쓰이는가.
그리고, 왜.
만약 내가 아버지에게—1995년 이후 유령이 되어버린 그에게—사랑의 편지를 쓴다면, 나는 내 안을 깊이 헤아려야 할 것이다. 세밀히 들여다보며, 작은 몸짓이나 웃음, 표정 하나에서 실마리를 찾을 것이다. 닮음의 흔적, 기억의 파편을.
세월이 흐르며 연결은 마모되고, 실루엣은 흐려지고, 얼굴은 하얀 얼룩처럼 사라져갔다. 그러나 이제는 나보다 더 젊어진 그 존재가 여전히 내 안에서 힘겹게 밀고 나온다. 기억을 통해, DNA를 통해. 때로는 내가 지나치게 고집을 부릴 때, 어머니의 눈 속에서도 그는 불현듯 모습을 드러낸다.
사랑에는 가까움이 필요하다. 물질이, 중력이 필요하다.
나는 거울을 들여다보며 기억하려 애쓴다. 내가 어디서 왔는지를.
—
사랑의 편지는 받는 사람보다 쓰는 사람을 더 말해준다. 그를 타인에게 묶어두는 모든 연결을 드러내며, 하나의 닻처럼, 무거운 모루처럼 작동한다.
나는 나를 거쳐 너에게 도달한다.
너를 만진다.
너를 묶는다.
—
무엇이 우리를 부모와 이어주는가.
낯설어지기도 하고, 때로는 적대적으로 변하기도 한 그들과.
사랑일까.
한때 그들이 서로에게 품었던 사랑일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일까.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믿음일까.
그들이 우리에게서 보는 것은 무엇일까.
그들의 분신?
그들의 연속성?
아니면 불멸성일까.
—
만약 네가 아버지의 반대편 얼굴이라면, 그리고 단지 그 대립만이 너희를 이어준다 해도, 어떤 사랑의 편지를 쓸 수 있을까.
‘낯선 존재여.’
너는 반짝이는 표면 아래 그의 손가락 밑에 남아 있던 기름때를 더듬을 것이다.
네 작업의 가벼움 속에서 그의 노동이 지녔던 무거운 중량감을 찾을 것이다.
서로 다른 두 세계.
서로 다른 두 행성.
그러나 같은 별을 도는.
만약 네가 아버지를 다시 만난다면? 유령으로든, 살로든.
만약 시간을 거슬러 맨 처음부터 다시 잇는다면?
그래서 너는 그가 머물던 행성, 곧 그의 정비소에 발을 디뎠다.
예리한 눈으로 그 언어를 해독하고,
먼지 하나까지 낱낱이 들여다보았다.
그곳과 연결되었고, 네가 온 자리가 바로 이곳임을 알게 되었다.
기름 웅덩이가 거울처럼 반사되며.
과거는 우리를 짓누르는 동시에, 내려놓을 때 비로소 날아오르게 한다.
너는 거인의 발자국과 개미의 발걸음이 다르지 않음을 알았다.
무겁게 눌린 공간 속에는 수많은 유령이 깃들어 있음을 알았다.
죽은 자들의 것, 살아 있는 자들의 것,
몇 밀리초 전의 것, 수십 년 전의 것.
그리고 그 흔적을 따라갈 수 있음을 알았다.
그들이 남긴 자취와 그들이 새겨둔 궤적을.
우리는 그들의 손길의 잔여 속에서 다시 손을 더듬을 수 있다.
우리는 어제에도, 내일에도 함께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너는 그에게 한 발자국 다가갔다.
어둡고 낯선 시공간에 나비들을 불러냈다.
반딧불 같은 작은 빛의 형상들을 어둠 속에 피워냈다.
그곳에 너는 하나의 난간을 세웠다. 어디로도 이끌지 않는.
올라가는지도, 내려가는지도 알 수 없는.
그저 길잡이가 되는.
거기 울려 퍼지는 몇 개의 풍경 소리들.
벽에 드리운 그림자.
네 반영.
유령들의 모습.
혹은 우리의 모습.
그리고 마침내, 타원의 여백.
손댈 수 없는 블랙홀처럼.
소용돌이치는 표면처럼.
하얀 공백처럼. 부재와 결여처럼.
너와 그 사이에, 여기와 저기 사이에 놓인 간격.
혹은 하나의 문.
이제 나는 나비의 날갯짓을 지켜본다.
앉음과 날아오름이 동시에 일어나는.
그리고 내가 눈을 깜빡이는 이 순간, 그것이 열림인지 닫힘인지 알 수 없음을 받아들인다.
너는 내 눈을 열어주었다.
(글 알렉산드라 구이으 드 롬, 번역 쥰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