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사각지대’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게시일
2010.12.16.
조회수
3508
담당부서
문화여가정책과(02)3704-9421)
담당자
이은복
본문파일
붙임파일

 “2008년 대비 예술행사 관람률이 군 지역, 저소득층에서 뚜렷이 증가”
문화체육관광부 2010 문화향수 실태 조사 결과


 문화 사각지대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발표한 ‘2010 문화향수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어촌 등 군 지역과 월 소득 100만 원 만의 저소득층의 문화향수율이 높아져 소득 간·도농 간 문화 격차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군(郡) 지역 거주자 10명 중 5.6명이 1년에 1회 이상 문화예술 관람

  이번 조사에서 지난 1년 동안(2009. 3.~2010. 2.) 군 지역 거주자들의 예술행사 관람률은 56.8%로, 일 년 동안 10명 중 5.6명이 1회 이상 문화예술을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수치는 지난 2008년 조사의 48.9%에 비해 8%p가량 증가한 것이다. 전체 국민의 예술 관람률이 67.2%로 2008년 조사(67.3%)와 비슷한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농어촌 지역 중심의 군 지역 관람률은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또한 군 지역 거주자의 경우, 지역 문화시설 이용률(58.5%)이 도시 지역(대도시 50.2%, 중소도시 53.1%)보다 높았으며, 문화행사 참여율(32.6%)도 도시 지역(대도시 26.2%, 중소도시 25.8%)보다 높았다. 학교교육을 제외한 문화예술 교육 경험을 묻는 질문에서도 군 지역 거주자들의 참여율(12.9%)이 대도시 지역 거주자들의 참여율(9.2%)을 웃돌았다. 군 지역의 문화향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대도시 거주자와의 문화향수 격차도 2008년의 21.7%p에서 2010년에는 12%p로 크게 줄었다. 대도시 주민들의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은 2008년 70.6%에서 68.8%로 소폭 감소를 했다.

  한편, 전체 국민의 지역 문화시설 이용률은 52.2%로 2008년 45.2%보다 7%p증가하였으며, 시설별로는 도서관(20.5%)과 박물관(14.8%)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저소득층 문화예술 관람률도 5% 증가

  저소득층의 예술 관람률도 높아졌다. 월 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의 저소득층의 관람률은 24.6%로, 2008년 19.3%에 비해 5%p 이상 상승했다. 소득 간 문화향유 격차는 여전히 큰 편이었으나,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가구와 전체의 평균 관람 횟수의 격차는 다소 줄어들었다. 2008년 조사에서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가구의 관람 횟수는 0.55회로 전체 평균 4.88회와 약 9배 차이가 났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4.5배로서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월 소득 100만 원 미만 가구 0.89회, 전체 평균 4.18회)

  한편, 전체 국민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67.2%로, 2008년 조사 결과 67.3%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장르별 관람률은 영화(60.3%)>연극(11.2%)>미술(9.5%)>대중가요 콘서트(7.6%)>전통예술 공연(5.7%)>클래식 음악회/오페라(4.8%)>문학 행사(3.8%)>무용(1.4%)순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 관람의 가장 큰 걸림돌은 ‘시간 부족’

  이번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문화예술 관람의 걸림돌로 ‘시간 부족(41.5%)’을 1순위로 꼽았으며, ‘경제적 부담(29.3%)’, ‘관심 프로그램 없음(8.4%)’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시간 부족’이란 응답은 2008년 29%에 비해 크게 증가해 ‘경제적 부담’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78.5%가 앞으로 1년 이내에 예술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2008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예술행사의 내용과 수준’(2010년 39.0%, 2008년 41.6%)과 ‘관람 비용의 적절성’(2010년 38.3%, 2008년 41.2%)을 예술행사 관람의주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

  


군(郡) 지역·저소득층 문화향유 증가는 친서민 문화정책 효과 반영

  이번 조사를 주관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정갑영)은 ‘군 지역과 100만 원 미만 소득층의 문화향유 증가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추진해 온 친서민 문화정책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이는 그동안 문화적으로 소외된 농어촌 지역과 저소득층을 집중적으로 배려한 지역 현장 중심의 ‘찾아가는 문화순회’ 사업이나 ‘문화바우처’ 사업 등이 효과를 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체 국민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여전히 연평균 절대 관람 횟수가 낮은 편이고 관람 대상도 특정 장르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 등은 향후 문화정책을 추진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2010 문화향수 실태 조사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5일부터 5월 11일까지 15세 이상 전 국민 5,000명(제주 포함)을 대상으로 실시됐다(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1.4%). 조사 대상 기간은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다.



< 주요 문화향유 실태 조사 결과표 >

 

주요 문화향유 실태 조사 결과표 설명글

도시 규모/

월평균 가구소득

연간 예술행사

관람률

연간 예술행사

관람 횟수

문화시설 이용률

학교교육 이외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2010년

2008년

2010년

2008년

2010년

2008년 

2010년

2008년 

전 체

67.2%

67.3%

4.18

4.88

52.2%

45.2%

9.2%

8.6%

 

 

 

 

 

 

 

 

 

대도시

68.8%

70.6%

4.48

5.12

50.2%

43.0%

9.3%

8.4%

중소도시

67.7%

67.6%

4.06

5.10

53.1%

48.4%

8.3%

9.5%

군 지역

56.8%

48.9%

3.10

2.63

58.5%

41.6%

12.9%

5.1%

 

 

 

 

 

 

 

 

 

100만 원 미만

24.6%

19.3%

0.89

0.55

42.2%

31.2%

7.0%

4.5%

100~199 만 원

46.6%

48.3%

2.33

2.74

45.8%

40.8%

7.6%

5.3%

200~299 만 원

66.4%

70.5%

4.16

4.44

49.9%

45.8%

7.6%

7.1%

300~399 만 원 

75.3%

79.4%

4.65

6.11

56.5%

49.2%

8.8%

9.5%

400만 원 이상

84.7%

80.6%

5.84

7.64

56.7%

47.6%

12.9%

15.0%


 

문화향수 실태 조사 설명글

문화향수 실태 조사는?

 문화향수 실태 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지난 1988년부터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조사로 2006년부터 매 2년마다 시행되고 있다.

 이 조사는 ‘국민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는가’를 파악하기위한 것이다. 조사 항목은 △예술향유(관람 및 창작) △문화예술교육 △문화시설 이용△문화 관련 자원봉사 및 동호회 활동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지역축제 관람 △사이버 문화활동 및 매체 이용 예술 감상 등이다.

 조사 결과의 백분율(%)은 100명의 응답자 중 몇 명이 연간 1회 이상 관람 및 참여를 했는지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 설명글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여가정책과 이은복 서기관(☎02-3704-9421/eblee@korea.kr) 또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조현성 연구원(☎02-2669-9843 /jhs@kcti.re.kr)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