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509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509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2023년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실버이야기예술인) 신규 선발 공고 2023-01-20
    • : 2과목 100점(이야기 들려주기(30점) + 질의응답(70점)) - 이야기 들려주기 : 각자 암기한 이야기를 면접위원에게 들려주기 ※ 이야기 자료는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시 공지(암기/구술/표현능력 등 평가) - 질의응답 : 지원동기의 적합성, 유아인성교육자로서의 자세, 활동의지 등 2. 선발 심사일정 구 분 일 자 장 소 지원서 접수 2023.1.20.(금) ~ 2.24.(금) ◾온라인접수 : 2023. 1. 20.(금) ~ 2. 24.(금) 24:00까지 (www.storymama.kr) ◾우편접수 : 2023년 2월 24일(금) 우편 소인분에 한함 ◾방문접수 : 아름다운이야기할머니 서울사무소(서울 소재)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면접일정 공지) 2023.3.7.(화) ◾개별 문자발송 및 홈페이지(www.storymama.kr) 공지 -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지역별 면접일시 및 면접장소 등 안내 2차 면접전형 2023.3.20.(월) ~ 31.(금) ◾면접장소 : 서울, 원주, 대구, 부산, 대전, 광주 - 지원서에 작성한 주소지 기준으로 면접장 배정 2차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2023.4.10.(월) ◾개별 문자발송 및 홈페이지(www.storymama.kr) 공지 - 2차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신규교육 일정 안내 교육과정 이수 2023.4~10월 ◾교육장소 및 장소...
    • 알림소식 > 알림 붙임파일
  • 신한류로 전 세계 한류 열기 이어 나간다 2020-07-16
    • 정부의 지혜로운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 민족의 문화예술적 잠재력과 창의력이 세계무대에서 마음껏 발휘될 수 있도록 잘 지원해 세계 문화를 선도하는 신한류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별첨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한류지원협력과 채정재 사무관(☎ 044-203-2384)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담당자 연락처 > 부처 담당자 기획재정부 서비스경제과 과장 김이한, 사무관 류한솔 (044-215-4615) 교육부 재외동포교육담당관 과장 최보영, 사무관 권지은 (044-203-6799, 6798) 외교부 문화교류협력과 과장 심규선, 행정관 방지영 (02-2100-7727, 8329) 과기정통부 디지털방송정책과 과장 엄지현, 사무관 방연진 (044-202-6550, 6555)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진흥과 과장 김대일, 서기관 신희숙 (044-203-4030, 4017)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진흥과 과장 공석, 사무관 정수연 (044-201-2169)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과장 정태길, 사무관 남지연 (044-202-2965) 해양수산부 수출가공진흥과 과장 김성희, 사무관 서밀가 (044-200-5480, 5483)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성장정책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외래 관광객 1,000만 명 돌파 2012-11-22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2012 문화예술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2013-02-14
    • 만 원 51~100 만 원 101~200 만 원 201만 원 이상 무응답 2009년 37.4% 7.8% 6.9% 10.8% 13.8% 20.2% 3.4% 2012년 26.2% 12.3% 12.9% 15.1% 17.0% 16.7% 0.1% □ 분야별로 살펴보면 문학(91.5%), 미술(79%), 사진(79%), 연극(74%), 영화(71%), 국악(67%), 무용(64%), 음악(60%), 대중예술(43.5%), 건축(34%)의 순으로 100만 원 이하의 비율이 높았다. <표 3> 분야별 100만 원 이하 문화예술인 비율 문학 미술 사진 건축 국악 음악 연극 무용 영화 대중예술 2009년 89% 76.5% 97.5% 22.5% 75.5% 49.5% 72.5% 38% 72% 33.5% 2012년 91.5% 79% 79% 34% 67% 60% 74% 64% 71% 43.5% 지원금 수혜비율은 늘었으나 창작활동 여건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져 □ 문화예술인들의 문화예술 활동과 관련한 창작지원금 수혜비율은 ‘공공영역(정부, 문화예술위원회, 기타 공공기관)’ 27.7%, ‘민간영역(기업, 개인후원자)’ 8.1%, ‘전체’ 31.9%로 ‘09년의 15.5% 대비 증가하였다. <표 4> 지원금 수혜 비율 지원처 2009년 조사 2012년 조사 공공(B) 정부(A) 중앙정부(a) 1.6% 3.1% 지방정부(b) 8.1% 14.3% 문화예술위원회(c) 4.0% 11.8% 기타 공공기관(d) 2.0% 5.7% 민간(C) 기업(e) 1.3%...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 등 3개 제정안 및「국민체육진흥법」등 3개 개정안 오늘 국회 본회의 통과 2013-12-31
    • 내지 제3호에 해당하는 영화를 말한다) 제38조(전용상영관에 대한 지원) ①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청소년 관객의 보호와 영화예술의 확산 등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영화를 연간 상영일수의 100분의 60 이상 상영하는 영화상영관(이하 "전용상영관"이라 한다)을 지원할 수 있다. 1. 한국영화 2. 애니메이션영화·소형영화·단편영화 또는 영화진흥위원회가 인정하는 예술영화 3. 청소년관람가영화(제29조제2항제1호 내지 제3호에 해당하는 영화를 말한다) <신 설> ②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장애인의 문화향유권 보장을 위하여 제1항에 따른 전용상영관 중 수화ㆍ자막ㆍ화면해설 등을 이용한 영화를 연간 상영일수의 100분의 30 이상 상영하는 전용상영관을 지원할 수 있다. ② (생 략) ③ (현행 제2항과 같음)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 신ㆍ구조문대비표 현 행 개 정 안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제2조(정의) ------------------------------------------. 1. ∼ 4. (생 략) 1. ∼ 4. (현행과 같음) <신 설> 4의2. “국가대표선수”란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또는 경기단체가 국제경기대회(친선경기대회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015년 기준 국내 공연시장 규모 7,815억 원 2017-03-16
    • 14 0 14 100.0% 공립(광역)단체 66 △1 66 100.0% 공립(기초)단체 228 △2 226 99.1% 민간공연단체 1808 △5 812 44.9% 민간기획사 177 17 80 45.2% 합 계 2293 9 1198 52.2% □ 주요 결과 1. 조사 주요결과 [표 1] 공연시설 및 단체 조사 주요결과 운영현황 공연시설 공연단체 일반현황 공연시설(공연장수) 및 단체 수 1,026개(1,290개) 2,293개 인력현황 총 인력수 12,513명 49,663명 평균 인력수 12.2명 21.7명 정규직원 비율 70.3% 29.6% 비정규직원 비율 29.7% 70.4% 재정현황 연간 총수입 1,051,456,298천원 927,262,540천원 연간 평균 수입 1,024,811천원 404,388천원 자체수입 비율 33.5% 41.9% 공공지원수입 비율 55.4% 53.6% 기타수입 비율 3.4% 0.6% 기부/후원금수입 비율 1.6% 2.8% 전년도이월금 비율 6.1% 1.1% 연간 총지출 1,050,851,779천원 957,399,554천원 연간 평균 지출 1,024,222천원 417,531천원 사업비 비율 31.1% 49.9% 경상운영비 비율 59.2% 47.4% 기타지출 비율 4.9% 1.1% 차기년도이월금 비율 4.7% 1.6% 재정자립도 54.5% 43.8% 공연실적 총 공연건수 35,452건 37,935건 평균 공연건수 27.5건 16.5건 총 공연일수 136,568일 83,415일 평균...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체부, 중국전담여행사 지정 취소 등 저가덤핑시장 집중관리 2014-08-04
    • 17 (주)작인여행사 왕작인 02-777-1788 100-170 서울시 중구 무교동 19 스포츠센타빌딩 8층 808호 18 (주)코앤씨 김용진 02-532-1114 137-070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694-14 동성빌딩 2층 19 (주)대홍여행사 매복생 02-718-1688 110-300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98-16 남도빌딩 405호 20 (주)세린여행사 마세린 02-337-8770 120-110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193-7 영화빌딩 403호 21 (주)한중상무중심 추신강 02-730-1688 110-043 서울시 종로구 통인동 154-8, 1층 22 씨티에스중국여행사(주) 리진펑 02-737-9807 100-042 서울 중구 남산동2가 45-22 23 (주)한중상무교류중심 김영엽 02-824-8977 156-070 서울시 동작구 흑석동 1-3 원불교서울회관316호 24 (주)경안여행사 난매란 02-333-6686 121-210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156-12, 2층(서교동) 25 양광여행사 장선화 고유경 02-393-1277 150-805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4가 32-60 3층 26 (주)내주여행사 이옥주 02-737-8810 121-816 서울시 마포구 동교동 155-27 효성홍익인간오피스텔 1012호 27 (주)인화관광 손승부 02-324-0008 150-809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49길 4(당산동6가, 태인빌딩 6층) 28 (주)국제여행사 김완덕...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콘텐츠 산업 2011년 결산 및 2012년 전망 2012-02-01
    • 9,311,635 9,186,878 10,323,172 11,709,710 5.1 12,305,781 5.1 ******캐릭터 4,550,932 5,115,639 5,098,713 5,358,272 5,896,897 7,059,180 9.2 8,063,229 14.2 지식정보 3,467,795 4,297,341 4,777,330 5,255,185 6,204,127 8,022,309 18.3 8,758,974 9.2 콘텐츠솔루션 1,541,700 1,679,800 1,866,100 2,036,362 2,196,232 2,804,321 12.7 3,120,251 11.3 합계 62,768,976 64,414,776 63,681,713 66,116,463 72,120,137 82,614,641 5.6 88,966,911 7.7 * 2006년 만화매출액은 어린이·학습만화 미포함 매출규모 *** 애니메이션 극장매출액 제외 **** 2006년 애니메이션은 극장매출액(61,099백만원), 방송사수출액(292백만원) 포함 ***** 2008년부터 방송매출은 방송사업수익만 포함하였으므로 직접비교 무리, 2008년부터 독립제작사 매출 포함 ****** 2006년, 2007년에는 캐릭터 상품 도소매업 중 온라인도소매업, 홈쇼핑, 편의점, 재래시장 매출액은 포함되지 않았음 ※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콘텐츠산업통계」(2006~2010) 「2012 콘텐츠산업 전망」(2011p~2012p) <표 2> 최근 6년간(2006~2011) 콘텐츠산업 수출액 변화 추이 (단위: 천달러,...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사람이 있는 문화, 자유와 창의가 넘치는 문화국가 실현 2018-01-29
    • 위해 노력한다. 학교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성인미디어 교육 평생교실(20곳, 100개 강좌)을 운영한다. 어린이부터 부모까지 모두가 건전하게 게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올바른 게임 이용 교육(1만 5천 명)과 가족 이(e)-스포츠대회 등을 지원한다. 찾아가는 저작권교육(11,500회), 저작권 체험교실(320개) 등을 통해 저작권 존중 문화도 확산한다. 3 지역 간 균형발전 지역을 문화로 재생, 문화도시 지정・지원, 관광전략 거점도시 육성계획 마련, 문화관광축제 지원제도 개선, 지역 관광서비스 품질 향상 지역 분권시대를 앞두고 지역의 사람, 지역의 문화를 풍부하게 해 지역문화가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간다. 지역을 문화로 재생한다. 유휴 산업시설 등 쇠퇴한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활용하고, 지역문화기관과 문화 전문가가 참여하여 문화공간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며, 이렇게 공간과 콘텐츠와 인력이 상호 융합되는 방식으로 지역을 재생한다. 지자체의 문화도시 조성계획에 대해 1년간 전문기관 컨설팅을 거쳐 문화도시로 지정해 지원한다. 지역문화전문인력을 양성하고(200여 명), 지역문화시설에 전문인력을 배치(50여 명)한다. 지역 문화예술기관...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생활문화로 여는 문화융성 시대 주민 생활밀착형 문화공간 ‘생활문화센터’ 조성 착수 2014-06-30
    • ㅇ 최근 국민소득의 증가, 100세 시대도래, 주 5일제 시행 등의 환경변화는 문화예술 및 스포츠 등 여가활동 참여 욕구 증가 ㅇ 다만, 지역민의 다양한 문화, 여가활동 욕구를 충족해줄 수 있고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여가 인프라는 취약 ㅇ 기존 문화시설의 기능․공간․운영방식의 한계로 증가하는 국민의 생활문화 수요 욕구 충족 한계 □ 추진방향 ㅇ 기존 문화시설 및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민의 문화여가 참여 및 생활문화예술참여 접근성을 제고하는 한편, ㅇ 지역민들에게 공존과 소통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문화생태계를 조성하고 사회적 통합을 유도하여 건강하고 활기찬 지역 공동체 회복 생활문화센터 조성 기본 방향 『자율+공유+복합+재생+확산』⇒지역 생활문화 확산의 거점 시설 ■ (자율․참여) 자율적․능동적 참여 공간 → 커뮤니티 공간 기능, 주민 운영 참여 ■ (나눔․공유) 지역 사회 문화나눔 공간 → 발표 및 주민 교류 공간 기능 ■ (복합․문화) 다양한 장르와 프로그램 공간 → 복합문화 공간 기능 ■ (문화재생) 지역 유휴시설, 기존시설의 재생 공간 → 리모델링 건립 ■ (문화확산) 지역 인적․물적 자원간 네트워크 공간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