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509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509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공공디자인 페스티벌'로 일상 속 디자인의 가치 발견하세요 2022-10-04
    • 일대 ㅇ 슬로건 : 1% Better 세상을 바꾸는 아주 작은 변화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더하는 1%의 가치를 ‘하나를 더하다/하나를 빼다/다양하게 결합하다/가치를 나누다’메시지에 주목하여 소개 ㅇ 프로그램 : LCDC SEOUL 친구들, 1% Better 팝업, 1% Better 마켓 등 - 1% Better 마켓 : 2022. 10. 8.(토)~9.(일) 11:00~17:00 LCDC SEOUL 스퀘어 성수동 공공디자인 특구 지도 붙임5 공공디자인 거점(주제, 초대) ㅇ 주제거점 :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 공공디자인 거점 66곳 (경기) 장수의자: 노인 보행 사고를 줄인 어느 경찰관의 아이디어 (부산) 영도 근대역사 흔적지도: 지금, 부산 영도에 겹쳐보는 100년 전 근대 풍경 (대구) 율하문화마당: 방치된 공간이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문화 예술 공간으로 탈바꿈 (서울) SAFE&SAVE 365 어린이 보행 안전 캠페인: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안전 태그 ㅇ 초대거점 : 공공성, 지속 가능성, 친환경성, 미래 지향성이 돋보이는 국공립 기관, 민간 기업 우수 공공디자인 사례 12곳 (미래 지향성) 온드림 소사이어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소셜 임팩트 플랫폼 (친환경성) 국립생태원: 생태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7월 1일부터 시행 2014-06-30
    •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m업무상 창작 저작물(직원의 과거 또는 현재의 업무에 속하여야 함) m저작물의 저작권이 100% 국가·지자체 또는 공공기관에 귀속된 저작물 (2차적 저작물 작성권 특약도 체결한 저작물) 출처 표시 * 공공누리 제2~4유형(상업적이용금지, 변경금지, 상업적이용 및 변경금지)의 적용은 공동저작물 등 제3 자의 권리가 포함된 저작물에 한하여 제3자의 이용허락 범위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 2. 공공누리 적용 방법 (1) 적용 원칙 ㅇ 자유이용이 가능한 공공저작물에는 공공누리 제1유형을 적용하여 공개 ..PAGE:9 - 7 - (2) 개방 유형별 적용 방법 ㅇ (공공누리 부착 및 이용조건 명시) 통상적으로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공공누리 표시 부착 및 이용조건 명시 유형 적용 방법 온라인 (홈페이지) ㅇ 공공저작물이 서비스 되는 웹페이지 하단에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 - (공공누리 표시 다운로드) 공공누리 홈페이지(www.kogl.or.kr)에서 (공공누리 소개 > 공공누리 유형안내)에서 다운로드 - (부착 방법) 홈페이지 게시물 중 자유이용 대상 공공저작물별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위치 및 관련 문구는 기관 특성에 맞게 작성 가능)...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공존·공감·공유 공간으로서의 비무장지대’ 논의 2019-11-18
    • 한 후 토론회에 참석한 100명을 추첨하여 커피 교환권을 증정할 예정이다. * 사전 등록 사이트(URL): dmzpeaceforum.com ** 토론회 사무국 연락처: 02-6953-4056 / ktoforum@gmail.com 한편 문체부는 통일부·국방부·행안부·환경부 등과 함께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 3개 구간(고성·철원·파주)을 개방해 국민들이 실제로 비무장지대 내부를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9월에 발족한 접경 지역 13개 지자체들과의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추진협의회’를 통해 협업 사업을 발굴하고,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기반 조성, 관광콘텐츠 발굴,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통합 홍보마케팅 등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토론회가, 정부기관과 각 분야 전문가들뿐 아니라 관광 현장에서 직접 일하고 있는 해설사들까지 모여 비무장지대 평화관광이 동북아관광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현장과 정책을 연결하는 논의와 교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토론회 세부 계획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관광 중소기업 모의 크라우드펀딩 대회’개최 2017-09-14
    • 시상금 수여(총 상금 증권형 2,000만원, 후원형 700만원) 상 훈 시상내역 시상금(선정 수) (단위 : 만원) 증권형 후원형 대 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1,000(1개) - 최우수상 한국관광공사 사장상 500 (1개) 300(1개) 우수상 300 (1개) 200(1개) 장려상 100 (2개) 100(2개) 합 계 2,000(5개) 700(4개) 총 2,700만 원 (9개) □ 온라인 대회 참여 방법 ① 다음(Daum) 캠페인 사이트 방문 ▶ ② 온라인 모의 크라우드펀딩 참여하기 ▶ ③ 소셜 로그인 다음(Daum) 사이트 내 ‘관광 크라우드펀딩’ 검색 후 캠페인페이지 방문 (https://promotion.daum-kg.net/tourcrowdfunding/) ‘온라인 모의 크라우드펀딩 참여하기’ 배너 클릭 (www.opentrade.co.kr/tourcrowdfunding) 소셜로그인 또는 (네이버, 페이스북 등) 오픈트레이드 로그인 (간단한 소셜로그인 통한 회원가입) ▼ ▼ ▼ ④ 모의 투자금액 지급 ▶ ⑤ 관광기업에 투자 ▶ ⑥ 참여완료 ID 1개당 모의 투자금액 사이버머니 지급 * 후원형 100만원, 증권형 500만원 증권형 / 후원형 기업 중 마음에 드는 기업에게 모의 투자 경품제공 위한 참여 동의 및 연락처 입력* * 태블릿 PC(1명), 1만원권 커피 기프티콘(200명)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가 달린다 2018-10-29
    • 매주 ▲ 금요일 야간 1회, ▲ 토요일 오전과 오후 각 1회 등, 총 3회 운영한다. 이용권은 1만 원이며, 공식 누리집(www.gjcitytour.com)을 통해 사전에 예약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다. 운영 경로는 송정역에서 출발해 ▲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양림동(도보여행), ▲ 오월 광장 및 국립아시아문화전당(도보여행)을 거쳐 다시 광주종합버스터미널을 들른 후에 송정역에서 마무리한다. 문체부는 앞으로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문화예술 융합형 시내관광 버스가 지자체에 확산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지역 콘텐츠를 활용해 특색 있는 관광자원을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붙임 1.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 소개 자료 2.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 사진 자료 별첨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 리플릿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국내관광진흥과 서기관 표광종(☎ 044-203-2853) 또는 한국관광공사 이선영 과장(☎ 033-738-3413), 광주광역시 김지혜 주무관((☎ 062-613-3642)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 소개 자료 (앞면) (뒷면) 붙임2 광주 100년 이야기 버스 사진 자료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국기 태권도 콘텐츠화 추진 특별전담팀’ 발족 2017-09-28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100대 국정과제의 하나로 선정된 ‘태권도의 문화콘텐츠화 지원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태권도 문화콘텐츠화 추진 특별전담팀(TF)’을 발족하고 9월 28일(목), 첫 회의(킥오프 회의)를 개최한다. 추진 특별전담팀(TF)은 태권도진흥재단, 국기원, 세계태권도연맹, 대한태권도협회 등 4개 단체의 실무자와 각계 전문가로 구성되며, ‘총괄’, ‘정체성’, ‘산업화’, ‘세계화’ 등 4개 분과의 총 39명이 이번 특별전담팀에 참여한다.(명단 별첨 참조) 추진 특별전담팀(TF)은 지난 7월 28일(금)에 활동을 시작한 ‘태권도 콘텐츠 발굴 실무 특별전담팀(TF)’이 앞으로 발굴해 낼 콘텐츠안과 관련 정책과제 등을 심의하고 확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체성’, ‘산업화’, ‘세계화’라는 3대 방향 중심으로 과제 발굴 한편, 실무 특별전담팀(TF)은 지난 8, 9월 두 달 동안 관련 논의(5회)를 진행한 결과, 태권도 생태계가 세계 2만여 개의 도장에서 1억 명이 수련하는 양적 성장은 이뤘으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나 심도 깊은 콘텐츠의 개발 등이 부족해 질적 성장에는 소홀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실무...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국기태권도 문화콘텐츠화 연구결과’ 공청회 개최 2018-02-06
    • 보고하는 대국민 공청회를 2월 7일(수) 오후 2시부터 무주 태권도원에서 개최한다. ‘콘텐츠 발굴 연구팀(이하 연구팀)’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태권도의 문화 콘텐츠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7년 8월부터 추진돼왔다. 문체부는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이번 공청회를 마련했다. ‘태권도 문화콘텐츠화 추진특별전담팀’, ‘태권도 4단체 협의체’ 등 연구 참여 이번 연구를 위해 태권도, 관광, 콘텐츠, 언론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태권도 문화콘텐츠화 추진 특별전담팀(TF)’(’17년 9월∼)은 ‘연구팀’이 제안한 안건을 심의(5회)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2회)했다. ‘태권도 4단체 협의체’는 자문회의를 개최(1회)하는 등 다각적인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연구 방향을 가다듬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태권도는 전 세계 2만여 개의 도장에서 1억 명이 수련하는 양적 성장은 이뤘으나,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나 심도 깊은 콘텐츠 개발 등 질적 성장에는 소홀했다’고 분석됐다. 특히 태권도를 수련하는 인구의 저령화 추세가 확대되고 경기중심 태권도가 주류가 되면서 무도성이 약화되는 등...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일반에 공개된다 2014-11-17
    • ⇒ 준공․인수(‘14.11) 2008~2011 2012 2013 2014 문화 전당 기본골격 완성 문화 전당 외형 완성 문화 전당 내부 완성 문화 전당 완공 공정률 32% 공정률 50% 공정률 79.3% 공정률 100% ▪건립 기공식(‘08) ▪골조공사 완료(‘11) * 실시설계(‘06.12-’07.12) ▪외부마감공사 완료 ▪내부마감공사 진행 ▪보존건물 리모델링 착공 ▪내부마감공사 진행 ▪전기 등 설비공사 진행 ▪어린이문화원 골조완료 ▪건축, 설비공사 완료 ▪시운전 및 완공 ※ 보존건물 리모델링 및 외곽주차장공사 추진 ※ 보존건물 리모델링 : 사업내용 확정 후 공사재개(’14.11월 이후) 외곽주차장 건립 : 건축설계 및 부지조성 중(’14.12월) → 기존건축물 철거, 공사추진 ❏ 향후계획 ㅇ 시설인수 및 콘텐츠 조성 등 개관준비 ㅇ 보존건물 리모델링 및 외곽주차장 건립 추진 문화전당 시설규모 시 설 구 분 시 설 구 성 내 용 면 적 (㎡) 민주평화 교류원 (8,310㎡) (2,514평) 5・18민주평화 기념관 지상 1~3층, 전시공간 등 구)도청 본관 및 회의실 리모델링 부분 2,899 (877평) 문화교류지원실 지상 1~3층, 사무공간 구)도청 별관(부분 존치) 3,812 (1,153평) 구) 도청 별관 지상 1~4층, 사무공간 등...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국민생활 정책 현장’ 이야기 및 사진 공모전 입상작 21점 발표 2014-05-21
    • 밥 먹여주냐?’며 책을 홀대하다가 점점 책과 친숙해지는 과정을 재미있게 그려냈다. 이야기 부문에서는 이밖에 우수상 3명, 장려상 5명이 상을 받았다. 사진 부문에서는 대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최우수상은 다문화가족의 동짓날 풍경을 그린 서병대 씨(67세 경기 안산)와, 임신․출산 시 지원되는 고운맘카드를 사진으로 묘사한 김지수 씨(45세 경기 용인)가 받았다. 사진 부문에서는 이밖에 우수상 3명, 장려상 5명이 상을 받았다. 이야기 부문의 상금은 대상 200만 원, 최우수상 100만 원, 우수상 70만 원, 장려상 50만 원이며, 사진 부문의 상금은 최우수상 50만 원, 우수상 30만 원, 장려상 20만 원이다. 수상작들은 관련 부처의 정책홍보에 활용되며 여러 매체에 소개될 예정이다. 붙임: 1. 입상자명단 1부 2. 사진부문입상작(최우수상) 2점(별첨)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국민홍보과 사무관 김재옥(☎ 044-203-303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1> ‘국민생활정책 현장’ 이야기 및 사진 공모전 입상자 명단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한 ‘국민생활정책 현장 이야기 및 사진 공모전’ 입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