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게시일
- 2017.01.12.
- 조회수
- 13093
- 담당부서
- 문화여가정책과(044-203-2512)
- 담당자
- 김명진
- 본문파일
- 붙임파일
문화예술 관람률(78.3%)은 지속 상승, 2003년 조사 이래 가장 큰 폭 증가 - 문체부,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결과 발표 - 지역·소득·연령에 따른 문화 격차는 지속적 개선 필요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 이하 문체부)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문화향수의 수요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결과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정만, 이하 문광연)과 함께 발표했다.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개요> - 조사 수행 기관/조사 주기: 한국문화관광연구원/2년 - 조사 대상: 만 15세 이상 남녀 10,716명 - 조사 지역: 전국 17개 시도(제주도 및 세종시 포함) - 조사 방법: 1:1 가구방문 면접조사 |
---|
문화예술 관람률 꾸준히 증가('03년 62.4% → '16년 78.3%), 역대 가장 큰 폭 상승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 대한민국 국민의 문화예술관람률은 78.3%로서 2003년 62.4%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 71.3%와 비교하여 7%포인트(p) 증가해 조사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① 분야별: 영화 관람률이 가장 높고, 대중음악/연예, 연극, 미술전시회 순
분야별로는 ‘영화 관람률’이 73.3%로 가장 높았으며 ‘대중음악/연예(14.6%)’, ‘연극(13.0%)’, ‘미술전시회(12.8%)’ 순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영화 관람률은 다른 분야에 비해 가장 큰 폭으로 증가(’14년 65.8% → ’16년 73.3%)해 문화예술 관람률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행사 |
2003년 |
2006년 |
2008년 |
2010년 |
2012년 |
2014년 |
2016년 |
전년 대비 증감률(%p) |
---|---|---|---|---|---|---|---|---|
문학행사 |
4.0 |
4.4 |
4.0 |
3.8 |
6.1 |
6.2 |
5.8 |
-0.4 |
미술전시회 |
10.4 |
6.8 |
8.4 |
9.5 |
10.2 |
10.6 |
12.8 |
2.2 |
서양음악 |
6.3 |
3.6 |
4.9 |
4.4 |
4.8 |
4.9 |
4.5 |
-0.4 |
전통예술 |
5.2 |
4.4 |
4.4 |
5.7 |
6.5 |
5.7 |
7.6 |
1.9 |
연극 |
11.1 |
8.1 |
11.0 |
11.2 |
11.8 |
12.6 |
13.0 |
0.4 |
뮤지컬 |
11.5 |
11.5 |
10.2 |
-1.3 |
||||
무용 |
1.1 |
0.7 |
0.9 |
1.4 |
2.0 |
2.4 |
1.3 |
-1.1 |
영화 |
53.3 |
58.9 |
61.5 |
60.3 |
64.4 |
65.8 |
73.3 |
7.5 |
대중음악/연예 |
10.3 |
10.0 |
8.2 |
7.6 |
13.5 |
14.4 |
14.6 |
0.2 |
전체 |
62.4 |
65.8 |
67.3 |
67.2 |
69.6 |
71.3 |
78.3 |
7.0 |
※ 2012년 조사부터는 연극과 뮤지컬을 세분화하여 구성함. |
② 지역별: 문화예술 관람률 지역 격차 상존 속에 일부 완화, 인천시가 가장 높아(90.3%)
지역별로는 읍면 지역과 중소도시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각각 65.7%, 81.0%로 ’14년 대비 각각 8%포인트(p) 증가한 반면 대도시는 81.2%로 ’14년 대비 5.9%포인트(p) 증가해 지역별 문화예술 관람률 격차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구분에서는 문화예술 관람률이 인천(90.3%), 세종(85.3%), 광주(84.4%), 경기(84.4%)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52.7%), 전북(62.2%), 대구(67.8%) 지역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③ 소득별: 소득이 높을수록 문화예술 관람률 증가, 소득별 격차 여전
소득별로는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30.9%, 100~200만 원은 45.7%로 조사되어 2014년 대비 각각 4.3%포인트(p), 2.0%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월평균 가구소득 600만 원 이상의 문화예술 관람률 89.5%와 비교할 때 소득에 따른 문화예술 관람률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④ 연령별: 연령이 낮을수록 문화예술 관람률 증가, 20대 이하 95% 이상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15%포인트(p) 이상 상승해 연령별 격차는 일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50대의 문화예술 관람률은 75.2%, 60대는 55.7%, 70대 이상은 39.4%로 95%가 넘는 20대 이하의 문화예술 관람률과 비교할 때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⑤ 관람 의향: 영화에 대한 관람 의향이 압도적, 관람비용이 가장 큰 걸림돌
전체 응답자 중 83.8%가 1년 이내 문화예술행사를 관람할 의향이 있고 분야별로는 영화(78.5%), 대중음악(23.5%), 연극(20.1%), 뮤지컬(19.7%) 순으로 관람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문화예술행사에서 우선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34.1%가 “관람비용을 낮춰야 한다.”라고 응답했으며 그 외에는 “작품의 질을 높여야 한다(29.8%)”, “가까운 곳에서 열려야 한다(14.7%)”, “관련 정보가 많아야 한다(10.3%)” 순으로 조사되었다.
|
|
문화향유 확대를 위한 ‘문화의 일상화’ 정책 강화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대상 문화누리카드의 지원금 상향(’16년 5만 원 → ’17년 6만 원), 어르신 문화프로그램 확대 등을 통해 지역·소득·연령 등 계층별 문화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문화가 있는 날의 확대, 생활문화센터의 활성화 등을 통해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문화셈터(stat.mcst.go.kr), 문화예술지식정보시스템(https://policydb.kcti.re.kr)에서 열람하거나 내려받을 수 있다. 앞으로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비롯해 그간 축적된 문화향수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학술연구 공모전과 심포지엄 등을 개최해 조사 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붙임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주요 결과 요약
|
이 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여가정책과 김명진 사무관(☎ 044-203-2512) 또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윤소영 연구위원(☎ 02-2669-696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