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498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498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뜨거운 겨울을 만끽하세요! 겨울여행주간 추진 2016-12-26
    • * KEB 하나은행(600여개), IBK기업은행(600여개), 광주은행(100여개) - 여행주간기간 내 국민관광상품권 특별 프로모션 추진 - 은행 고객용 모니터에 여행주간 홍보 동영상 송출 및 은행창구 통해 홍보리플릿(약 8만부, 할인쿠폰 포함) 제작·배포 ㅇ (지역협회이벤트) 지역 할인업체(관광지, 식당, 미술관 등) 스탬프 투어 등 여행주간 참여업체 홍보를 통한 방문 유도 3 (여행주간 추천) 여행 수요자 선택권 확대 □ 여행주간 가볼만한 곳 추천 ㅇ 알뜰 여행코스 - 여행전문가 활용, 여행주간 주요 권역별 추천여행코스* 제작(테마10선코스 연계) * 할인혜택, 숙박, 교통, 축제 등 볼거리를 망라한 여행코스. 1월 초 발표예정 ㅇ 이달의 가볼만한 곳 - ‘17. 1월 테마 : 가족과 함께하는 체험여행 (12.23 발표) * 선정지역 : 경기도 어린이박물관(경기 용인), 사북 석탄유물보존관(강원 정선), 국립해양생물자원관(충남 서천), 국립무형유산원(전북 전주), 시안박물관(경북 영천) □ 내나라 여행상품 추천 및 할인제공 ㅇ 상품 질이 검증된 ‘추천 내나라 여행상품’ 여행주간 최대 10% 할인 제공(14개사 42개 상품, 리스트 별첨, AI 발생지역상품 제외) ㅇ...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평창올림픽 성공 개최 및 문화·체육·관광의 생활화 추진(2017년도 업무계획) 2017-01-06
    • 질 개선 도모(‘16년 30건 내외 → ’17년 100건 이상) - (활용 확대) 가치평가 연계 펀드(‘16.11 결성) 본격 운영, 민간 금융권과의 업무협력 확대 등 가치평가 결과 활용 활성화 추진 ㅇ (펀드) 콘텐츠기업육성 펀드(기업 지분투자)*, 소액투자 전문펀드** 등 프로젝트 위주 투자에서 기업 장기육성을 위한 투자로 전환 * 콘텐츠 기업 영세성 극복을 위한 기업 지분투자 추진(출자300억, 조성600억) ** 초기 기업을 위한 소액 다건 투자, 원천콘텐츠 등 全 콘텐츠 오픈(출자200억, 조성 300억) New콘텐츠 콘텐츠기업육성 방송드라마 소액 투자 전문 계 정부출자 100억원 내외 300억원 300억원 내외 200억원 내외 900억원 내외 총 조성 200억원 내외 600억원 500억원 300억원 내외 1,600억원 내외 ㅇ (완성보증 등) 국고 출연·금융기관 협약을 통해 신규 공급 규모 확충(‘17년 1,000억 원 신규보증 추진, 전년대비 43%↑), 창업기업 지원 비중 50% 유지 □ 콘텐츠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ㅇ (세제)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세부기준 마련(‘17. 상반기,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개정 추진), 신성장동력산업 연구개발비 대상 장르 확대**(’17. 상반기)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체부, 송인서적 부도 관련 출판계 지원 방안 발표 2017-01-06
    • * 보증비율 85%→100%, 보증료1%→0.5%, 3천만 원 이하 한도사정 우대 등 또한 10인 이상의 중규모 업체에는 금리ㆍ지원요건을 완화*한 긴급경영안정자금(10억 원 내, 2.30%)을 지원할 예정이다. * 금리 3.35%→2.30%, 융자제한요건 및 매출액10% 이상 감소 예외 적용 등 피해 업체는 이르면 다음 주부터 업체 규모에 따라 소상공인진흥공단이나 중소기업진흥공단에 자금을 신청하면, 통상 소요기간(20일)보다 단축된 10일 이내에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세부 연락처 및 위치 별첨) ③ 비상대책센터 구성, 피해 출판사 등 행정 지원[1. 9.(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송인서적 관련 비상대책센터를 구성해 송인서적 피해 출판사, 서점들을 지원한다.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 중소기업청 등 각종 융자 신청을 위한 서류 작성 및 저리융자 방법 등을 자세하게 안내하는 등 출판계와의 소통 창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출판유통협동조합과 협의하여 피해 업체의 서적 재고를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자금 지원 절차 등에 문의가 있는 경우 비상대책센터(김광일/이지민 02-3153-2788~9)로 연락하면 행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유통 선진화 등 정책 지원] ①...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국을 대표하는 100개의 관광지, ’17~’18년 한국관광 100선 선정 2017-01-09
    • 국내외에 알려지고, 지역관광이 자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라며, 한국관광 100선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붙임 한국관광 100선 목록 별첨 한국관광 100선 주요 관광지 사진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과 사무관 이성은(☎ 044-203-2816) 또는 한국관광공사 국내관광전략팀 팀장 전영민(☎ 033-738-3401)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한국관광100선 목록> 지 역 관 광 지                                                                     지 역 관 광 지                                                                     지 역 관 광 지 수 도 권 서울 (11) 서울 5대 고궁 *** 충 청 권 대전 (2) 장태산 자연휴양림** 경 상 권 울산 (4) 영남 알프스 계족산 황톳길** 간절곶* 명동거리 ** 충북 (3) 단양팔경*** 태화강 십리대숲 북한산 국립공원*** 괴산 산막이 옛길** 대왕암공원 경북 (7) 울릉도 & 독도*** 청주 청남대 롯데월드 충남 (5) 공주 공산성 북촌한옥마을 *** 경주 불국사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겨울여행주간을 즐기는 10가지 방법 2017-01-11
    • : 전남 담양·목포, 광주 1. 찾아가는 길 광주대구고속도로 담양 IC → 광주대구고속도로 따라 1.69km → 담양공고교차로 정읍·담양 방면 우회전 → 반룡길 따라 2km → 문화회관 앞 죽녹원 방면 좌회전 → 죽녹원로 따라 900m → 향교교 건너 100m → 죽녹원 2. 할인 맛집 & 추천 맛집 광주 한옥식당 생고기비빔밥, 광주시 남구 백서로 90, 062-675-8886, 모든 메뉴 5% 할인 예향식당 정식백반, 광주시 동구 중앙로 150-4, 062-234-7730 명선헌 전통 한정식, 광주시 동구 지호로127번길 11, 062-228-2942 3. 할인 숙박 & 추천 숙박 광주 반디민박 광주시 북구 평촌길 15, 062-266-2287, www.bandivill.net, 5% 할인 목포시 에프원호텔 목포시 수강로12번길 29, 061-244-7744, 객실 20% 할인(5만→4만 원), 중복할인 불가, 목포시티투어 승차권 소지자에 한 함 힐사이드모텔 목포시 미항로 12, 061-284-6606, 객실 25% 할인(주중 4만→3만 원, 주말 4만→3만 5000원), 중복할인 불가, 목포시티투어 승차권 소지자에 한 함 8. 근대문화탐방 코스 : 전북 무주·완주·익산·군산 1. 찾아가는 길 무주 IC → 영동·무주 방면 → 무주로 5.11km → 구천동·무주덕유산리조트...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요즘 인기있는 우리나라 대표 관광지는? 2017-01-11
    • 알림소식 > 동영상뉴스
  • 문체부·행자부·국토부·조직위·강원도 등, 무장애 관광도시 만든다 2017-01-12
    • 선수촌) - 규모 : 11층 8개동 440세대 2,332베드 사용(접근가능 객실 182객실 436베드) * 국제 컨설턴트 자문내용 반영한 수정 설계디자인 IPC 제공(‘15.12) □ 개최도시 장애인편의시설 개선 세부내용 o 전통음식 상품화 특구사업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 계(a+b) 2016년(a) 2017년(b)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총 계 307 2,066 77 420 230 1,646 강릉시 140 970 20 100 120 870 평창군 167 1,096 57 320 110 776 정선군 - - - - - - o 민간시설(음식, 숙박, 관광시설)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계(a+b+c) 음식(a) 숙박(b) 관광시설(c)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총 계 733 5,632 566 3,962 141 1,410 26 260 강릉시 206 1,760 100 700 80 800 26 260 평창군 518 3,809 457 3,199 61 610 - - 정선군 9 63 9 63 - - - - o 공중화장실(공공시설 50개소, 민간시설 12개소)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 계(a+b) 신·개축(a) 리모델링(b)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총 계 62 7,243 11 2,163 51 5,080 강릉시 44 4,900 5 1,000 39 3,900 평창군 14 1,943 6 1,163 8 780 정선군 4 400 - - 4 400 * 신축․개축 : 2억원/개소, 리모델링...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국 휠체어컬링, 전용경기장에서 2018 평창 패럴림픽 준비 2017-01-12
    • 선수촌) - 규모 : 11층 8개동 440세대 2,332베드 사용(접근가능 객실 182객실 436베드) * 국제 컨설턴트 자문내용 반영한 수정 설계디자인 IPC 제공(‘15.12) □ 개최도시 장애인편의시설 개선 세부내용 o 전통음식 상품화 특구사업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 계(a+b) 2016년(a) 2017년(b)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총 계 307 2,066 77 420 230 1,646 강릉시 140 970 20 100 120 870 평창군 167 1,096 57 320 110 776 정선군 - - - - - - o 민간시설(음식, 숙박, 관광시설)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계(a+b+c) 음식(a) 숙박(b) 관광시설(c)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총 계 733 5,632 566 3,962 141 1,410 26 260 강릉시 206 1,760 100 700 80 800 26 260 평창군 518 3,809 457 3,199 61 610 - - 정선군 9 63 9 63 - - - - o 공중화장실(공공시설 50개소, 민간시설 12개소) (단위 : 백만원) 구 분 합 계(a+b) 신·개축(a) 리모델링(b)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개소 사업비 총 계 62 7,243 11 2,163 51 5,080 강릉시 44 4,900 5 1,000 39 3,900 평창군 14 1,943 6 1,163 8 780 정선군 4 400 - - 4 400 * 신축․개축 : 2억원/개소, 리모델링...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평일 여가시간(3.1시간)은 10년 전과 동일, 휴일(5.0시간)은 오히려 감소 2017-01-12
    • 문화여가행복지수 67.3점, ’14년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연령·소득·지역별 격차 존재 한편 문광연이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활용해 분석한 문화여가행복지수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문화여가행복지수(100점 기준)는 67.3점으로 ’14년 66.7점과 비교해 약 0.6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여가행복지수란 국민들이 문화여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행복을 누리고 있는가를 수치화한 것으로서 2014년에 관련 조사가 처음 실시되었다. 문화여가행복지수는 ▲개인여건(여가시간, 비용)과 ▲자원지수(여가시설 등), ▲참여(여가활동 참여 빈도 등), ▲태도(여가에 대한 인식), ▲만족도(여가생활 전반) 등 5가지 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단위: 점/100점 기준) 이번 조사 결과를 ’14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자원지수(’14년 61.0점 → ’16년 65.3점), 참여지수(’14년 69.0점 → ’16년 72.8점), 만족도지수(’14년 59.7점 → ’16년 59.8점)는 증가했고, 개인여건지수(’14년 65.0점 → ’16년 62.1점), 태도지수(’14년 78.5점 → ’16년 76.3점)는 감소했다. 또한 각 계층별로 문화여가행복지수를 보면, 20대(20대 69점), 고소득자(가구 소득 600만 원...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예술 관람률(78.3%)은 지속 상승, 2003년 조사 이래 가장 큰 폭 증가 2017-01-12
    • 전남(52.7%), 전북(62.2%), 대구(67.8%) 지역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 지역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단위: %) ③ 소득별: 소득이 높을수록 문화예술 관람률 증가, 소득별 격차 여전 소득별로는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30.9%, 100~200만 원은 45.7%로 조사되어 2014년 대비 각각 4.3%포인트(p), 2.0%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월평균 가구소득 600만 원 이상의 문화예술 관람률 89.5%와 비교할 때 소득에 따른 문화예술 관람률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 월평균 가구소득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단위: %) ④ 연령별: 연령이 낮을수록 문화예술 관람률 증가, 20대 이하 95% 이상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15%포인트(p) 이상 상승해 연령별 격차는 일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0대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75.2%, 60대는 55.7%, 70대 이상은 39.4%로 95%가 넘는 20대 이하의 문화예술 관람률과 비교할 때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4> 연령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 (단위: %) ⑤ 관람 의향: 영화에 대한 관람 의향이 압도적, 관람비용이...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