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콘텐츠 산업 수출과 매출 큰 폭 증가
게시일
2011.06.22.
조회수
2818
담당부서
문화산업정책과(02-3704-9612)
담당자
양충연
본문파일
붙임파일

올 1분기 콘텐츠 산업 수출과 매출 큰 폭 증가 설명글

올 1분기 콘텐츠 산업 수출과 매출 큰 폭 증가

- 콘텐츠 경쟁력 상승과 시장 수요 확대로 뚜렷한 성장세 지속 -

 

  텐츠 산업 육성에 따른 기업 경영 활성화로 2011년 콘텐츠 산업 생산(지수) 전분기 대비 1.2% 증가

 

  분기별 콘텐츠업체 실태 조사 결과, 게임지식정보음악 등 신한류 및 경기 호조로 2011년 1분기 매출액 20조 원(12.7%↑), 수출액 9억 불(26.3%↑), 종사자 53만 9천 명(2.3%↑) 등 2010년 1분기 대비 큰 폭 성장 예상

 

  텐츠 상장사는 경쟁력 강화로 2011년 매출액 3.9조 원(23.9%↑), 영업 이익 7천억 원(8.5%↑), 영업이익률(17.8%) 전체 상장사의 2.7배, 수출액 3억 불(59.0%↑) 달성

 

  글로벌펀드 등 콘텐츠 산업에 대한 투자촉진 기대로 2011년 매출, 수출, 투자 등 전 분야의 콘텐츠 기업 경영 경기 체감 상승 기대


  한류의 확산과 경기 호조로 올 1분기 콘텐츠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가 증가했다. 또 매출액도 12% 넘게 늘어났다. 특히 74개 콘텐츠 상장사의 영업이익률(17.8%)은 전체 상장사보다 2.7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정병국)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이재웅)은 2011년 1분기 국내 콘텐츠 산업 전반 및 콘텐츠업체의 생산, 소비, 매출, 수출, 고용, 투자, 상장사 재무 구조 변화 추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2011년 1분기 콘텐츠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 생산(지수) 전분기 대비 1.2% 증가 -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1분기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 생산(지수)은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으며(콘텐츠 산업 생산 지수 ’10년 4분기 122.0→‘11년 1분기 123.5), 오락문화 소비 지출은 평균 13만 1천 원으로 전분기 대비 약 7천 원(5.5%) 증가하였다(’10년 4분기 124.2천 원→‘11년 1분기 131.1천 원).


- 콘텐츠 산업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12.7%, 수출액 26.3% 증가 -


  2011년 1분기 국내 콘텐츠 산업은 2010년 1분기 대비 약 2조 2천억 원 증가한 20조 원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예상되며, 수출액은 약 2억 불 증가하여 9억 3천만 달러를 달성한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콘텐츠 관련 상장사는 매출, 영업 이익, 수출에 있어서 모두 높은 증가율을 보이는 등 콘텐츠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의 경우, 전체 상장사가 6.7%임에 비해 콘텐츠 관련 상장사는 약 17.8%를 기록해 고부가가치 산업임을 입증하였다.


  이는 그동안 추진해 온 콘텐츠 산업의 지원 예산 조기 집행, 금융 투자 지원 확대, 콘텐츠 창작기반 역량 강화 및 전략적 해외 진출 기반 확대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들이 대내외 경제 상황 호전과 더불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 분기별 콘텐츠업체 실태 조사 결과, 게임지식정보음악 등 신한류 성과 가시화 -

▶ 2011년 1분기 콘텐츠 산업 매출액 20.0조 원, 수출액 9억 3천만 불, 종사자 수 53.9만 명 예상

    ※ 분기별 콘텐츠 사업체 실태 조사는 12개 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 중 분기별 500개 표본을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임.



 콘텐츠 산업 분기별 실태 조사를 토대로 한 예측 결과, 2011년 1분기 전체 콘텐츠 산업의 총 매출액은 20조 5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조 2,580억 원(12.7%) 증가하였고, 수출액은 9억 2,915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억 9,334만 달러(26.3%) 증가하였으며, 종사자 수는 53만 9,44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1,963명(2.3%) 증가하였다.


 전년 동기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인 산업으로는 매출액 기준으로는 ‘음악 산업(33.7% 증가, 8,805억 원)’, 수출액 기준으로는 ‘게임 산업(5억 2,982만 달러, 40.4%↑)’으로 나타났다.

※ 붙임 표 1 참고


- 콘텐츠 관련 상장사의 대형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가 경영 실적에 반영 -

▶ 2011년 1분기 콘텐츠 상장사 매출액(3.9조 원), 영업이익(0.7조 원), 수출액(3억 불) 달성

    ※ 콘텐츠 상장사(74개)는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사 중 콘텐츠 산업 관련 업체임(게임 19개, 인터넷포털 4개, 출판 9개, 방송 18개, 광고 4개, 영화 7개, 음악 7개, 애니메이션/캐릭터 6개).



  2011년 1분기 콘텐츠 관련 상장사의 총 매출액은 3조 9,1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58억원(23.9%)이 증가하였고, 영업 이익은 6,9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3억 원(8.5%)이 증가, 수출액은 2,80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0억 원(59.0%)이 증가, 종사자 수는 3만 1,96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74명(9.5%)이 증가하였다.


  특히 게임 산업은 콘텐츠 관련 상장사 중 매출액, 영업이익(률), 수출액에서 모두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엔에이치엔(매출액 5,048억 원, 영업이익 1,680억 원, 영업이익률 33.3%), 엔시소프트(매출액 1,269억 원, 영업이익 526억 원, 영업이익률 41.5%) 등이 주도하는 가운데 게임 상장사의 영업이익은 전체 콘텐츠 관련 상장사 영업이익(2,756억원)의 약 40%, 전체 콘텐츠 관련 상장사 수출액(2,804억원)의 약 8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 영상 독립 제작사들도 자체 제작하거나 이미 제작된 한류 드라마인 ‘당돌한 여자’, ‘찬란한 유산’, ‘태양의 여자’, ‘호박꽃순정’, ‘사랑해 울지마’, ‘돌아온 뚝배기’ 등 과거 흥행작의 수출 호조와 최근 방영중인 ‘시티헌터’가 미국, 태국, 홍콩, 베트남 등에 사전 수출이 이뤄짐에 따라 해외 수출 호조로 높은 수출증가율(379.3%↑)을 기록하였다. 이와 함께 오로라월드는 자체 디자인연구소 구축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캐릭터 완구의 미국 수출이 확대되는 등 매출 증대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매출 및 수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게임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도 기업체의 대형화를 통한 국제 경쟁력 강화가 이뤄져 향후 경영실적 호조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 붙임 표 2 참고


- 글로벌 펀드 추진 등 수출, 투자분야의 기대감 상승 -

▶ 올 2분기 콘텐츠 기업 경영 경기 체감(CBI) 매출 98, 수출 94, 투자 93의 상승세 유지 전망

CBI(Contents Business Index: 콘텐츠기업경영체감도) : 84이하(매우 부진), 85~94(부진), 95~104(호조), 105이상(매우 호조)


  올 2분기 콘텐츠산업 콘텐츠기업경영체감도는 전반적으로 ’11년 1분기의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3분기에는 매출, 수출, 투자, 고용, 자금사정 등 전 부분이 호조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매출(10198104), 수출(979499), 고용(949498)부문은 상대적으로 가장 개선될 전망이다. 1분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는 산업은 애니메이션(103→105), 광고(100→115), 지식정보(112→116)로 전망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번 ‘2011년 1분기 콘텐츠 산업 동향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콘텐츠 산업이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우리 콘텐츠가 해외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산업별 지형 변화에 발맞추어 지원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의 ‘2분기 동향 분석’ 결과는 8월 말에 발표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 설명글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원경덕 주무관(☎02-3704-9614),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분석팀 노준석 팀장(☎02-3153-3015), 유은영 주임(☎02-3153-302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2009년 콘텐츠산업통계」와 「2010년 콘텐츠산업 동향과 분석」, 「2011년 1분기 콘텐츠산업 동향과 분석」 보고서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할 수 있습니다.

   - 문화체육관광부 : www.mcst.go.kr - 자료마당 - 동향현황자료

   - 한국콘텐츠진흥원 : www.kocca.kr - 콘텐츠지식 - 산업동향 - 콘텐츠산업통계정보 -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