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Pot Reaction

One Pot Reaction

분야
전시
기간
2024.07.11.~2024.09.07.
시간
-
장소
서울 | 송아트갤러리
요금
무료
문의
02-3482-7096
바로가기
https://www.songartgallery.co.kr/

전시소개



SONG ART GALLERY에서 도산대로점 M & SONG ART를 개관 하였습니다.

M & Song Art 이번 전시는 작가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특정 주제와 애착소재가 어떤 영향으로 작가의 뇌리에 깊게 각인되었고, 또다른 자아처럼 자리잡았는지 그 keyword 이면의 남 다른 서사를 반추해보고자 한다. 칸트미학에서 아는 만큼 더 즐길 수 있다는 가설이 있는데 근래 뇌 과학 연구결과 예술영역에서는 깊이 아는 사람일수록 예리하게 감상하고 기쁨을 더 누릴 수 있다고도 한다. 이 관점에 더해서 개성 강한 작품들마다 미학적 개념이 서로 다른 요소들이 어떻게 전시장소 안에서 긴장감을 유발하는 동시에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 연결되어 마침내 새로운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특별한 의미의 장소성 (Sence of place)을 드러내고 확장하는지 그 점에 세심한 주의 기울여 줄 것을 제안한다.

너 자신을 발명하라 했던 니체의 명언처럼, 미술가가 자신의 굴곡 진 삶 모퉁이에서 주워 온 극히 작은 편린, 짧은 모티브를 작업의 한 형식으로 삼아 다양하게 변주하고 때로는 평생 한 주제와 형태에 대해 집요하게 사유하는 것은 감각신경시스템을 사용하든, 개념적인 두뇌 시스템을 중시하든 그 이유는 나름대로 강력하게 존재할 것이다.

장 피아제 (Jean Piaget)는 시공간의 맥락에서 어떤 객체에 대한 인지에 이르려면 대상에 대한 능동적인 탐구와 교감이 선행되어야 하고, 애착이라는 남다른 의미가 더해지지 않으면 그 공간(space)은 의미 있는 장소 (place)로 우리의 뇌리에 각인될 수 없다고 했다. 이 같은 애착 이론은 심리학, 진화론, 동물학을 아우르는 학제간 연구가 활발한 분야인데 대상을 다르게 보고 해석하는 예술가들의 심리학 관점에서도 유효하다고 보여 진다. 왜냐하면 민감도 높은 작가가 겪은 상처, 불안, 공포, 위안, 관심사는 기존 공간이나 소재와 상호 작용하여 섬세한 의미, 가치, 기억, 경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이때 어떤 구조로 데이터 베이스가 사고의 틀로 저장되었는지 뜻하는 스키마 경험을 통해서 작가의 두뇌에 구축되면 비로소 특별한 장소성이 형성된다. 그래서 장소에 대한 기억은 공 감각적이고 입체적이며 총체적인 성격으로 생태학 관점에서는 한 장소 안의 반응 (One pot reaction)이자 미술사로는 장소 특정적 (site-specific art) 성격이라 할 수 있겠다.

결과적으로 작가의 개별적인 삶의 경험과 환경이 남다른 애착의 씨앗을 만들고, 사유를 통해 싹을 틔우며 서사는 깊어진다. 이때 작가론과 작품도 동시에 진화하며 직조되는 측면이 강하다. 그러면 작품 형식속에 내포된 힘 점이 멀티시점으로 연결된 알고리즘 관점에서 작품들을 음미해 보기로 하자.

백남준에게 오방색과 고국에 대한 향수는 동의어라 할 수 있겠고, 이우환은 주변의 시간, 상황과 관계에 따라서 회화와 공간 자체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한 작품으로 보이도록 한다. 우고 론디노네 역시 시공간, 자연 개념을 기반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그 과정 사이의 성찰을 다루고, 로니혼은 지구 현안을 통해 인간의 감각을 깨운다.

마유까 아마모토는 유년의 초상인 동물 옷 입은 순수한 아이 이면에 감춰진 어린시절 상처와 극도의 불안을 팝 아트 장르로 풀어내며 윤형근 또한 격변하는 근대 한국 상황속에서 수차례 복역과 죽음의 고비를 넘겼는데 이 시기에 극도의 분노와 울분을 경험한 후 천지문이라고 불린 작품 세계가 말년까지 펼쳐졌다. 박서보의 묘법(ecriture) 시리즈는 70년대 네 살 아들이 한글 연습할 때 쓰고 지우는 것의 반복을 보고 착안한 경험이 수양하는 과정처럼 평생 지속되었다. 김창렬은 재활용할 캔바스 위에 뿌려 둔 영롱한 물방울에 대한 기억이 평생 화두가 되었고 물방울 작가로 남았으며 심문섭 회화 역시 어린시절 통영 앞바다의 물결이 애착의 소재로 작용했는데 생성과 소멸, 가변성, 자연의 순환과 반복을 통해 생명의 원형을 확장해 보여준다. 이강소의 강, 오리와 배는 리드미컬한 필획이 상상의 날개 짓을 상징하는 시발점으로 무한한 상상의 세계로 우리를 안내한다.



M&SONG Art’s inaugural exhibition explores the specific themes and cherished motifs that have imprinted themselves upon and taken root in the artist's mind as almost independent entities, providing an illuminating glimpse of the artist’s identity not distant from Kant’s aesthetic theory of knowledge as enhancing pleasure, recent neuroscience findings show that engagement in the arts correlates to a deeper sense of appreciation and joy. Building on this concept, the exhibition encourages visitors to closely observe how distinct works, each with its own aesthetic approach, generate tension and engage in organic interaction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ultimately unfolding and enriching a new paradigm termed the “sense of place.”

To echo Nietzsche’s famed urging to reinvent oneself, the exhibition gathers fragments and motifs taken from challenges faced by artists in their lives, which have served as inspiration for diverse thematic variations or sometimes as a single, persisting subject across a lifetime.  These motivations are rooted in either the sensory nervous system or the conceptual brain system.

Jean Piaget proposed that to cognitively engage with an object within the contexts of time and space, active exploration and interaction must come first. Without embedding distinct meanings such as attachment into these interactions, the space fails to imprint itself in one’s mind as a meaningful place. Attachment theory resonates across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evolutionary biology, and zoology, and is particularly relevant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s who perceive and interpret objects in unique ways. This pertinence is rooted in how the  personal experiences of sensitive artists―encompassing their wounds, anxieties, fears, comforts, and interests―interact with existing, surrounding spaces and materials. These interactions cultivate delicate meanings, values, memories, experiences, and points of empathy. During these interactions, the manner in which data is organized and stored as cognitive frameworks in the artist’s brain―referred to as schema experiences―ultimately constructs a special sense of place. Consequently, memories of a place take on a multisensory, multidimensional, and holistic character.

Ecologically, this process can be seen as a reaction within a single location, termed a “One Pot Reaction,” also known in the realm of art history as site-specific art.

As a result, the unique life experiences and environments of artists serve as the genesis of distinct attachments, which, when nurtured by contemplation, enrich these narratives. During this process,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artist and the artwork itself intertwine deeply to evolve together. Visitors are invited to engage with these artworks from a perspective that connects the inherent strengths of these art forms through a multi-viewpoint algorithm.

Lee Ufan orchestrates a unified,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space influenced by situational time and circumstances, while Roni Horn addresses issues concerning the Earth through which our human senses are awakened. Influenced by pop art, Mayuka Yamamoto reflects underlying childhood wounds and extreme anxieties concealed behind the innocent visage of a child dressed in animal costume. Having endured multiple imprisonments and near-death experiences amidst the upheavals of modern Korean history. Yun Hyong-Keun utilized his intense anger and frustration to create a profound body of work known as The Gate of Heaven and Earth, which he continued to develop until his later years. Park Seo-Bo's Ecriture series was inspired in the 1970s by observing his four-year-old son repeatedly writing and erasing Hangul characters―a contemplative practice the artist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Kim Tschang-Yeul, notable for his Water Drops works, established the memory of glinting water droplets on recycled canvases a lifelong motif in his art. Shim Moon-Seup’s paintings draw upon his childhood memories of the waves off the coast of Tongyeong, exploring themes of creation, destruction, variability, and the cyclical nature of life to delve deeper into its archetypes. Lee Kang-So’s paintings of rivers, ducks, and boats, with their rhythmic brushstrokes, symbolize the flapping of figurative wings, guiding audiences into a world of boundless imagination.

회원 방문통계

통계보기

전체댓글(0) 별점 평가 및 댓글 달기를 하시려면 들어가기(로그인) 해 주세요.

  • 비방 · 욕설, 음란한 표현, 상업적인 광고,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및 자료 등에 대한 문의는 각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하여 질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