쿤스트할레의 아름다운 한글 이름을 찾아주세요!
게시일
2010.04.08.
조회수
3990
담당부서
문화도시개발과(062-2300-180)
담당자
강원
본문파일
붙임파일

  쿤스트할레의 아름다운 한글 이름을 찾아주세요!

 - 오는 7일부터 21일까지 『(가칭)쿤스트할레 광주』국문 명칭 공모

 - 최우수작 1인 100만원 우수작 2인 50만원 수여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를 담은 친근하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 찾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이하 추진단)은『(가칭)쿤스트할레 광주』사업과 관련 누구나 쉽게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는 국문 명칭을 오는 4월 7일(수)부터 4월 21일(수)까지 15일 동안 공모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공간 ‘(가칭)쿤스트할레’


 추진단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하 전당) 건립 과정에서 전당 완공 이전에 전당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가칭)쿤스트할레 광주』사업을 진행 중이다.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에 2014년 완공예정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대규모 복합문화공간으로, 민주평화교류원, 아시아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아시아예술극장, 어린이문화원 등 5개원으로 구성된다. 특히 예술적 창의성과 첨단기술이 결합한 문화예술 콘텐츠를 창출하며, 아시아의 문화예술자원·예술가·기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문화외교 거점의 기능을 수행할 문화예술창작발전소이다.


 ‘쿤스트할레(KUNSTHALLE)’란 현대예술을 아우르는 전시 공간(Art Hall)을 뜻하는 독일어로, 전당 앞 민주광장에 설치되어 아시아 서브컬처 문화공간의 거점으로 다양한 예술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 서브컬처 : 순수 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창조적 표현을 말한다. 스트리트아트, 그래픽디자인, 클럽문화, 음악, 비디오아트, 프로그래밍, 패션, 정치적 액티비즘 등 창조적으로 만들어나가는 문화다.


『(가칭)쿤스트할레 광주』는 컨테이너 박스를 방형으로 배치하여 그 내부를 공연장으로 활용하는 ‘옥내 복합공연장(Multi Space)’, 국제적 신경향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현대미술 전시공간’, 옥외 벽면에 스크린 월을 설치하여 영상예술을 상시 전시하는 ‘미디어 스크린 월(Media Wall)’, 옥외 아트 공연장인’옥외 아트야드‘, 세계 각국의 아트 매거진 및 중요 서적의 열람기회를 제공하는’아트 라이브러리‘, 방문자간의 만남의 장소로서 네트워크 형성 및 휴식의 공간인’아트 라운지‘로 조성된다.


 누구나 쉽게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가칭)쿤스트할레 광주』국문 명칭 공모에 응모하기 위해서는문화체육관광부(www.mcst.go.kr) 및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www.cct.go.kr) 홈페이지의쿤스트할레 명칭공모 팝업창에서응모서를 내려받아작성하여 이메일로응시하거나 추진단으로 우편ㆍ팩스 접수 또는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면 된다. 접수된 명칭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지리적ㆍ역사적 특성, 상징성, 대중성 등의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정한다. 당선자는 4월 23일(금) 발표하며 최우수작 1인 100만원, 우수작 2인 각5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가칭)쿤스트할레 광주 이용 가상 시나리오

 

 ※『(가칭)쿤스트할레 광주』 이용 가상 시나리오

 

   동갑내기 친구 경애와 도준은 대학 강의가 끝난 수요일 오후 늦게 금남로에 갔다. 평소와 다른 모습이 있어 눈여겨봤는데, 5?18 민주광장에 희한하게 생긴 건축물이 눈에 들어왔다. 수출용 컨테이너 박스로 만들어진 것이었는데, 건축물인 것도 같고 화물 박스를 쌓아 놓은 것도 같다. 그런데 세계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매튜 바니(Matthew Barney)' 의 작품 “주방에서의 키스”가 정면의 스크린 월(screen wall, 영상 벽면)에 방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건물임이 분명했다. 묘한 음악이 흘러나오는 건물은 심상치 않은 분위기를 풍겼다. 정면에 들어서니 안쪽은 전혀 다른 별천지였다. 안내 데스크에서 “누구나 들어갈 수 있는 곳인가요?”라고 물었더니 누구든지 언제든지 공짜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라 했다. 성벽처럼 쌓아놓은 컨테이너 박스들의 중앙에는 공연장이 있었다. LED스크린으로 이루어진 무대 앞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Cristoph의 라틴 뮤직 공연이 펼쳐지고 있었다. 그 앞에 400~500명의 빼곡히 들어선 관객들 속으로 경애와 도준은 들어가서 깊은 음악의 세계에 잠시 빠졌다.

 

   1층 라운지 바에서 커피 음료를 한 잔씩 사들고 2층에 올라가니 백남준의 <야곱의 사다리>, <고인돌> 등 역작들이 전시되어 있었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미래의 모습을 담은 쇼케이스 공간이 있어 앞으로 개관될 전당의 모습을 보여줬다.

 

   별도로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인터렉티브 아트 작품들이 설치되어 있어 관객이 조정하는 데로 움직이는 조각 작품들, 빛, 영상 등이 마음을 사로잡았다. 뒷마당 ‘아트 야드’엔 이우환의 바위와 철판으로 된 작품들이 바닥의 유리상자 속에 설치되어 있어 사람들이 그 위를 걸어 다니며 관람하고 있었고, 그 주변을 컨테이너 박스들이 감싸고 있어 매우 특이한 건축공간을 이루고 있었다. 경애와 도준은 그 컨테이너 박스 위에 올라가 주변을 조망했다. 마치 성벽 위를 돌아다니는 기분이었다. 컨테이너 박스의 우직하고 매우 단순한 형태 속에서 우러나는 최첨단의 예술과, 그 속에서 느끼는 문화는 완전히 색다른 체험이었고, 광주에 이런 곳이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신기했다.

 

   안내 데스크에서 이 공간에 대해 여러 가지를 물었다. 이 곳은 2014년 완공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쇼케이스 공간으로서 향후 전당에서 만날 수 있는 문화콘텐츠들을 미리 체험케 하며, 문화도시 조성에 다양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든 공간이라는 설명을 들었다. 또한 문화 교육프로그램, 작가와의 대화, 동아리 활동 등 커뮤니티 활동도 벌어진다고 하니 경애와 도준도 적극 참여하여 활동키로 결심했다.

 


□ 첨부자료 : 『(가칭)쿤스트할레 광주』 명칭공모 개요

 

연락처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도시개발과 강원 전문관(☎ 02-3704-344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