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문화’에 대한 검색결과는 25952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25952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전통 공예 장인, 대학 강단에서 기술 전수’ 2011-08-16
    • 1팀)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 명의 수료증 수여 - 진흥원 박람회에 교육 홍보관 개설, 교육 과정 영상 홍보 및 결과물 전시 - 우수 프로젝트 시상 및 인턴십 연계 [붙임2] 대학생 대상 공예 디자인 통합 이론 교육 워크숍 세부 일정 [붙임3] 참여 대학 및 참여자 명단: 5개 대학, 교수 및 공예장인 16명, 학생 201명 권역 대학명 참여 학생수 소속(직위) 교육팀 구성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43명 산업디자인과 이혜선 교수 전용복 옻칠예연구소 전용복 장인 경기 단국대학교 40명 도예학과 박종훈 교수 경기도 무형문화재 사기장 박상진 장인 강원  강원대학교 43명  디자인학과 한기웅 교수 미술학과 권정임 교수 스토리텔링학과 한명희 교수 강원공예문화 연구소 김근숙 연구원 (한지분야)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 이형만 장인 충청 남서울대학교 35명 환경조형학과 이용필 교수 시각디자인과 윤홍렬 교수  환경조형학과 윤장식 교수 중요무형문화재 제와장(기와)전수교육조교  김창대 장인 동남 부산대학교 40명 조형학과 남궁경 조형학과 김성연 중요무형문화재 나전장 이수자 장철영 장인 [붙임4] 2010 대학생 대상 공예 디자인 교육(시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전통문화의 한류 동반진출 전략 연구포럼’ 운영 2012-10-08
    • 책임연구원(☎ 02-2669-699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 ‘제1회 전통문화 한류 동반진출 전략 연구포럼’ ▣ 개 요 주제 : “전통문화는 한류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일시 : 2012년 10월 9일(화) 14:00~17:00 장소 :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 주최/주관 :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시간 계획 13:30~14:00 참가 등록 14:00~14:15 일정 및 참석자 소개 인사말 곽영진 │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14:15~14:50 기조강연 글로컬시대 전통문화의 재조명 서연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이사장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4:50~15:00 휴 식 15:00~16:40 사회 한민호 │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민족문화과장 제1주제 전통문화 세계화 정책의 의의와 전개 이원태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제2주제 한류와의 관계에서 본 전통문화 브랜드 제고 방안 - 공예를 중심으로 - 손혜원 │ 크로스포인트 대표 토론 1주제 김동윤 │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원 일 │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2주제 양선희 │ 중앙일보 논설위원 조희숙 │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 과장 16:40~17:00 청중 질의 및 마무리 * 세부 일정은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전통예술과 치안한류로 문화융성 이끈다!’ 2015-12-11
    • 이번 업무협약식에서 ’16년 3월경 경찰국악대 창설을 계기로, 국악을 통해 우리의 소중한 전통예술 가치를 확산하고, 치안한류를 통해 문화융성과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데 뜻을 모으기로 했다. 경찰청은 앞으로 30명 규모의 의무경찰로 구성된 경찰국악대를 창설하여, 경찰청 주요 행사는 물론 국악 연주회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경찰의 위상을 높이고 우리 전통예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 이에, 문체부는 우수한 실력을 갖춘 국악 전공자들이 군복무 기간 중 경력 단절 없이 국가에 봉사하며, 예술역량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또한 문체부는 국립국악원과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등 산하기관과 협력하여 경찰국악대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악 교육 훈련과 연습 장소를 제공하고, 이러한 예술적 지원 외에도 국악대 운영을 위한 행정과 공연 사업 기획 등 다방면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경찰청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계기로 경찰관과 의무경찰이 참여하는 국악 등 전통예술 교육 및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해 우리의 우수한 전통예술을 확대․보급할 예정이다. 또한, 양 기관은 우수한 치안역량을 바탕으로...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전통주 갤러리’ 문 열어(2015. 2. 11.) 2015-02-11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정부 새 상징도 최순실 라인 작품’, ‘정부상징 차은택 주도’ 보도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밝힙니다. 2016-10-31
    •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밝힙니다. 10월 29일(토) 일부 언론의 ‘애초부터 최순실표 태극’, ‘정부상징체계도 차은택 주도’라는 제하의 보도들은 사실과 달라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밝힙니다. 1. 「지난해 3월 문체부의 공모지침 발표 직전에 열린 1차 자문단 회의에서 ‘태극무늬’로 사실상 결정이 났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 상징 소재가 논의․확정된 시점은 디자인의 거의 완성된 2015년 11월 자문회의로, 기사에서 언급한 상징소재 결정에 관한 3월 자문회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3월은 ‘무궁화 또는 태극’뿐 아니라 새로운 소재 발굴을 위해 자유소재도 요청한 시점이며, 심사가 이루어진 10월에도 ‘무궁화’와 ‘태극’소재 디자인이 복수로 선정작이 되는 등 소재 확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정부상징체계 디자인 공모지침 공고(’16. 3. 23.) 홈페이지에서 발췌> - 이후 수정․보완, 추가 개발을 거친 총 5개의 안을 11월 각계각층의 인사가 참여한 자문회의에 올렸고, 회의 결과 ‘무궁화보다는 태극을 소재로 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이를 계기로 우리 부는 ‘태극’후보작을 발전시켜 현재의 새로운 정부상징을...
    • 알림소식 > 언론보도설명·정정 붙임파일
  • ‘정부, 시제이(CJ)에 문화융성 광고 강요 의혹’보도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밝힙니다 2016-11-24
    • 담당부서 국민소통실 여론과 담당과장 정은영(044-203-2929) 담 당 자 서기관 김일(044-203-2926) ‘정부, 시제이(CJ)에 문화융성 광고 강요 의혹’보도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밝힙니다 11월 24일(목), 일부 언론에서 “정부가 문화융성 홍보를 위해 시제이(CJ)에 광고를 강요했다는 의혹이 있다.”라는 취지로 보도했으나, 이는 사실과 달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의 입장을 알려드립니다. 이 광고는 정부광고 대행기관인 한국언론재단을 통해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시제이 이앤엠(CJ E&M)과 광고계약을 체결, 추진되었습니다. 시제이 이앤엠(CJ E&M) 측은 제안서를 통해 문체부가 부담하는 광고비에 상응하는 통상적인 영업 범위 내에서 광고 송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 계약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또한, 문체부의 문화융성 광고 집행액은 총 2억 2천만 원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위임전결규정(문체부 훈령)」에 의거, 당시 제2차관이 이를 최종 결재했던 것입니다. 따라서, 이 광고는 통상적인 거래 관행의 범위 내에서 송출이 이루어진 것이며, 시제이(CJ)에 대한 강요나 특혜가 있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이 자료에 대하여...
    • 알림소식 > 언론보도설명·정정 붙임파일
  • ‘정부3.0 구현, 문화정보 민간개방과 창조경제 활성화’ 설명회 개최 2013-12-18
    • 트워크) 서비스를 기획한 ‘보고쉽’이 수상하였다. 문체부는 소속‧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1억여 건의 문화정보 중 올해 1천만여 건을 이미 개방하였으며,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5천만여 건 이상을 개방할 예정이다. 또한, 2014년부터는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비즈니스모델 발굴과 상품개발 등 민간에서 유용한 사례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행사가 기관에는 문화정보의 민간개방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국민에게는 문화정보의 질적 우수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문화정보 활용이 대폭 늘어나 문화융성을 도모하고 창조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 1. 정부3.0구현-문화정보 민간개방과 창조경제 활성화(행사 개요) 2. 2013년 공공문화정보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설명자료) 3. 정부3.0 공공문화정보상 기관 및 수상작(PPT)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정보통계담당관실 사무관 백정기(☎ 02-3704-9275), 한국문화정보센터 공공사업부 책임 홍선희(☎02-3153-283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정조’의 효심 담은 회갑연, 창경궁에 최초로 오른다! 2015-10-29
    •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ㅇ 주관 : 국립국악원,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창경궁, 국악방송 □ 의례 순서 의례순서 의 례 내 용 주요음악 음악 및 정재 초엄(初嚴) ㅇ 궁중에서 큰 의례가 있을 때 준비를 알림(대고(大鼓)를 침) 중엄(中嚴) ㅇ 의례 준비의 중간단계임을 알림 (대고(大鼓)를 침) 수제천(壽齊天) ㅇ 정조 등장 삼엄(三嚴) ㅇ 의례 준비의 마지막 단계임을 알림(대고(大鼓)를 침) ㅇ 정조의 어머니이자 잔치의 주인공인 혜경궁 홍씨, 자궁(慈宮)이 등장함 낙양춘(洛陽春) 배례(拜禮) ㅇ 내외명부(內外命婦)가 절하는 자리(배위(拜位))로 나와 두 번 절을 함 진작(進爵) ㅇ 정조가 장수를 기원하는 술인 수주(壽酒)를 하사하면 자궁상궁이 받아 잔칫상에 올림 ㅇ 연회를 맡은 관리인 전찬(典贊)이 임금의 덕을 칭송하는 치사(致詞)를 낭독함 거작(擧爵) ㅇ 정조가 엎드려 절한 후 교위로 돌아가고, 자궁은 술을 드시고 잔치를 선포함 산호(山呼) ㅇ 정조 이하 연회에 참석한 모든 제신이 ‘천세’를 세 번 외친 후 배위함 제 1작(第 一爵) ㅇ 정조가 자궁에게 술을 따라 올리면 이를 자궁이 드시고 정조에게 잔을 내려줌 보허자(步虛子) 헌선도(獻仙挑) 제...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