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의 조각 A Piece of Sculpture

조각의 조각 A Piece of Sculpture

분야
전시
기간
2024.06.21.~2024.07.07.
시간
오전 11시 ~ 오후 6시 (점심시간 12:00~13:30)
장소
서울 | 갤러리 도올
요금
무료
문의
02-739-1405
바로가기
http://www.gallerydoll.com/

전시소개

강성욱의 조각은 조금 특별하다. 관찰이 되지만 끊임없이 변화되는 시도 안에서 결과물이 드러나는 작업이다. 서로 다른 형상 간에 만남이 연접해 들어가면서 서로의 모습으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완결되었지만 이내 다른 것을 찾는 결합은 양 끝단에 사물이 놓이면서 드러나는 방식이다. 작가는 조각을 전공하였고 오래전 독일유학시기부터 변신 Transformation 이란 주제에 관심을 가져왔다. 사물에 대한 호기심도 강했으며 표현해 보고 싶었던 것이 많아지면서 개념미술도 심취해 있었다. 조각가로서 장르에 기반을 두지만 뭔가 특별한 것을 원했던 바람은 변신이라는 테마 안에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보다 다양한 모습을 표현하고자 생각하며 상상하기 그러한 의미 안에서 사물들은 어울리게 되지만 작가의 개입은 최소한이다. 유기물이 드러나는 알 수 없는 과정처럼 작업은 하나의 구축물로서 쌓이고 유동적이면서 가변적이다.


그에게 있어 조각은 노동의 양적인 결과물이라기보다 의미와 의미가 만나는 예술의 총합적인 결과물이다. 인상 깊었던 경험이 신호등으로, 불을 피우는 손으로 아니면 조약돌의 칼리그래피로 주저함 없이 대상을 끌어들여 오브제처럼 사용하며 설치를 해 봄으로써 현재의 조각은 나올 수 있었다. 최근엔 ‘조각의 조각’이라는 과제가 작가에게 떨어진다.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해 최소한을 어필해 왔지만 그보다 한 단계 이전의 과정으로 드로잉을 평면으로 선보인다. 변화의 양상이 그대로 운동감으로 표현되는 인물 형태가 즐비하다. 무엇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현대미술의 관점은 그에게도 무관한 것은 아니었다. 현실이 원하는 대로 이루어졌다면 예술이 나올 수 있었을까. 적어도 예술의 범주 안에서 만큼은 이루지기를 바라는 선택이 흥미로운 입체물을 만들게 했다. 우연한 발견이 필연이 되는 지금의 예술에서 일상의 영역은 그래서 무한하다. 개인의 시점이 자연스레 드러나는 과정 속에 사물들이 새롭게 의미를 부여받는 일들이 계속된다. 입체물은 양 끝단에서 어떤 걸 연상시킨다.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여인이 성의 실루엣과 만나고 나비가 사람과 함께하는 일들이 일어나는 세계로서 지금의 예술 영역은 조각의 내용도 포괄적으로 바꾸어 놓는다. 이것과 저것으로 구별되지만 결코 쉽게 단정 지을 수 없는 관계가 새로운 의미로서 확장된다. 인간의 삶이 구축되는 과정이 갈수록 다원화되는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Kang Sung Uck's sculptures are somewhat special. They are observable yet continually emerge from a process of constant transformation. His work reveals the process of different forms meeting and merging, transforming into each other. This fusion, though complete, soon seeks another combination, highlighted by the placement of objects at the extremities. Having majored in sculpture and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theme of transformation since his studies in Germany many years ago, the artist has always had a strong curiosity about objects and a desire to express various ideas, which led him to become deeply involved in conceptual art. As a sculptor, his foundation lies in his genre, but his desire for something unique led him to create works within the theme of transformation. His aim to express a broader range of forms manifests in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objects, with minimal intervention from the artist. Like an unknown organic process, his work is built as a single structure, fluid and variable.


For him, sculpture is not merely the quantitative result of labor but the comprehensive result of art where meanings intersect. He seamlessly incorporates impressive experiences, whether as a traffic light, a hand lighting a fire, or the calligraphy on a pebble, using them as objects in his installations, leading to his current sculptures. Recently, the task of 'sculpting sculpture' has been presented to the artist. Although he has used computer graphic programs to make minimal appeals, he now showcases the process one step earlier through flat drawings. Figures expressing the dynamics of transformation are prevalent.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art on what and how to show is not irrelevant to him. Would art have emerged if reality had turned out as desired? At least within the realm of art, his choices, hoping to realize these desires, have led to the creation of intriguing three-dimensional works. In the current art scene, where accidental discoveries become inevitable, the scope of everyday life is thus infinite. In the process where the artist's perspective naturally emerges, objects continually receive new meanings. The three-dimensional pieces evoke certain associations at their extremities. Who would have imagined? In this world where a woman meets the silhouette of a castle and a butterfly accompanies a person, the current artistic realm comprehensively alters the content of sculpture. Although distinguished as this and that, these relationships cannot be easily defined, expanding into new meanings. This reiterates the increasingly pluralistic significance of the process in which human life is constructed.

회원 방문통계

통계보기

전체댓글(0) 별점 평가 및 댓글 달기를 하시려면 들어가기(로그인) 해 주세요.

  • 비방 · 욕설, 음란한 표현, 상업적인 광고,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및 자료 등에 대한 문의는 각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하여 질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