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4.18.자 한미 FTA 문화분야 기사관련 문화부 입장
게시일
2007.04.18.
조회수
3644
담당부서
문화산업정책팀(02-3704-9612+)
담당자
임성환
붙임파일
2007년 4월18일자 서울경제 5면 및 인터넷에 게재된 「골리앗과의 싸움…문화主權 ‘위태’」 제목의 기사 중 일부 내용이 오해의 소지가 있어 아래와 같이 문화관광부의 입장을 알려드립니다.

< 기사 내용 1 >
▷ “귀하께서는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무단으로 공연 사진과 동영상을 찍어 유포하고 있습니다. 이를 시정하지 않으면 고소 조치를 취할 것이니….”
< 문화부 입장 >
▷ 위와 같은 상황은 현행 저작권법 하에서도 이미 불법입니다. 따라서 한미 FTA 체결로 인해 새롭게 부과되는 의무가 아닙니다.

< 기사(인터넷) 내용 2 >
▷ “대한 출판문화협회 등 출판계는 적어도 연간 200억원의 저작권료 부담이 생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 문화부 입장 >
▷ 문화관광부 연구용역(‘보호기간 연장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2006.9.)에서는 저작권 보호기간 연장으로 인해 출판업계는 연간 약 34억 원(향후 20년간 약 679억 원), 미국에는 연간 약 4억 원의 저작권료를 추가로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연간 200억 원 이상의 손실이 발생하고 미국에는 연간 54억 원의 추가 지급이 필요할 것이라는 출판업계(한국출판문화협회 등)*의 주장은 보호기간 연장에 따른 추가 지급 로열티가 아닌 2006년도에 해외로 지급된 로열티 총액을 추정한 것임을 확인하였습니다.

< 기사(인터넷) 내용 3 >
▷ “미국에 고액의 로열티를 주고 미키마우스 캐릭터를 들여와 각종 상품을 팔던 중소기업들은 저작권료 부담을 계속 안아야 한다.”
< 문화부 입장 >
▷ 미키마우스 등 캐릭터를 이용해서 완구, 인형, 의류, 머그컵 등 생활용품 등을 만들 경우 많은 부분 상표권으로 보호가 되고 있으므로, 저작권 보호기간 연장에 따른 로열티 추가 부담분은 크게 늘 것으로 전망하지 않습니다.

< 기사(인터넷) 내용 4 >
▷ “저작권자에게 개인정보를 공개하는 조항 등은 벌써 사생활 침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 문화부 입장 >
▷ 한미 FTA에서 협정문에서 관련 조항이 포괄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점을 감안, 향후 국내법에 도입 시, 개인정보 보호 부분과 충돌하지 않도록 관련 규정을 정비할 계획입니다.
▷ 개인정보 공개 절차 진행은 법원 또는 행정기관 등 신뢰성 있는 기관이 관여토록 하여 정보의 악용을 사전에 방지하고, 정보 제공 후에도 당해 저작권 침해관련 분쟁 해결 이외에는 정보가 남용되지 않도록 정보의 사용 범위를 법에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등의 내용이 될 것입니다.

< 기사 내용 5 >
▷ “스크린쿼터 축소와 현재유보 결정이 향후 2~3년 안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한다. 영화인들은 이번 FTA 타결로 예술영화나 실험성 높은 영화가 제작되거나 극장에서 상영될 기회 자체가 줄어 영화 전체의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더 큰 문제는 아직은 이런 위기상황을 돌파할만큼 한국영화 체질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
< 문화부 입장 >
▷ 정부는 2006.10월 ‘영화산업 중장기발전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영상전문투자조합의 결성 및 투자 확대를 통한 안정적인 투자환경을 조성해나가고 예술·독립영화와 같은 저예산 영화의 상영기회 확대를 위해 예술영화 전용관(현재 18개 → 2011년까지 70개로 확대) 및 독립영화 전용관(07년 하반기 설립)의 설립·확대를 추진해나가는 한편 그 제작 및 배급과 상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정부는 이제 한국영화가 지속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쿼터에 의존하기보다는 구조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나가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안정적인 투자환경 조성과 온-오프라인을 포괄하는 부가시장(캐릭터, 테마파크, OST 등) 개발, 디지털 시네마 기반 구축 및 한국영화의 해외 진출 등을 다각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입니다.

< 기사 내용 6 >
▷ “특히 온미디어, CJ미디어 등 국내 메이저 복수채널사업자(MPP : Multi Program Provider)들과 MBC ESPN 등 스포츠 채널이 주로 미국 콘텐츠 수입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키워왔기 때문에 미국에서 직접 채널이 들어오면 타격은 예상보다 훨씬 커질 수 있다.”
< 문화부 입장 >
▷ 정부는 그동안 국내 PP(Program Provider)들이 외국 콘텐츠와 국내 지상파 방송콘텐츠에 주로 의존해온 관행에서 벗어나 자체 제작능력을 제고하도록 전략적인 지원대책과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에 PP 및 독립제작사의 제작능력 향상을 위해 방송영상복합 클러스터 조성, 콘텐츠 유통지원을 위한 미디어콘텐츠 신디케이트 설립, 원소스멀티유스(One-source Multi-use)를 위한 콘텐츠 디지털화 사업 전환 지원 등을 관계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추진해나갈 계획입니다.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문화체육관광부 "서울경제 4.18.자 한미 FTA 문화분야 기사관련 문화부 입장"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