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문화’에 대한 검색결과는 25966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25966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국민과 함께하는 온라인 홍보이벤트 추진 2010-10-26
    • 2002 월드컵 등 감격적인 현대사 사건의 현장을 배경으로 한 국민들의 사진(‘역사현장 인증 샷’ 코너)과 어려운 시절 힘들었지만 희망을 갖고 열심히 살았던 국민들의 감동적인 삶의 이야기와 사진(‘사연이 있는 사진’ 코너)을 응모하여 참여하면 된다. 응모에 참여한 작품들은 심사를 거쳐 경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온라인 이벤트는 대한민국 역사 발전의 주인공인 국민들이 지나간 삶의 소중한 기억을 서로 나누며 고난과 역경을 딛고 오늘의 결실을 맺은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역사에 대한 국민적 자긍심을 공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벤트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캠페인 사이트를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이벤트사이트 주소 : http://event.cocas.co.kr/2010/history/intro/main.asp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광화문에 위치한 문화체육관광부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19세기 조선 개항 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 발전의 역사를 전시하며, 오는 11월 본격 공사에 착수, 2013년 2월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첨부자료 : 이벤트 페이지 이미지(별첨)>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체육관광부, 창경궁 옆 서울과학관 자리로 청사이전 2010-10-26
    • 담당 : 운영지원과 김원우 전화:02)3704-9111 / 팩스:3704-9119 / 이메일:wwkim@korea.kr 문화체육관광부, 창경궁 옆 서울과학관 자리로 청사이전 - 문화부는 24년간의 광화문청사시대를 마감하고, 11월 1일(월)부터 신청사에서 정상업무 시작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국립서울과학관 본관(종로구 와룡동 2-70번지 창경궁 옆)으로 청사를 이전한다. 현 광화문 청사는 1961년 10월 준공되어 1986년 2월까지 내각사무처, 국가재건최고회의, 경제기획원 등에서 사용했고, 문화부는 1986년 3월부터 현재까지 24년 8개월 동안 사용해왔다. 현 문화부 청사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청사를 이전하게 된 문화부는 도심의 비싼 임차청사를 사용하는 방안 대신 지난 3월 교육과학기술부의 협조로 문화부는 국립서울과학관 본관을 사용하고 국립서울과학관은 동 과학관의 특별전시관 및 별관을 사용하는 청사이전 방안이 결정되었다. 문화부는 그 동안 국립서울과학관 본관 리모델링공사를 마치고, 10월 말까지 청사이전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운영지원과 김원우...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컴퓨터 그래픽은 잘하는데 '아바타'는 못만드는 이유는? 2010-10-25
    •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특별시가 지난 1일부터 광화문 광장 해치마당에서 개최하고 있는 서울 G20 기념 ‘대한민국 선진화, 길을 묻다’ 릴레이 강연회가 26일 던지는 화두다. 최재천(57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와 함께 그 답을 찾아본다. □ 그의 강연주제는 ‘혼화(混和)의 시대 - 소통과 통섭’. 최재천 교수는 한국사회가 한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학문간 담을 낮추고 소통'해야 하며, 여러분야의 이론과 지식을 한데 엮어 새로운 설명체계를 만들어 내는 '통섭(統攝, Consilience)'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ㅇ 최 교수는 21세기 기술간 융합시대, 과학기술이 엄청난 폭발력을 갖는 시대로 진단한다. 이어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연과학과 인문학간 소통이 특히 중요하며, 그 소통은 비움과 귀기울임, 그리고 받아들임의 세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ㅇ 그는 또한 "깊이 파려면 넓게 파야 하며, 다 함께 파면 깊이 팔 수 있다"고 강조하며, 혼자서 풀기에는 벅찬 사회문제도 통섭을 통해 함께 해결해가자고 제안한다. □ 강연회에 관심있는 국민은 자유롭게 참여가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고공모전 “상상력을 채워주세요!” 2010-10-25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해외문화홍보원, 한국계 해외언론인 13명 초청 2010-10-25
    • 발전상을 심층 취재하고, 외교안보연구원과 DMZ에서는 한민족이 처한 한반도 상황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 전통공연 관람 등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전통문화가 바탕이 된 품격 있는 문화강국이라는 느낌도 가지게 될 것이다. 방한일정 후반부에 한국계 언론인들은 「해외에서 본 한국 이미지」란 주제로 토론회를 벌인다. 토론회는 아리랑TV와 KTV를 통해 11.9(화) 볼 수 있다. 서강수 해외문화홍보원장은 “현지 유력매체에 근무하는 한국계 언론인들만을 대상으로 초청하는 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한국을 해외에 소개하는 글로벌홍보네트워크 구축에 중요한 촉매로 작용할 것“ 이라고 밝혔다. □ 붙임 : 초청 언론인 명단, 방한 일정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외신홍보팀 한영기 사무관 (☎02-3981-194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언론인 명단(6국 10매체 13명(TV5, 라디오2, 일간1, 주간1, 통신1)) 번호 국 가 매 체 명 성 명/직 책 비고 1 미국 NBC News Jinah Kim/기자 - 여, 38세 ※ 아시안-아메리칸 언론인 협회장(현) TV Darryl Kim/카메라기자 - 남, 39세 2 미국 Fox5...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G20 맞이 한민족 언론인 해외네트워크 구축 2010-10-25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이야기꾼 유홍준의 ‘한국문화 선진화 답사기’ 2010-10-22
    • 바 있다. 최근에는 한국 미술의 대중화를 위해 ‘한국 미술사 강의’를 펴냈다. □ 그의 강연주제는 “한국 건축과 문화의 정체성은 어디에 있는가”. 지금까지 그의 작업은 주로 우리 내부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번 강연은 서울 G20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글로벌한 시각에서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어떻게 볼 수 있을까를 모색하는게 특징이다. ㅇ 먼저 유 교수는 한국이 동아시아 문화사 속에서 당당한 지분율을 갖고 있는 문화적 주주국가라고 강조한다. 또 한국 문화를 빼고 동아시아 문화사를 이야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성과 함께 한국민의 특수성도 함께 갖추고 있는 것이 바로 한국 문화라는 것이다. ㅇ 아울러 유 교수는 건축문화를 중심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국제적인 가치를 평가해보고, 이 시대의 과제로 삼아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점검해볼 예정이다. □ 강연회에 관심있는 국민은 자유롭게 참여가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g20lectures.korea.kr)를 참고하면 된다. 직접 강연장을 찾기 어려운 시민은 KTV와 TBS방송을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KTV와 TBS는 11월2일까지 각각...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전 국민의 ‘e스포츠 축제’ 개막 2010-10-22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선진국의 길, 자본주의의 그늘을 보듬어라 2010-10-21
    • 길은 무엇일까?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특별시가 지난 1일부터 광화문 광장 해치마당에서 개최하고 있는 서울 G20 기념강연 ‘대한민국 선진화, 길을 묻다’ 릴레이 강연회가 22일 던지는 화두다. 양승룡(52세)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와 함께 그 답을 찾아본다. □ 그의 강연주제는 “선진국의 길, 자본주의의 그늘을 보듬어라”. 흔히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큰 건물을 생각한다. 그러나 그 건물이 높아질수록 건물이 드리우는 그늘은 더 깊고 어둡다. ㅇ 양승룡 교수는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그 그늘을 되돌아 보고, 그늘에 가려져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예를 들면 고용의 문제, 불공정한 가격의 문제, 소득 분배의 문제 등이 그것이다. ㅇ 양교수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답으로 상생과 조화의 조직인 협동조합이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하고 제안한다. 협동조합은 공동의 작업, 공동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분야에서 존재할 수 있다고 한다. □ 강연회에 관심있는 국민은 자유롭게 참여가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g20lectures.korea.kr)를 참고하면 된다. 직접 강연장을 찾기...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