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상반기 관광 출입국 및 수지 분석 · 전망과 하반기 관광산업 주요 정책방향”
게시일
2008.07.07.
조회수
3067
담당부서
홍보담당관()
담당자
홍선옥
본문파일
붙임파일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7월 7일(월) 12시부터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담당기자단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2008 상반기 관광 출입국 및 수지 분석과 전망, 그리고 2008 하반기 관광산업 주요 정책방향’을 설명하였다.

2008 상반기 방한 외래관광객은 327만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8.4% 증가하였는데 이는 최근 3년 평균성장률(3.5%) 보다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국제적인 고유가의 부담 속에서도 환율인상과 새 정부 출범이후 감세 등 정부지원의 확대, 관광업계의 자체적인 경영개선노력 등 종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반기 내국인 해외여행은 전년동기 대비 약 1.5% 증가하였는데 이는 그 동안의 급격한 증가세(07년 : 14.8%, 3년 평균 : 14.7%)가 크게 둔화된 수준으로 고유가와 환율인상으로 인한 여행비용의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중국 쓰촨성 지진으로 내국인의 중국행 관광이 4월 이후 증가세가 크게 감소한 점 또한 부분적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008 상반기 관광수지 적자는 33억불 수준으로 전년 동기대비 약 32% 개선되었는데 이는 외래관광객 입국의 증가와 내국인 해외여행 증가세 둔화 요인 외에 외래객의 1인당 국내 소비지출이 크게 증가($892→$1,167, 25%)한 점 등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내국인 1인당 해외 소비지출 : 07년($1,192) → 08.상반기($1,091, -6%)

2008년 연간으로는 고유가의 지속적인 부담으로 외래관광객 입국은 상반기 수준보다는 둔화될 우려가 크며, 내국인 출국도 특별한 증가요인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반기 수준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관광수지는 외래객 입국보다 내국인 출국 증가세가 더욱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점 등을 감안시 상반기 수준의 수지개선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최근 국제적인 고유가 부담의 지속과 환율 변동성의 심화, 경기성장의 둔화에 따른 소비침체 우려 등 대내외적인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가운데 2008 하반기에는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일본 톱 세일즈 판촉단 파견’을 추진(7월)하는 등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 및 관광수지 적자 개선을 위한 2008 하반기 관광산업정책 주요 추진계획을 아래와 같이 발표하였다.

▲ 한중 관광교류 협력 강화를 위한 ‘한중 민관합동간담회’ 개최(7월)
▲ 일본인 대상 33개 관음사찰 순례상품 판촉(8~12월)
▲ ‘2010~2012 Korea Sparkling Campaign' 추진위원회 구성 및 선포식 개최(9월)
▲ ‘2차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회의’ 개최(10월)
- 2단계 세제 및 부담금의 완화와 규제 개선
- 음식·숙박·안내체계 등 관광수용태세 선진화
- 한국을 대표하는 고유의 관광 콘텐츠 개발 등
▲ 중국 3대도시(상해, 대련, 심천) 특별로드쇼 개최, 중국 남부지역(광조우, 대만, 홍콩 등) 눈·스키 특별프로모션 개최(10월)
▲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국제컨퍼런스 개최(11월)
▲ 서울지역 주요 외국인 명소(명동 등) 안내표지판 개선(11월)
▲ ‘대한민국 구석구석 캠페인’ 등 국내관광 활성화 사업 지속(7~12월)

특히,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해외관광수요가 높은 여름철 성수기를 맞이한 국민의 출국 증가를 우려하면서, 고유가로 인한 경제전반의 어려운 분위기를 감안하고 대한민국 구석구석의 숨겨진 매력을 확인할 수 있는 ‘내나라 관광’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당부하였으며 정부는 이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나갈 계획임을 밝히고 기름유출사고에서 회복하고 있는 태안지역에 대한 많은 관심과 방문을 거듭 강조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향후에도 방한 외래관광객 유치를 확대하고 관광수지 적자를 개선함으로서 국제수지 균형에 기여하고자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해나가는 한편 관광업계 및 전문가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나가기로 하였다.

첨부 1 : 2008 상반기 관광 출입국 및 수지 분석과 전망
첨부 2 : 2008 하반기 관광산업 주요 정책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