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문화’에 대한 검색결과는 25966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25966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경륜·경정 장외지점, 문화 동호인을 위한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 2014-03-18
    • 동호회 활용가능 시간 및 연락처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과 안미란 사무관(☎ 044-203-3120), 국민체육진흥공단 고객만족팀 김미숙 팀장(☎02-2067-5150), 지점지원팀 최창렬 팀장(☎02-2067-5600)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경륜•경정 장외지점 문화 동호회 활용가능 공간현황 ▣ 자전거 체험공간 구 분 위 치 대상공간 담당자(연락처) 경륜본장 (스피돔) 경기도 광명시 광명6동 780번지 일원 자전거체험관 공세욱 (02-2067-5311) 스피드롬 ▣ 문화 동호회 공간활용 구분 위치 대상공간(㎡) 활용일 활 용 시 간 담당자(연락처) 일산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182 일산올림픽스포츠센터 3~4층 고객홀 150 월 15:00~18:00 라명철 (031-906-5140) 시흥 경기도 시흥시 월곶 중앙로 38 마린월드 2~3층 고객홀 880 화 13:00~18:00 라정숙 (031-404-4500) 강남 서울시 강남구 학동로 171 삼익프라자 3~6층 고객홀 (4층) 593.6 화 10:00~18:00 김창규 (02-2067-6665) 성북 서울시 성북구 동서문로 300 (구)크로바예식장 1~5층 고객홀(5층) 362 월 09:00~18:00 김연화 (02-918-0542) 화 13:00~18:00 고객홀(4층) 485...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전국 문화기반시설 전년 대비 3.02% 증가 2017-02-21
    • 분 지역 인구 수 문화시설 계 공공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 회관 지방 문화문화의 집 구분 1 서 울 10,022,181 35.52 14.57 11.97 3.69 1.60 2.49 0.80 부 산 3,513,777 24.76 10.25 5.41 1.71 3.13 3.98 0.28 대 구 2,487,829 28.94 13.26 6.43 1.61 4.42 3.22 - 인 천 2,925,815 33.15 15.72 10.25 1.37 2.73 2.73 0.34 광 주 1,472,199 38.04 14.26 6.79 6.11 5.43 3.40 2.72 대 전 1,518,775 36.87 15.80 10.53 3.29 1.98 3.29 1.97 울 산 1,173,534 33.23 14.49 7.67 - 4.26 4.26 3.41 세 종 210,884 56.90 18.97 28.45 - 4.74 4.74 - 경 기 12,522,606 39.29 18.21 11.10 3.91 2.79 2.48 0.88 강 원 1,549,507 132.95 34.20 61.96 7.10 12.30 11.62 6.45 충 북 1,583,952 79.55 26.52 28.41 5.05 8.21 6.94 5.05 충 남 2,077,649 74.12 27.92 22.14 4.33 8.18 7.70 3.37 전 북 1,869,711 79.69 29.95 21.39 6.95 9.09 7.49 5.88 전 남 1,908,996 94.81 33.53 24.10 13.10 9.95 11.52 2.62 경 북 2,702,826 72.52 23.68 24.05 4.07 9.62 8.51 2.59 경 남 3,364,702 56.47 19.32 17.83 2.67 5.94 5.94 4.76 제 주 624,395 201.80 33.63 10.09 30.43 4.80 3.20...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018년 8월 23일부터 음악 공연권 행사 범위 확대 시행 2018-08-20
    • - 커피‧생맥주 전문점, 체력단련장 등으로 공연권료 납부 대상 확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창작자의 음악 공연권 행사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저작권법 시행령 제11조 개정안이 2018년 8월 23일(목)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 (공연권) 저작물 또는 실연·음반·방송을 상연·연주·가창·구연·낭독 재생 그 밖의 방법으로 공중에게 공개할 권리(「저작권법」 제2조 제3호) 저작권법 제29조 제2항에 따르면 반대급부를 받지 않고 상업용 음반 또는 영상물을 공연할 경우에는 저작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시행령 제11조에서 규정한 시설(업종)에 한해 권리 행사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내 권리자와 학계에서는 공연권을 원칙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해외 입법례에 비추어 국내 공연권 행사 범위를 확대해달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문체부는 이러한 의견을 반영하여 음악사용 실태조사 및 경제적 분석(‘16. 10.~’17. 2.), 이해관계자 대상 의견수렴(‘17. 3.~17. 8.) 등을 통해 창작자의 권익 강화를 위해 공연권 행사 범위를 확대하는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이 개정안은 올해...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가상현실(VR) 기기·드론 활용 여행영상 공모전 개최 2016-07-04
    • 영상미(20점), 완성도(20점)이며, 관심 있는 일반 개인들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촬영 기술보다는 기획 아이디어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1등상인 문체부 장관상(상금 500만 원) 1명(팀), 2등상인 한국관광공사 사장상(각 300만 원) 2명(팀) 등, 총 32명(팀)에게 1,800만 원이 수여된다. 또한 문체부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공모기간 중 수시로 다채로운 경품 행사를 진행해 공모전의 재미를 더할 예정이다. 접수기간은 7월 18일(월)부터 10월 3일(월)까지이며, 이번 공모전에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네이버 플레이리그(http://tvcast.naver.com/play) 해당 공모전에 응모하고자 하는 영상을 올리면 된다. 문체부 담당자는 “여행은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는 ‘문화융성’의 한 측면이다. 이번 공모전이 개인의 행복한 기억들이 주변의 많은 이들과 공유되는 뜻깊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이번 공모전을 통해 신기술을 활용한 관광영상 콘텐츠 제작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여 가상현실(VR)산업의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가상현실(VR) 기기·드론 활용 여행영상 공모전’ 포스터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체부는 대통령실로부터 패션위크 행사를 제안받은 바가 전혀 없습니다 2022-10-24
    •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설명자료 보도 일시 2022. 10. 24.(월) 배포 일시 2022. 10. 24.(월) 담당 부서 문화예술정책실 책임자 정책관 이은복 (044-203-2701) 예술정책관 담당자 사무관 김용수 (044-203-2748) 문체부는 대통령실로부터 ‘패션위크 행사’를 제안받은 바가 전혀 없습니다 □ 10월 24일(월) 보도된 “대통령실, 문체부에 ‘청와대 패션쇼 행사’ 제안” 제하의 기사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알려드립니다. □ 문체부는 대통령실로부터 ‘패션위크 행사’를 제안받은 바가 전혀 없습니다. ‘패션위크 행사’는 당초 서울시가 문화재청에 청와대 경내에서 개최하는 것을 제안한 것이며, 문체부는 대통령실과 해당 행사를 포함한 청와대 활용 논의를 한 것입니다.
    • 알림소식 > 언론보도설명·정정 붙임파일
  • 문체부, ‘제4차 관광개발기본계획’ 발표 2021-12-30
    • 문화체육관광부 보 도 자 료 보도 일시 2021. 12. 30.(목) 09:00 배포 일시 2021. 12. 30.(목) 09:00 담당 부서 관광산업정책관 책임자 과장 권도헌(044-203-2891) 관광개발과 담당자 사무관 최대경(044-203-2892) 문체부, ‘제4차 관광개발기본계획’ 발표 - 향후 10년간 관광개발의 바람직한 미래상 제시 - □ ‘미래를 여는 관광한국, 관광으로 행복한 국민’을 비전으로 설정 □ 매력적 관광자원 발굴, 편리한 관광 편의 기반 확충 등 6대 전략, 17개 추진과제 도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는 관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 하고 관리하기 위해 12월 30일(목), ‘제4차 관광개발기본계획(2022~2031년, 이하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발표했다. 기본계획은 향후 10년간 관광개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하는 관광개발 분야 최상위계획으로서 「관광진흥법」 제49조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계획이다. 제3차 기본계획의 기간(2012~2021년) 만료에 따라 수립한 제4차 기본 계획은 공급자(개발자) 중심에서 수요자(관광객) 중심으로, 관광자원의 개발 중심에서 개발과 활용의 균형으로 정책 방향성을 전환했다. 또한 국민참여 누리집과 청년참여단 운영, 정부 부처...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서버를 해외에 둔 저작권 침해사이트 운영자 최초 검거 2016-09-08
    • 폐쇄된 사이트는 서버를 미국에 두고 지난해 8월부터 운영을 해 오면서 소설, 만화 등 15,514건의 저작물을 운영자가 직접 스캔하거나 회원들이 업로드하는 방법으로 게시하였으며 총 391만 회 다운로드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번에 적발된 불법 해외사이트는 무료로 저작물을 이용하도록 하여 일반인들의 접속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해 광고수익을 올리는 일반적인 불법 해외사이트와는 달리 회원제로 운영하면서 회원이 문화상품권의 핀(PIN)번호를 환전게시판에 게시하면 다운로드에 필요한 포인트를 충전해 주고 자신은 회원들이 게시한 핀(PIN) 번호를 문화상품권 관리 기관을 통해 현금으로 환전하여 총 1억 4천만 원의 부당이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번에 검거된 운영자 이외에 사이트 운영에 가담한 4명, 운영자로부터 의뢰를 받아 서적을 불법 스캔해 준 업주 2명에 대한 인적사항을 이미 확보하였으며 이들의 범죄 가담 정도와 그 혐의를 밝히는 데도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서버를 외국에 두는 것은 수사기관의 단속을 회피하기 위한 우회 수단이며, 사이트 운영자는 대부분 내국인이다. 앞으로도 불법 해외사이트에...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체부, 2014년도 상반기 관광진흥개발기금 융자대상 업체 선정 발표 2014-01-16
    • - 상반기 융자액 약 2,510억 원 공급(전년 동기 대비 43.8% 증가), 총 395개 관광사업체 수혜 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2014년도 상반기 관광진흥개발기금(이하 관광기금) 융자대상 업체를 선정, 발표했다. 관광산업은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이나, 관광사업을 하는 기업 중 중소기업이 약 98.4%를 차지하는 등 산업구조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또한, 근래에는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이 급격하게 증가해 관광 부문에 대한 신규 투자 수요가 늘어나 업계의 자금조달 사정은 더욱 어려워진 형편이다. 이에, 정부는 호텔업ㆍ여행업 등 「관광진흥법」상 30개 관광업종을 대상으로, 관광사업체의 자금난 해소와 관광시설 투자 촉진, 고용창출 등을 위해 매년 상ㆍ하반기로 나누어 관광기금을 융자, 지원하고 있다. 금년도 관광기금 융자예산액은 총 4,8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3.8%가 증가하였으나, 상반기 융자신청액은 전년 동기보다 약 20.6% 늘어난 9,188억 원에 달해 최종 융자선정액은 신청액 대비 58.0% 수준인 5,326억 원으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총 395개 업체(시설자금 295개 업체, 운영자금 100개 업체)가 융자혜택을...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부, 3D 콘텐츠산업 육성계획 발표 2010-05-19
    • - 2015년 까지 4천 1백억원 투입, 2조5천억원 신시장 창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관계부처 공동으로 지난 4.8 발표한 ‘3D 산업 발전전략’의 후속조치로 구체적 실행방안을 담은 3D 콘텐츠 산업육성 계획을 발표하였다. 3D산업은 10년안에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바꾸어 놓을 것이며, 영화, TV, 모바일에서 의료, 교육 등 모든 비즈니스에 3D시대가 열릴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특히, 3D 콘텐츠 산업은 △ 급격한 시장확대 △ 새로운 일자리 창출 △ 콘텐츠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한류의 지속창출을 통한 국격 제고 등 글로벌 문화강국을 견인할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3D 시대의 개막을 연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의 예와 같이 3D 산업을 이끌어가는 것은 콘텐츠라고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는 세계를 선도하는 3D TV에 비해 3D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인력, 기술, 투자 등 기초 인프라는 취약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3D기기로 즐길 수 있는 콘텐츠 수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국내시장에 우리 콘텐츠가 아닌 외국콘텐츠가 장악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지난번 발표한 3D 산업 발전전략이...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