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포츠, 창조경제 날개를 달고 퀀텀점프 준비
게시일
2016.08.09.
조회수
2726
담당부서
스포츠산업과(044-203-3157)
담당자
이수원
본문파일
붙임파일
보도자료제목

한국 스포츠, 창조경제 날개를 달고 퀀텀점프 준비

- 통신, 미디어, 한류 기획 및 빅데이터로 스포츠산업 혁신

- 스마트 스타디움 구축, 융·복합 스포츠 스타트업 육성, 스포츠 아카데미 신시장 창출 및
지능정보·데이터 분석 기반 스포츠
·레저 산업 육성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8월 9일(화) 인천 문학경기장에서 ‘제1회 창조경제 융합 스포츠산업 포럼’을 개최했다.

 

  스포츠 산업은 제조업과 정보통신, 유통,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등 다양한 산업과의 연계성이 높을 뿐 아니라, 경쟁을 전제로 하는 스포츠의 특성상 신소재·바이오·나노 등 과학기술이 적용된 첨단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한 분야이다.

 

  또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복합 산업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창조경제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그 외연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된다.

 

  이에 문체부와 미래부는 지난 6월 16일(목) 실장급 협의에서 창업과 중소기업 혁신, 특화산업 육성 등 창조경제의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창출된 창조경제 성과를 스포츠 산업에도 이식하여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고 방안 마련을 위한 협의를 지속해 왔다.

 

  이번 포럼에서는 창조경제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한 기반시설(인프라)과 기업, 사람, 지역을 중심으로 창조경제와 스포츠와의 융합을 통한 혁신 방안을 논의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기반시설(인프라)에 해당하는 ‘스마트 스타디움 구축’에 대한 발제를 맡은 에스케이(SK)텔레콤은 스포츠의 관람 측면을 강조하여 사물인터넷(IoT)과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등을 기반으로 관중에게 감동을 주고, 선수들의 경기력을 극대화하는 한편, 거대자료(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주변 상권을 활성화시키는 다양한 기술 개발 모델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주제인 기업에 대해 중앙일보는 스포츠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미디어의 관점에서 스포츠 산업 생태계의 외연을 확장시키고, 미디어 중심의 육성(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도입한 ‘융ㆍ복합 스포츠 새싹기업(스타트업) 육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갤럭시아 에스엠(SM)은 ‘스포츠 아카데미 신시장 창출’이라는 발제를 통해 세 번째 주제인 사람에 대해 얘기했다. 주요 발표 내용은 첨단 훈련 시설을 갖추어 골프, 야구 등 우리가 세계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지닌 종목의 스포츠 유망주를 조기에 확보하고 체계적인 육성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를 양성해, 한류를 스포츠로 확장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 주제인 지역과 관련해서는, 솔트룩스가 ‘지능정보 및 데이터 분석 기반 스포츠·레저 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하였다. 주요 발표 내용은 거대자료(빅데이터) 분석 기법과 지능정보기술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지역 소상공인의 사업 모델 개발 등 지역 맞춤형 스포츠·레저 클러스터 조성방안이었다.

 

  문체부와 미래부는 앞으로 양 부처 차관이 공동으로 주관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기업 및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창조경제 융합 스포츠산업 육성 협의체’를 운영하여 4개 주제의 실행방안을 논의한다. 그리고 오는 10월 제2차 포럼을 개최한 후에 올해 말, 실행방안을 정책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스포츠산업은 다른 산업 분야와 융합이 비교적 용이한 개방적 구조를 지니고 있고, 소비자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의성을 근간으로 하는 창조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이 가능하다.”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스포츠 강국을 넘어, 민간의 창의를 최대한 활용하여 민간 중심의 스포츠산업 강국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제1회 창조경제 융합 스포츠산업 포럼 주제발표 주요 내용

 

 

 

 

문의안내

OPEN 공공누리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이수원 사무관(☎ 044-203-3157) 또는

미래창조과학부 윤석배 사무관(☎ 02-2110-207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