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498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498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한류 소개서 한국 스포츠(『K-SPORTS』),한국 패션(『K-FASHION』) 나온다 2012-12-06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글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개최」 2010-09-30
    • 문장 출처, 사연을 적어 보내 주세요. ▪공모과정: 공모- 접수완료- 심사- 발표- 출간(도서+e-Book) ▪심사내용: 아름다운 문장과 사연 우수작 100개 ▪심사기관: [한글, 아름다운 문장 100선] 선정위원회 ▪심사방법: 서류 심사 ▪결과발표: 2010년 11월 15일 2010 한글주간, KBS한국어진흥원, 형설출판사, ㈜이엠제이 홈페이지 ▪기타 : -응모하신 작품은 일체 반환하지 않습니다. -채택되신 모든 분들께는 [2010년 한글, 아름다운 문장 100선] 도서와 함께 한글날 행사 기념품을 보내드립니다. ⑥ ‘제3회 한글옷이 날개(한글옷 맵시 자랑)’ 개최 - 미녀들의 수다 출연진 한글옷 맵시 뽐내, 가수 이한철 축하 공연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유인촌)와 한글문화연대(대표 : 고경희)는 564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한글에 담긴 어울림 정신을 기리고 펼치고자 시민과 함께 즐기는 ‘제3회 한글옷이 날개’ 행사를 펼친다. 한글날(한글주간)에 펼치는 이번 행사는 우리의 정체성과 고유한 문화를 담은 아름답고 실용적인 한글옷을 다채롭게 경험하고, 한글날에 한글옷을 입고 다니며, 아름다운 한글을 자랑하는 문화를 만들고자 마련하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강지원 변호사, 김영란...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017년 ‘문화가 있는 날’ 권역별 사업 설명회 개최 2017-01-16
    • 연간 100만 명 이상이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공연장과 전시관, 또는 다양한 장소에서 문화행사를 접하고 있다. 2017년 ‘문화가 있는 날’은 지역의 자율성 강화를 통한 자생력 확보 중점 추진 문체부는 ‘문화가 있는 날’이 지역 문화 공동체를 확산시키고, 전국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행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역 인재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는 지역 문화재단과 문화예술단체, 문화기획자 등 지역 문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사업자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문체부는 2016년에 처음으로 추진한 지역 거점 특화프로그램 지원 사업의 추진 성과를 높게 평가하고, 전년과 대비해 20억 원이 증가한 총 50억 원을 투입해 40여 개 ‘지역특화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정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행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에서 지역의 문화인재들이 공동으로 추진하거나, 귀촌한 문화예술인들이 자신의 창작 공간에서 소소하게 개최할 수 있는 문화행사, 지역 주민의 생활문화 행사로까지 지원 범위도 대폭 확대했다. 또한 청년문화예술인에게 공연 기회를 제공하는 ‘청춘마이크’ 사업(’17년 28억...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내년도 신규로 편성된 ‘동반성장 디딤돌’ 사업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2020-11-21
    • 한국문화에 대한 현지 한류 선호인들의 관심을 높일 계획입니다. 그간 한국은 다양한 문화산업 분야에서 해외 시장을 개척해왔고, 2019년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사상 처음으로 100억 불(총 103억 9천만 불, 전년 대비 8.1% 증가)을 돌파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동반성장 디딤돌’은 교류 대상 국가의 문화산업 육성 지원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산업의 발전, 특히 향후 대중문화 해외 진출 확대를 통한 수출 증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입니다. 또한 이 사업은 최근 1억 명에 육박한 전 세계 한류동호인*들과의 교류 확대를 위한 사업으로 한국 대중음악(케이팝)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수의 한류동호인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거나 큰 관심을 가지고 한류를 즐길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전 세계 한류동호인 수: 약 9,932만 명(2019년 한국국제교류재단 지구촌한류현황) 최근 우리 정부가 미얀마 정부와 협력해 2019년 11월 한-미얀마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미얀마의 신진 대중문화예술인 ‘프로젝트케이(K)'를 한국에 초청해(2020. 9. 15.-10. 13.), 국내 기획사 연수와 문화체험 등을 진행하고 미얀마 현지 한류선호인들의...
    • 알림소식 > 언론보도설명·정정 붙임파일
  • 문화가 창조하는 더 큰 대한민국 2011-12-30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콘텐츠산업 진흥 위해 올해 4,522억 원 투입한다 2014-12-31
    • 9,145억 원의 예산이 투자될 계획이다. 이러한 투자를 통해 2015년에는 콘텐츠산업 매출 100조 원, 수출 60억 달러 돌파를 달성할 예정이다.(매출 102조 원, 수출 61조 원, 고용 63만 명 목표) □ 5대 전략별 핵심 내용 (1) 내수시장 확장 측면에서 국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 콘텐츠 금융을 확대하기 위하여 ‘한중 국제 합작펀드(400억 원, 중국 및 양국 민간 규모까지 포함할 시 2,000억 원)’등 문화펀드 최초 합작펀드 조성이 이뤄질 예정이다. 디지털콘텐츠 펀드 또한 1,000억 원 규모로 조성된다. 국민 체감형 문화기술 개발,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 구축, 교육방송 콘텐츠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양방향 교육방송 콘텐츠 서비스 등, 융합형 콘텐츠 서비스 제공도 새롭게 추진될 예정이다. 현장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저작권 신탁단체 과징금 처분 개선 등의 제도 개선뿐 아니라 게임물 민간자율등급제도 정착 지원, 뮤직비디오 민간자율등급 전환 등, 콘텐츠 분야의 등급심의제도도 2015년에는 개선된다. (2) 콘텐츠와 창업·창직 활성화와 창의인재 양성 지역 기반 콘텐츠코리아랩을 확대하여 콘텐츠 분야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 등 지역...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사람 중심 공정생태계 구축으로 콘텐츠 산업 경쟁력 키운다 2017-12-13
    • 저작권 콘텐츠 산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4.9% 성장하면서, 지난해 매출액 100조 원을 달성했다. 하지만 성장의 이면에는 대기업‧유통사업자의 불공정한 관행, 90% 이상이 매출 10억 원 미만 영세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극화된 기업 구조 등의 위기가 상존하고 있다. 이에 문체부는 새 정부 콘텐츠 산업의 전체 비전을 ‘사람이 있는 콘텐츠, 함께 성장하는 산업’으로 설정했다. 이는 산업 내 구성원들이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사람 중심의 산업’을 이루고, 이를 통해 콘텐츠의 제작-유통 과정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함께 성장하는 산업’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공정 상생’, ‘혁신 성장’, ‘공유 확산’의 3대 방향 이번 비전을 실행하기 위한 3대 기본 방향은, ▲ 문화산업 불공정 거래 환경을 개선하고 창작자 등에게 정당한 권리를 보장하는 ‘공정 상생’,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콘텐츠 분야 신산업 발굴, 성장 기반을 확충하는 ‘혁신 성장’, ▲ 콘텐츠산업 기반을 중앙과 지역의 공감과 협업을 통해 지역으로 확장시키고, 더 넓은 세계와 협력하자는 취지의 ‘공유 확산’이다. 문체부가 ‘공정...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부, 문화콘텐츠 수출 확대 전략 발표 2012-02-03
    • 96,827 방송 184,577 228,633 2010년 음악 수출액 중국 3,627.000 4.356% 일본 67,267.000 80.790% 동남아 11,321.000 13.597% 북미 432.000 0.519% 유럽 396.000 0.476% 기타 219.000 0.263% 전체 합계 83,262.000 100.000% 2010년 방송 수출액 중국 20,954.800 25.167% 일본 49,712.800 59.706% 동남아 49,554.800 59.517% 북미 2,814.800 3.381% 유럽 2,317.600 2.784% 기타 1,720.100 2.066% 전체 합계 127,074.900 152.621% 2010년 애니메이션 캐릭터 애니+캐릭터 수출액 중국 1,577 49,368 50,945 13.653% 일본 18,810 16,457 35,267 9.451% 동남아 1,151 27,226 28,377 7.605% 북미 52,463 85,327 137,790 36.926% 유럽 19,527 59,668 79,195 21.223% 기타 3,299 38,282 41,581 11.143% 전체 합계 96,827 276,328 373,155 100.000% 2010년 방송 수출액 중국 966 7.112% 일본 2,258 16.624% 동남아 3,488 25.679% 북미 1,421 10.462% 유럽 4,518 33.262% 기타 932 6.862% 전체 합계 13,583 100.000%총세계시장규모 : 1조 4,195억 달러 국내시장규모 국가별 수출비중 수출액(2009-2010) 음악수출 국가별 비중 방송수출 국가별 비중 애니메이션/캐릭터 수출 국가별 비중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