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네 번째 박물관 속 작은 전시] 효자열녀

[2025년 네 번째 박물관 속 작은 전시] 효자열녀

분야
전시
기간
2025.07.30.~2025.09.23.
시간
10:00~19:00,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대전 | 대전시립박물관
요금
무료
문의
대전시립박물관 042-270-8600
바로가기
https://www.daejeon.go.kr/his/musDisplayList.do?displaySeq=146&menuSeq=646&pageIndex=1&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Condition2=child&searchCondition3=now

전시소개

조선왕조는 삼강(三綱)과 오륜(五倫)에 근거한 유교적 풍속 교화를 위해 전국의 효자(孝子), 열녀(烈女) 등을 적극적으로 선별하였다. 이들이 사는 마을에는 붉은 칠을 한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는 정려(旌閭)를 내려주었고, 그들에게는 각종 역을 면해주거나 현물로 포상하였다. 이 제도는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명시되어 있는 규정으로 기존 유교적 개념에 사회, 경제적 의미를 더하여 효자와 열녀 배출에 대한 욕구를 자극했다.


특히 조선 후기 향촌 사회에서 지위가 하락하고 있던 양반들에게는 국가가 공인하는 효자와 열녀 정려를 받는 것이 가문의 지위를 상승시키는 합법적인 방법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이에 가문을 빛낸 효자, 열녀 등을 밝히고자 후손들에 의한 정려 신청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정려 포상 신청을 올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광범위한 지지가 필수적이었다. 효자, 열녀의 행적은 자신과 가족이 아닌 타인의 인정을 통해 성립되는 행위였다. 따라서 효자, 열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영향력, 다른 가문과의 관계, 의사소통 및 교우관계 등이 뒷받침되어야 했다. 즉 일정 수준 이상의 사회, 경제적 능력을 갖추고 이를 통해 지역민과 관계를 통해 여론을 조성하여 유생, 향원 등 주요 구성원의 이름으로 포상 청원을 올릴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청원문을 올린다고 바로 인정받기 어려웠고, 일반적으로 짧게는 20년 길게는 100년까지도 걸렸다. 빠르게 인정을 받기 위해 한 해에 발신인을 바꿔 여러 번 청원하기도 하고, 올리는 대상도 수령이 아닌 관찰사나 암행어사에게 곧장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과한 선정 경쟁으로 인해 진정한 효행보다는 전형적인 허구적인 효자 설화가 주로 작성되거나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여 강제로 열녀로 만드는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조선이 망하고 효자와 열녀를 정려하는 제도와 물질적 포상은 사라졌지만, 현재도 기념비를 세워 자신들 조상의 효행과 열행을 알리려는 작업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효자와 열녀가 단순한 과거의 관습이 아니라 수백 년 동안 축적된 정신적 기반으로써 여전히 사회적 가치관으로 하나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회원 방문통계

통계보기

전체댓글(0) 별점 평가 및 댓글 달기를 하시려면 들어가기(로그인) 해 주세요.

  • 비방 · 욕설, 음란한 표현, 상업적인 광고,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및 자료 등에 대한 문의는 각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하여 질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