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문화’에 대한 검색결과는 25990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25990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13년 상반기 영화 관객 수 9,850만 명, 역대 최다 2013-07-02
    • - 노사정 이행협약 체결, 시나리오 표준계약서 마련, 극장 부율 조정 등 영화산업 동반성장 여건 조성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는 2013년 상반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 결과(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 총 영화 관객 수는 9,850만 명, 한국영화 관객 수는 5,555만 명으로 나타나 양 지표 모두 기존 상반기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ㅇ 상반기 전체 영화 관객은 9,850만 명으로 기존 최고 기록이었던 2012년 8,326만 명을 경신(전년 동기 대비 18.3%, 1,524만 명 증가)하여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한국영화 관객 또한 5,555만 명으로 상반기 기록 사상 처음으로 5천만 명을 넘겼다.(전년 동기 대비 25.0%, 1109만 명 증가) < 연도별 상반기 관람객 수 증가 추이 > < 2013년 상반기와 2012년 상반기 결산 비교 > 구분 2013년 상반기(만 명 / 억 원) 2012년 상반기(만 명 / 억 원) 개봉 관 객 매출액 개봉 관 객 매출액 수 점유율 수 점유율 한국 70 5,555 56.4% 3,993 73 4,446 53.4% 3,320 외국 320 4,294 43.6% 3,247 195 3,880 46.6% 3,103 전체 390 9,850 100% 7,241 268 8,326 100% 6,423 ㅇ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56.4%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4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 13조 7,370억 원 2015-12-10
    • 13쪽(붙임 11쪽 포함) 배포일시 2015. 12. 10.(목) 담당부서 문화콘텐츠산업실 방송영상광고과 담당과장 이영아(044-203-3231) 담 당 자 사무관 김혜진(044-203-3238) '14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 13조 7,370억 원 - `13년 기준 규모(13조 3,546억 원) 대비 2.85% 증가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는 우리나라 광고사업체들의 전반적인 현황과 동향을 담은 ‘2015 광고산업통계조사(2014년 기준)’의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년 광고산업 규모는 13조 7,370억 원(광고사업체 취급액 기준)으로서, 2013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 13조 3,564억 원에 대비해 2.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의 경제성장률 3.3%에 비해서는 0.45%포인트 낮은 수치이다. 2014년 광고사업체 총취급액 13조 7,370억 원 중 매체광고비*는 10조 7,806억 원(78.5%), 매체 외 서비스 및 기타 매출액**은 2조 9,564억 원(21.5%)으로 조사되었다. * 매체광고비: 방송, 인터넷, 옥외, 인쇄매체부문 및 제작 부문 매출액 ** 매체 외 서비스 및 기타 광고업 매출액: 광고전문 서비스업(브랜드 컨설팅, 마케팅 조사, 전시 및 행사대행업 등) 및 광고물 인쇄 사업체의...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4년 기준 국내 스포츠 산업 규모 41조 3,700억 원, 전년도 대비 1.5% 증가 2016-01-20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는 우리나라 스포츠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의 영업 실적과 운영 현황을 조사한 ‘2015(2014년 기준) 스포츠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스포츠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의 매출 규모는 41조 3,700억 원으로, 전년도 매출 규모 40조 7,690억 원에 대비해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림 ] 스포츠산업 매출액 및 종사자 수 (단위: 십억 원, 천 명) 2014년 기준 스포츠산업 매출액 41조 3,700억 원 중 내수액은 40조 6,370억 원(98.2%), 수출액은 7,330억 원(1.8%)으로 조사되어 스포츠산업구조는 대부분 내수시장이 차지해 수출시장의 비중은 아직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업이익은 3조 4,550억 원 규모로 전체 매출 대비 8.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포츠산업 매출 규모는 전년도 대비 6,010억 원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률은 전년도 11.3% 대비 2.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스포츠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업체의 수익성은 악화됨. 내수시장 위주의 산업구조로 사업체는 71,140개로 전년도 대비 523개 증가 한편, 2014년 스포츠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4년 문화체육관광부 4조 3,384억원 예산(안) 편성 ‘문화융성 구현’을 위한 재정적 지원기반 확충 2013-10-01
    • 2일 2014년도 문화체육관광부 예산 및 기금의 정부(안) 규모와 주요 편성내용을 발표했다. 내년도 문체부 예산 및 기금 정부(안)은 2013년 재정(4조 1,048억원) 대비2,336억원이 증액된 4조 3,384억원 규모(전년대비 5.7% 증)로 최종 확정됐으며, 이는 2014년도 정부 총 재정(지출안, 357.7조원)의 증가율(4.6%)을 상회한다. < 2014년 문체부 회계․기금별 편성 내용 > (단위 : 억원 / %) 구 분 ‘13재정(A) ‘14재정(B) 증감액(B-A) 증감율(%) 총 합계 41,048 43,384 2,336 5.7 □ 예 산 22,201 22,837 636 2.9 ㅇ일반회계 14,334 14,434 100 0.7 ㅇ광특회계 6,504 6,614 110 1.7 ㅇ아특회계 1,363 1,789 426 31.3 □ 기 금 18,847 20,547 1,700 9.0 ㅇ문예기금 1,223 1,876 653 53.4 ㅇ영화기금 1,089 1,015 △74 △6.8 ㅇ지발기금 114 108 △6 △5.3 ㅇ언론기금 239 228 △11 △4.6 ㅇ관광기금 6,917 8,739 1,822 26.3 ㅇ체육기금 9,265 8,581 △684 △7.4 분야별로 보면, 문화예술 부문이 1조 3,335억원으로(‘13년 1조 2,024억원) 전년대비 10.9% 증가세(1,311억원 증)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관광부문 역시 전년대비(‘13년 1조 964억원) 1,462억원이 증가(13.3%)된 1조...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4년 문화체육관광부 4조 4,224억 원 예산(안) 확정 ‘문화융성 구현’을 위한 재정적 지원기반 확충 2014-01-07
    • ‘15년 하반기 중으로 장애인문화예술센터 설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장애인문화예술센터’가 완공되면 장애인과 장애 예술인들의 창작 및 발표 기능과 문화예술 교류와 교육기능을 수행하는 중심축이 마련되어 장애인 문화예술 발전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센터기능(필요성) : 안정적 창작·발표 공간, 장애인 예술인재 발굴 및 육성, 사회통합 및 교류기반 등 3 호텔부가세 환급 : (‘14 신규) 10억 원 환율인상, 중국의 여유법 시행 등에 따른 방한객의 감소 및 관광수지 적자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외래객 유치 인센티브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체부는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14년 4월부터 외국인 관광객이 지불하는 호텔 숙박요금에 대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을 시행할 계획이며, 부가가치세 환급에 따라 외래관광객이 숙박요금 인하효과를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게 된다. 숙박요금 인하효과로 방한 외래객 증가와 어려움에 처한 관광업계의 매출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 ‘국가대표선수 건강검진비 : (‘14 신규) 2.3억 원 문체부는 국가대표 선수와 지도자의 복리후생 증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4년 하반기 국내관광 회복 및 활성화 추진 2014-06-10
    • ~ 10. 4.) 등은 문화・예술・체육・관광 활동과 소비 심리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계 국내관광 활성화 캠페인, 9월 관광주간 등 여행 심리 회복 추진 또한 국민들이 하계휴가를 하루 더 가도록 하기 위한 하계 국내관광 활성화 캠페인(6월 중순~)을 진행한다. 이번 캠페인에서는 소중한 사람과 함께하는 여름날 치유 여행을 홍보한다. 사랑하는 반쪽과, 아이와, 친구와 곁에 있는 소중한 사람에게 하고 싶던 말을 전할 수 있는 여행의 힘을 강조하고, 경제계 대상으로 휴가 사용 동참을 요청하는 등, 근로자 휴가 문화 조성을 위한 노력도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여행사 대상 하계휴가 맞춤형 여행상품을 공모해 홍보를 지원하며, 치유여행지 추천 행사 등을 진행한다. * 국민 연평균 여행일수 1일 증가 시, 소비 2.5조 원, 일자리 5만 개 창출 * 2013 국내관광 캠페인을 통한 여름휴가 증가(2.7일)로 에너지 절감 비용 129억 원, 서울-부산 간 107,729회 왕복 가능한 비용 이어 9월 관광주간(9. 25. ~ 10. 5.)에는 ‘가을 추억 만들기’라는 주제로 맞춤형 가을여행 코스 등을 제공해 세월호 사고로 침체된 관광 수요 재점화 계기를 또 한 번 만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5. 12. 11.~'16. 2. 19. 제35회 세종문화상 추천·접수 2015-12-10
    • 및 지침에서 수상이 제한된 자, 후보자가 추천되기 전에 사망한 경우는 선정에서 제외 3. 포상일/장소: 2016년 5월 중순/국립중앙박물관(예정) 4. 후보자 추천 ㅇ 추 천 자: 개인, 기관, 단체 등 제한 없음. ㅇ 제출서류 - 추천서(소정양식) 1부 * 추천서에 명함판 사진을 붙인 후 추천자가 날인(또는 서명)한 원본은 우편으로 발송하고, 추천서 및 사진을 전자파일(kimjh106@korea.kr)로도 제출 - 공적 증빙서류(사본) 1부 ㅇ 제출방법: 등기 우편 또는 방문 접수 ㅇ 추천 유의사항: 제출한 자료는 일절 반환하지 않으니 증빙서류는 반드시 사본을 제출해 주시기 바람. 5. 서식배부 및 접수 o 서식배부: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www.mcst.go.kr→알림·소식→알림)에서 내려 받아 작성 o 접 수 처: [우339-012]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388 정부세종청사 15동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o 접수기간: 2015. 12. 11. ~ 2016. 2. 19.(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6. 수상자 발표: 2016년 5월 초순 개별 통지 7. 기타 자세한 사항은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044-203-2539~40)로 문의하시기 바람. 2015. 12. 11.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우리말을 쉽고, 바르고, 곱게 가꿉시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5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 14조 4,399억 원 2017-01-18
    • 보 도 자 료 보도일시 배포 즉시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총 14쪽(붙임 11쪽 포함) 배포일시 2017. 1. 18.(수) 담당부서 문화콘텐츠산업실 방송영상광고과 담당과장 최영진(044-203-3231) 담 당 자 사무관 김혜진(044-203-3238) ’15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 14조 4,399억 원 - 문체부, 2016 광고산업통계조사 결과 발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 이하 문체부)는 국내 광고사업체의 현황과 동향을 조사한 ‘2016년 광고산업통계조사’(2015년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는 14조 4,399억 원(광고사업체 취급액 기준)으로서, 2014년 기준 광고산업 규모 13조 7,370억 원에 비해 5.12%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의 경제성장률 2.6%보다 2.52%포인트(p) 높으며, 전년도 성장률 대비 2.27%포인트(p) 높은 수치이다. 광고산업 취급액 중 매체광고비*는 11조 4,494억 원(79.3%), 매체 외 서비스 취급액**은 2조 9,905억 원(20.7%)으로 조사되었다. * 매체광고비: 방송, 인터넷, 옥외, 인쇄매체 및 제작 부문 취급액 ** 매체 외 서비스 취급액: 광고전문 서비스업(브랜드컨설팅, 마케팅 조사, 전시 및 행사대행업 등) 및 광고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5년 문체부 정보화예산(안) 455억 원 편성 2014-09-30
    • 조치 이행과 스마트 모바일 업무환경 구축 등을 위한 문화행정공동활용체계 구축 사업에 30억을 편성하였다. 또한 문화체육관광 분야 정보화 여건 마련 및 지원을 위한 사업으로 문화정보센터운영(37억), 언어정보자원통합관리(6억)을 편성했다. □ 맞춤형 문화정보서비스 제공 체계 구축 정부3.0 구현을 위해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 활성화 및 민․관 협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국민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문화정보(체육․관광․미술․공연․영화 등)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개별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문화, 관광, 예술 등 우리 문화가 가진 전통․의미․부가가치가 다양한 산업의 창조적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데이터의 구축 및 제공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기업맞춤형 문화정보 구축 등 산업 활용 문화데이터 개방․활용에(12억 원), 문화데이터 개방서비스 구축에(6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맞춤형 문화정보서비스 제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대국민 및 기업의 문화향유를 극대화하고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문화콘텐츠의 제공기반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문화정보 제공기관간의 칸막이 해소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16년 3월 ‘한국 내 프랑스의 해’ 행사 성공적 개최 논의 2015-12-11
    • 조양호 한국 측 조직위원장은 “지난 9월 프랑스에서 열린 한국의 해 개막식에서 ‘종묘제례악’ 공연과 에펠탑 점등식을 통해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프랑스 측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라고 프랑스 측에 감사를 표시하면서 “‘한국 내 프랑스 해’의 개막주간 행사도 성공적으로 치러져 우리 국민들이 프랑스 문화와 프랑스를 더욱 이해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라고 인사를 전했다. 아울러 한국 측 조직위원회에서도 한국 내 사업 추진과 홍보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한국 측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지난 11월 말 한국공예전*을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를 빌려 “‘2015-2016 한불 상호교류의 해’를 기념하는 행사가 한국과 프랑스 전역에 상호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양국 간 문화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밝혔다. * 한국공예전(‘15. 9. 18.~’16. 1. 3. 파리 장식박물관): 한국 공예, 패션, 그래픽 전시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해외문화홍보원 해외문화홍보사업과 사무관 박수향(☎ 044-203-332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