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498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498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상상력과 기술, 혁신의 융합: 콘텐츠의 무한한 가능성 2012 국제콘텐츠콘퍼런스(DICON) 개막 2012-09-03
    • 18:45/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층 402호/국내외 참가자 100명 내외 ㅇ (네트워킹 파티) ‘12.9.5(수) 18:30~20:30/코엑스 서문 앞 “The Flair" Bar /국내외 참가자 100명 내외 붙임 1 DICON 2012 전체 일정표 구분 창조적 기획 미래 마케팅 글로벌 진출전략 Ⅰ 9/4 (화) 13:00 DICON 기조 및 특별강연 콘텐츠, 그 이상을 넘어:기술 그리고 융합의 힘 표현명 (KT사장) 영화 제작의 새로운 디지털 패러다임과 시각효과 제작변화의 영향 팀 맥거번 (헐리우드 VFX 감독) 도에이 에니메이션 연출 40년사 모리시타 코조 (도에이 애니메이션 부회장) 15:10 DICON 1-1 공동제작 공동제작을 통한 창조적 파트너쉽 나이젤 패커드 (대표, 조디악 미디어) 예술디지털콘텐츠의 응용 꿔이청 (부주임, 북경시문화발전기금회) DICON 2-1 콘텐츠 유통 미디어의 변화와 글로벌 유통전략 서황욱 (상무, 구글 코리아) 일본시장 K-POP의 성공과 지속방안 기모토 다카시 (부사장, 유니버셜뮤직합동회사) 진출전략 1-1 FTA 대응방안 미국 내에서의 게임 개발 협약 알랜 J. 하우스 (변호사, 루이스 브리스브와 비스가드 앤 스미스) 콘텐츠 제작과 지역 세금시스템, 일반적 세금 인센티브 시스템의...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황병기와 함께하는 ‘해설이 있는 국악콘서트’로 제2기 한류 아카데미 시작 2012-09-04
    • 황병기 선생은 대표작 ‘침향무’를 직접 연주하여 수강생들의 갈채를 이끌어 내었다. □ 한류 아카데미는 앞으로 11월 1일까지 입문 과정(2개, 80명) 및 심화 과정(4개, 100명)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수강생들은 이번 아카데미를 통해 최고의 전문가 77명이 강사진으로 참여하는 전통예술 교육을 체험함으로써, 앞으로 문화적 소양과 실무적 소양을 두루 갖춘 전문 인력으로서 한류의 다양화․지속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1. <한류 아카데미> 입학식 계획 1부 2. <한류 아카데미> 세부 프로그램 1부. 끝. ‘책 읽는 소리, 대한민국을 흔들다! 하루 20분씩, 일 년에 12권 읽기!’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과 김경화 서기관(☎ 02-3704-951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1 한류 아카데미 입학식 계획 □ 개요 ㅇ 일시 및 장소 : ’12. 9. 4(화) 16:00~17:10, 문화역서울 284 ㅇ 참석자 - 국립중앙박물관장, 국립국악원장, 국립민속박물관장,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 - 콘텐츠 창작자․제작자 과정 수강생 등 < 한류 아카데미 개요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제57차 대한민국예술원상 시상식 개최 2012-09-04
    • <주요제작물> 1973 서울대학교 박물관 “천지73-8” 1978 세종대왕 기념관 “아 78-9” 1982 한미수교 100년기념조각 “태 82-40” 1986 국립현대 미술관 “이브 65-8” 1988 서울올림픽 조각공원 “점88-4-2” 1988 한국무역센타 코엑스 “맥 88-1” 1995 독립기념관 “맥86-1, 통일염원의 탑” 2010 포항시립미술관 “0 2010” 2010 안중근의사 기념과 조형물 “한얼 2010”외 다수 제작 <예술활동> <개인전> 1973 신세계 미술관 1987 현대화랑 1991 갤러리 아트 듄, 하마마츠 일본 2001 삼성미술관 2009 공간퍼플-드로잉전 2010 송아트 갤러리 2011 모란시술관 드로잉전 2011 데이트갤러리 등 다수 <단체전> 1949 국전, 국립현대술관 1956~63 국전(5회~12회), 국립현대미술관 1961 한국미술전 (필리핀) 1972 한국현대미술전 (일본) 1981 조각 15인전 (서울) 1982 ‘82 현대미술초대전 1990 원로조각가 9인전 (서울) 1995 한국현대술 파리초대전 (프랑스) 2002 작가를 찾아서-한국미술의 마에스트로전 2011 한국의 힘 100인전 등 <아트페어, 국제전> 1965 제4회 파리비엔날레 (프랑스) 1981 한-독 미술전 (독일) 2009 한국-스페인 현대미술전 등 1973년 이후 13회 개인전 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BCWW 2012, 국내외 방송콘텐츠가 한자리에 2012-09-05
    • 전망해봄으로써 방송 산업계 종사자들이 양질의 정보를 얻어갈 수 있는 자리로 마련했다. 올해로 12회째를 맞게 되는 이번 행사에는 KBS, MBC, SBS, EBS 등 지상파 4사를 비롯해 종합편성채널, 케이블 등 60여 개의 국내 전시사가 참가하고, 일본의 NHK와 후지TV, 아사히TV, TBS, 영국의 BBC, iTV, 싱가포르의 Mdiacorp TV 등의 해외 전시사가 참가를 결정했다. 또한 미국,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룩셈부르크, 오만 등 50개국 이상의 500여 명의 바이어들이 참가를 확정하고 BCWW 2012의 개막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한중 수교 20주년을 맞이하여 중국에서는 CITVC, SMG Media, Hubei Universal Film & Television Corporation 등 100여 명의 콘텐츠 유통 관계자와 바이어들이 참가한다. 해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방송콘텐츠 보유업체라면 누구나 BCWW 2012의 전시 참가가 가능하고, 방송 산업과 방송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콘퍼런스 참석이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BCWW 2012 홈페이지(www.bcww.kr)나 BCWW 2012 운영사무국(02-3153-144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책 읽는 소리, 대한민국을 흔들다! 하루 20분씩, 일 년에 12권 읽기!’...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일 앞으로 다가온 ‘2012 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 2012-09-05
    • 문화 다양성을 현장에서 보고 들을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다. 월드뮤직의 열정 속으로 뛰어들고 싶다면 ‘파티 무대’와 ‘열린 무대’가 있다. 광주의 밤을 뜨겁게 달굴 에너지 넘치는 파티 무대와 국내 젊은 예술가들이 끼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 열린 무대는 관람객과 예술가가 하나 되는 신선한 축제의 한마당이 될 것이다. 이번 공연에 참여하는 ‘소소 앤 마헤르 시소코’는 월드뮤직을 “국경이 없다.”라고 표현한 바 있다. 월드뮤직은 세계의 모든 사람을 하나로 이어주고 문화적 경계를 뛰어넘는 소통의 역할을 지닌다. ‘세계 곳곳의 음악에서 영감을 얻어 가슴과 영혼으로 음악을 한다’는 소소 앤 마헤르 시소코와 같은 월드뮤직 예술가들을 이번 ‘2012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에서 만나보자. ※ 페스티벌 기간 중 주 무대(전남대 대운동장)에서 컵 받침(5,000개)과 예쁜 티셔츠(100장)를 선착순으로 관람객에게 선사할 예정이다. □ 첨부자료 : 1. 2012광주월드뮤직페스티벌 프로그램 및 참여예술가 주요 이력사항(별첨) 2. 참여예술가 사진 자료(별첨) ‘책 읽는 소리, 대한민국을 흔들다! 하루 20분씩, 일 년에 12권 읽기!’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BCWW 2012, 국내외 방송콘텐츠가 한자리에 2012-09-06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42개국 400명의 재외동포, 고국 땅 밟는 날 2012-09-07
    • 전 세계 100여 개 국가, 1만 4,000명의 재외동포에게 모국 방문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조국의 발전상을 국외에 알리고, 한민족의 자긍심을 고양하며, 해외동포 사회의 결속력을 다지는 데 기여해 왔다. 올해 ‘세계한민족축전’을 통해 고국 땅을 밟게 되는 400명 재외 동포 중에는 항공비와 참가비를 부담하는 일반 초청자 외에도 경제적 여건이 여의치 않아 고국 방문에 어려움을 겪었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16개 국가 19명의 특별 초청자와 입양아 4명도 포함되어 있다. 워싱턴 주 최초 한인여성 하원 의원인 신디 류(한국명 김신희, 54세) 씨, 오스트리아 비엔나 여성합창단에서 활동 중인 이영숙(62세, 여) 씨, 고려인 2세로 모스크바에 거주하는 김 콘스탄틴(73세, 남) 씨, 조지아에서 행상을 하며 어렵게 생활하고 있는 고려인 반 바체슬라브(63세, 남) 씨의 고국 땅 방문이 눈길을 끈다. * 주요 일정 9. 14.(금) ․등록 및 오리엔테이션 9. 15.(토) ․통일기원 DMZ 방문 ․환영연(인천 라마다송도호텔) 9. 16.(금) ․‘점프’ 공연 관람 ․서울테마탐방 9. 17.(일) ․전북테마탐방 ․전주 이동 9. 18.(월) ․전통놀이마당축제 참가 9. 19.(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부 내 박물관 전담부서로 박물관정책과 설치 2012-09-07
    • 변화와 박물관의 역할 확대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박물관 발전 정책 요구 ㅇ 1909년 국내 첫 근대 박물관 개관 후 100년이 지난 바,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 발전 종합구상 필요 Ⅱ. 박물관 정책 환경의 변화 ㅇ 인구 구성의 변화와 고령화 사회 도래에 따라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용수요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 -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고령 관람객 증가 등 관람객층 다변화 - 조기은퇴자의 여가, 교육, 재취업 등을 위한 사회적 수요 확대 ㅇ 근대 박물관의 시작 이래 사회교육은 박물관의 핵심적인 기능이었으며, 최근 환경 변화로 이러한 교육적 역할에 대한 사회적 기대 증가 - ‘주5일 수업제’ 실시로 양질의 ‘학교 밖’ 교육프로그램 필요 - 다문화사회에서 문화다양성 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 역할 기대 ㅇ 문화적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 및 저소득층의 여가활동을 위한 문화복지 서비스 수요 급증 - 가족, 학생, 직장인 등을 위한 맞춤형 체험학습 활동 수요 증가 - 중산층 감소와 계층간 소득격차 확대에 따라 저소득층 문화예술활동 제약, 지역에 따른 문화향수 및 문화소비...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