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509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509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문체부는 관광진흥개발기금 지원이 특정 지역 편중 없이 지역관광 균형 발전에 기여토록 노력 2014-09-24
    • 기준이 되었던 것입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체부가 박근혜정부 들어 특정지역에 편중해서 예산을 책정하거나 지원한 것은 아니며, 각 지방의 계기별 신청수요 및 지방재정의 여건과 행정절차 이행 상태, 지자체의 사업 준비 상황 등에 따라 지역별 지원액이 달라진 것입니다. 앞으로도, 문체부는 지역관광의 균형 발전과 지속적인 성장을 유도해나가는 한편, 관광진흥개발기금 지원 시 특정지역에 예산이 편중되지 않도록 지역 간 형평성도 적극 고려해나갈 계획입니다. < ※ 관광진흥개발기금 권역별 지원실적(’03년 ~ ’14년 6월) > (단위: 억 원, %) 구분 영남권 호남권 기타 합계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참여정부(’03~’07) 357 26.9 252 19.0 718 54.1 1,327 100 이명박정부(‘08~’12) 1,251 29.1 1,361 31.6 1,690 39.3 4,301 100 2013년 486 44.0 242 22.0 376 34.0 1,103 100 2014년(6월 현재) 140 27.7 104 20.6 262 51.7 506 100 * 참여정부 및 이명박정부는 5년간 지원총액 기준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과 사무관 김일(☎ 044-203-282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알림소식 > 언론보도설명·정정 붙임파일
  • ‘2012 광고산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 2012-12-17
    • (백만원) 인프라 2,645 47.0 1,079,393 8.9 408 생산 3,212 57.1 8,399,374 69.0 2,615 유통 1,541 27.4 9,813,951 80.6 6,369 서비스 604 10.7 7,182,714 59.0 11,892 전체 5,625 100.0 12,172,681 100.0 2,164 ※ 사업체가 가치사슬 분류에 동시에 포함되는 경우 중복으로 처리(사업체수 및 구성비는 개별업종의 합이 전체보다 큼) <그림> 광고산업 사업체의 가치사슬단계별 해당 분포 광고산업 수출입액 수출 1,132.8억원, 수입 8,910.6억원 □ 2011년 광고업 수출액은 1,132.8억원이며, 수입액은 8,910.6억원이다 (국적기준*). ㅇ 수출은 국내기업들의 해외진출 활성화에 따라 전년도 873.6억원에서 1,132.8억원으로 큰 폭 (약 29.7%) 상승하였으며, 수입액은 전년도 8,523.6억원에서 8,910.6억원으로 상승(약 4.5%)하는 등 매해 점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수출입 현황 (국적기준) (단위 :백만원) < * 광고산업 수출입 규모 집계 기준 > ◦ (국적기준) 광고회사의 소재지와 관계없이, 수출은 직접수출과 한국국적 자회사에 의한 해외 판매의 합계로 구성하며, 수입은 직접수입과 외국국적 자회사의 국내 판매의 합계로 구성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 콘텐츠 분야 창의 인재 동반 사업 개시 2011-07-13
    • 창작의 기회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시작하게 되었으며, 해당 분야 전문가를 멘토로 선정, 멘토가 직접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2~3명의 교육생을 참여시켜 직접 가르치는 ‘도제 교육’을 통해 창조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멘토로 위촉된 참가자들은 ‘실미도’, ‘공공의 적 2’의 김희재 작가, ‘이끼’의 윤태호, ‘프리스트’의 형민우 만화가, ‘국가대표’의 박현철 촬영감독 등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스엠(SM) 엔터테인먼트, 피엠시(PMC), 학산문화사 등의 기업들도 교육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사업의 신뢰성을 높였다. 심사를 통해 선정된 교육생들은 멘토들로부터 무료로 교육을 받을 뿐만 아니라, 교육 기간에는 매월 100만 원(4대 보험 포함)의 교육 수당을 지급받아 안정적인 창작 활동에 임할 수 있게 되며, 사업 종료 후에도 멘토와 참여 기업의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문화부에서는 시범 사업 운영 후 추가적인 예산 확보를 통해 금년도의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동 사업을 향후 글로벌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는 핵심 콘텐츠 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도서관 344곳에서 삶과 사회를 성찰하는 인문 프로그램 진행 2020-05-28
    • 147 경기 양주시 덕계도서관 100년 전 문학가 및 예술가를 통해 나의 100년을 세우다 최미경 031-8082-7451 148 경기 여주도서관 동학농민운동과 여주 최아정 031-887-3308 149 경기 연천군 중앙도서관 코로나19 그 후, 관계를 읽는 시간 백남경 031-839-4417 150 경기 오산시 꿈두레도서관 가장 오래된 이야기, 신화로 배우는 인문학 조현성 031-8036-6527 151 경기 오산시 양산도서관 인문학에서 나를 만나다 곽양숙 031-8036-6163 152 경기 의왕시내손도서관 고난을 창조로 바꾼 추사 김정희! -추사를 제대로 알고, 캘리그라피를 쓰다 김민희 031-345-2644 153 경기 의정부정보도서관 여행과 인간 - 삶의 치유를 위한 여행 인문학 김윤선 031-828-8702 154 경기 중원도서관 더 나아가기 위한 멈춤! 코로나 19시대 인문학 길 찾기 조정현 031-752-3913 (내선 621) 155 경기 차의과학대학교 도서관 개인의 건강 증진을 돕는 인문학 박지은 031-850-9451 156 경기 파주시중앙도서관 나랏말ᄊᆞᆷ과 파주의 말모이 학자 정태진 신민주 031-940-5651 157 경기 평택시립장당도서관 깨지는 아픔, 깨어나는 희망 박영선 031-8024-7461 158 경기 포천시립중앙도서관 불확실한 시대,...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녹색관광 정책개발 국민 아이디어 및 논문 공모전 실시 2010-06-21
    • 비 고 공 모 ⧠ 아이디어, 논문 공모 ∙ 홈페이지(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레저학회) 게재 ∙ 일간지 또는 전문지 공고 6.21~9.17 -개인 -팀 구성시, 4인이내 ⧠ 아이디어, 논문 1차 평가 ∙ 평가방법 : 온라인 평가 ∙ 평가위원 : 학회 전문가 9.30 ⧠ 아이디어, 논문 2차 평가 및 최종평가 ∙ 평가대상 : 1차 평가 선정작품 ∙ 평가위원 : 교수 등 전문가 10월 중 ⧠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현장설명 및 답사 ∙ 참가대상 : 80여명(대학생/지도교수 등) ∙ 대 상 지 : 영암․해남 및 태안기업도시 8월, 10월 2회 학술대회 ⧠ 1부 : 시상작 발표대회 ⧠ 2부 : 전문가 주제발표 ∙ 내 용 : 전문가 발표 및 토론 ∙ 대 상 : 교수 등 전문가 11월 중 □ 시상내역 분야 당선작 시상금 내역 녹색관광 아이디어 (10명) ∙대 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 1명(200만원) ∙최우수(한국관광공사 사장상) : 1명(100만원) ∙우 수(한국관광․레저학회 회장상) : 2명(각 50만원) ∙장려상(상품) : 6명(각 20만원)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논문집 (7명) ∙대 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 1명(300만원) ∙최우수(한국관광공사 사장상) : 1명(200만원) ∙우 수(한국관광․레저학회 회장상) : 2명(각...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지역 서점 활성화로 문화융성 이끌 ‘문화융성카드’ 출시된다 2015-10-12
    • 적립된 금액을 문화창작기금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카드 보유자가 카드를 이용하면 문화예술 분야 창작 활동을 후원하게 되는 셈이다. 사전 분석 결과, 체크카드 100만좌 발급 시 연 3억 원 적립이 예측된다. 무엇보다 이번 ‘문화융성카드’는 BC카드 핀테크(fintech)*와 연동하여 모바일 카드로도 발급됨으로써, 정보기술(IT)에 기반을 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결합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카드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첨단 생활 속에서 핀테크 기술을 빠르고 편리하게 누리게 된다. BC카드 측은 한국서점조합연합회와 협의하여 100여 개 지역 서점을 시범 대상으로 선정하고, 터치로 모바일 카드 결제가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NFC) 단말기를 지원할 예정이다.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로,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금융 기술 ‘문화가 있는 날’ 적극 참여와 ‘문화포인트플랫폼’ 구축 사업에도 협력 합의 한편, 이날 협약식에 참가한 문체부와 한국서점조합연합회, 교보문고, BC카드는 각사 임직원 및 단체 회원과 그 가족이 매달 마지막 수요일인 ‘문화가 있는 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정시 퇴근을 독려키로 했...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 전시 개최 2017-11-01
    • 개최 100일 전(G-100일)을 맞이해 열리는 이번 전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이희범, 이하 평창조직위), 국립현대미술관(관장 바르토메우 마리), 올림픽 문화유산재단(Olympic Foundation for Culture and Heritage)의 협력으로 진행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 공모’로 선정된 8점의 예술포스터와 작품의 원작, 작가의 작업 의도, 역대 올림픽 포스터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문체부와 평창조직위의 공동 주최로 지난 5월 2일(화)부터 7월 31일(월)까지 진행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예술포스터 공모’에는 디자인, 미술, 공예 등 여러 분야의 대학생,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디자이너 등 다양한 연령대의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공모전 모집 결과, 136명(팀)의 작품 205점이 접수되었고 이 중 8점이 최종적으로 선정됐다. 선정작은 김종욱의 ‘평창의 열정’, 김예슬의 ‘극기산수화’, 전창현의 ‘안녕, 달!’, 박성희의 ‘조각한글이음보’, 김주성의 ‘평창, 강릉, 정선 그리고 겨울’, 김재영의 ‘태백(太白)’, 홍현정·황수홍의 ‘겨울 스티치: 사랑과 기원’, 기은·하동수의...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박찬숙, 임오경 등 여성스포츠인들, 한자리에 2013-09-04
    • 여성스포츠 단체(한국여성스포츠회, 한국여성체육학회, 대한체육회 여성체육위원회, 100인의 여성체육인회 등) 관계자, 전문가, 여성스포츠인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여성 정책 현안에 대해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행사명인 ‘여성스포츠인 토크콘서트’에서도 알 수 있듯, 이번 행사는 그간 한자리에 모이기 힘들었던 여성스포츠인들이 함께 모여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여성스포츠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자리였다. 민무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실장의 여성정책 일반에 대한 발제에 이어, 장덕선 한국체대 교수가 여성스포츠 현황과 문제점, 발전과제에 대해 발표하고, 이어 문체부 관계자가 여성스포츠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어서 박찬숙 전 농구선수가 여성스포츠인으로서의 경험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털어놓았고 2부에서는 참석자 모두가 함께하는 ‘속풀이 토크’가 이어졌다. 문체부, ‘스포츠가 있어 행복한 여성, 여성이 있어 행복한 스포츠’ 정책목표 제시 문체부는 이날 발표한 여성스포츠정책 추진방향에서 ‘스포츠가 있어 행복한 여성, 여성이 있어 행복한 스포츠’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남성에...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인 웹 접근성 품질마크 획득 2010-01-07
    • - 웹 호환성 수준 만점, 개인정보보호 등 보안수준 최우수 등급 - □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뿐만 아니라 웹 호환성 수준 만점(100점), 개인정보보호 등 웹 보안 분야에서도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는 등 이용자 누구나 안심하고, 편리하고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 웹 호환성은 국제표준화기구(W3C)에서 정한 웹 표준으로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홈페이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행정안전부에서는 2011년부터 신규 구축되는 대민 사이트에서는 호환성 준수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 개인정보보호수준 및 웹 취약점 준수, 대민서비스 보안수준 등은 공공기관의 홈페이지 운영시 준수해야할 보안사항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 앞으로도 웹 접근성·호환성, 보안 등 각종 웹 표준 지침 준수 등을 통해 우리부 대표 홈페이지뿐만 아니라 소속·공공기관 홈페이지에서도 누구에게나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정보통계담당관실 박홍규 주무관(☎ 02)3704-927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