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문화’에 대한 검색결과는 25979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25979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문체부·산하기관 공직자, 5년간 외부강의로 20억 원 챙겨’보도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알려 드립니다 2017-10-18
    • 감사담당관실 담당과장 김요일(044-203-2071) 담 당 자 사무관 박승준(044-203-2075) ‘문체부·산하기관 공직자, 5년간 외부강의로 20억 원 챙겨’보도 관련 문화체육관광부의 입장을 알려 드립니다 2017년 10월 17일(화) 일부 언론의 ‘문체부·산하기관, 5년간 외부강의로 20억 원 챙겨’라는 기사에서 “천만 원 이상 고소득 7명, 그중 1억 2천만 원 고소득 사례와 최근 10분당 15만 9천 원을 받아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란 법률(이하 청탁금지법) 위반 추정 사례도 있다.”라고 인용보도를 한 것과 관련하여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정확한 사실관계를 밝힙니다. 기사에서 제시된 된 1억 2천만 원 고소득 건은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겸직허가를 받아 인천시립예술단 예술감독으로 겸직하여 발생한 사례금이고, 10분당 15만 9천 원 건은 신고자가 겸직허가를 받아 대학 출강한 내용으로 2시간 25분 강의시간(사례금 15만 9천 원)을 잘못 기입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문체부는 소속 직원들이 청탁금지법 및 공무원 행동강령에 따른 외부강의 규정을 준수해 기강 해이나 위반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해나갈 계획입니다. 이...
    • 알림소식 > 언론보도설명·정정 붙임파일
  • ‘문학은 더 가깝게’, ‘문학주간 2020’ 개최 2020-09-25
    • ’20년 46회 이번 축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 이하 문예위)가 주최하고, ▲ 국제펜(PEN)한국본부(이사장 손해일), ▲ 한국문인협회(이사장 이광복), ▲ 한국문학관협회(회장 전보삼), ▲ 한국문학평론가협회(회장 오형엽), ▲ 한국소설가협회(이사장 김호운), ▲ 한국시인협회(회장 나태주), ▲ 한국작가회의(이사장 이상국)(가나다순) 등 7개 단체들이 공동 주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가 후원한다. ‘문학주간’은 9월 26일(토) 오후 4시, 온라인 개막식으로 시작된다. 문예위 위원장이 개막을 선언하고, 문학 분야 협회장들이 연속으로 축하 인사를 전한다. 이어 첫 번째 작가 무대, ‘지금, 당신의 반려는?’이 오후 7시에 진행된다. 이번 무대에서는 버림받고 상처 입은 반려동물을 위해 쓴 문학작품을 낭독하고, 음악과 함께 반려동물에 대한 경험을 공유한다. 이후에도 작가 100여 명이 함께한 다양한 무대를 볼 수 있다. ▲ 퀴즈쇼 형식으로 문학작품을 흥미롭게 소개하는 ‘한국문학 퀴즈쇼-가나다 시장(마켓)’, ▲ 온라인·비대면 시대에 적합하도록 누리소통망을 활용한 시 공모전 ‘제1회 과유불급 140자 시문학대전’,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학주간 2018’ 대한민국의 오늘을 고스란히 담다 2018-08-31
    • 등 우리나라 문학계를 대표하는 단체들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아울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가 후원하고, 한국교육방송(EBS), 재외동포재단, 종로문화재단, 한국구세군, 한국문학번역원이 공동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 ‘한국문학, 오늘’ 통일, 평등, 복원, 탈장르… 문학이 마주하는 시대, 시대가 마주하는 문학 문학주간 2018의 주제는 ‘한국문학, 오늘’로서, 올해 행사에서는 2018년 한국문학이 마주해 온 시대적 요구들과, 그 시대적 요구를 마주한 한국문학의 모습을 담아낸다. 통일, 평등, 복원, 탈장르와 같이 2018년을 아우르는 핵심어를 ▲ 문학 세미나(남북문학교류, 문예지 활성화, 지역문학관 활성화, 한민족 이산문학교류 활성화) ▲ 문학 토크쇼(오늘 Talk) ▲ 작가 기획 출연 무대(작가스테이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룬다. 9월 1일(토)에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자작가수 최백호가 사회를 맡아, 2018년 한국문학의 오늘을 보여주는 영상과 한강의 <소년이 온다>의 일부를 발췌한 입체낭독극을 상영하며, 최백호와 재즈가수 말로의 축하공연도 이어진다. 문체부 도종환 장관은 작년에 이어 올해 개막식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2018년...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학주간 2019-문학, 다음으로 가는 길’ 개막 2019-08-26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 이하 예술위원회)가 주최하고, ▲ 국제펜(PEN)한국본부(이사장 손해일), ▲ 한국문인협회(이사장 이광복), ▲ 한국문학관협회(회장 전보삼), ▲ 한국문학평론가협회(회장 오형엽), ▲ 한국소설가협회(이사장 김지연), ▲ 한국시인협회(회장 윤석산), ▲ 한국작가회의(이사장 이경자)(가나다순) 등 7개 문학계를 대표하는 단체들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아울러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가 후원하고, 한국교육방송(EBS),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삼다수)가 협력기관으로 참여한다. 예술위원회와 문학단체는 문학주간의 취지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올해 행사를 국민들이 참여하는 문학축제로 준비했다. 서울 마로니에 공원 일대, 전국 문학 행사장 등에서 130여 개의 다채로운 프로그램 선보여 행사 첫째 날인 8월 31일(토) 오후에는 <작가 스테이지> 첫 번째 프로그램인 ‘옛이야기 그리고 다음 이야기’와 ‘한국교육방송 라디오(EBS FM) 북카페’ 공개방송[주제: 문학의 르네상스시대 누리소통망(SNS) 작가를 만나다]이 진행된다. 그리고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비평, 길을 묻다>라는 내용으로 학회를 진행한다. 8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학진흥정책위원회’ 구성, 출범 2017-02-23
    • 23.(목) 담당부서 문화예술정책실 예술정책과 담당과장 정향미(044-203-2711) 담 당 자 사무관 강지태(044-203-2721) ‘문학진흥정책위원회’ 구성, 출범 - ‘문학진흥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등 문학 진흥 주요사항 자문 -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2월 24일(금) 오전 10시 30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2층 국제화상회의장)에서 ‘문학진흥정책위원회(이하 정책위원회)’를 구성해 출범시킨다. 문체부는 이날 ▲강형철 숭의여대 교수(전 문예진흥원 사무총장), ▲곽효환 한국시인협회 부회장, ▲김경식 국제펜클럽한국본부 사무총장, ▲김영민 연세대 교수, ▲김이구 아동문학 평론가, ▲김인숙 소설가, ▲김호운 한국소설가협회 상임이사, ▲노재현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유통원장(전 중앙북스 대표), ▲박덕규 단국대 교수, ▲박해현 조선일보 문학전문기자, ▲신달자 시인(전 한국시인협회 회장), ▲안상학 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 ▲오창은 중앙대 교수, ▲이광복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등 문학계 및 언론・출판계 인사(이상 가나다순)와 ▲이영열 문체부 예술정책관 등 총 15명을 정책위원회 위원으로 위촉한다. 위원의 임기는 3년이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 분야 성인지 인권환경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19-09-10
    •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분야별 성인지 인권환경 실태조사 추진 개요 구 분 공연예술 출판 대중문화 추진기간 ’18. 7.∼’19. 5. ’18. 6.∼’19. 5. ’18. 7.∼’19. 6. 수행기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사 대상 연극, 뮤지컬, 무용, 서양음악, 전통예술 종사자 3,939명 (여 1,823명, 남 1,840명) 출판 분야 종사자 및 근무경력자 1,020명 (여 378명, 남 639명, 기타 3명) 방송, 음악, 만화, 패션분야 종사자 및 창작자 2,111명 (여 1,302명, 남 807명, 기타 1명) 조사내용 -성폭력 의식 및 인지 -성폭력 목격 및 피해경험 -성폭력 대응실태 및 근절방안 -분야특성 반영한 대응매뉴얼 발간 및 정책 수립 제언 -응답자 업무환경 -성폭력 의식 및 인지 -성폭력 목격 및 피해경험 -성폭력 대응실태 및 관련의견 -출판계 대응매뉴얼 발간 및 정책 수립 제언 -성폭력 의식 및 인지 -성폭력 목격 및 피해경험 -성폭력 대응실태 및 관련의견 -분야특성 반영한 대응매뉴얼 발간 및 정책 수립 제언 * 공통문항: 피해여부, 피해유형, 대응유형, 인식, 예방교육 경험 및 참여채널, 목격여부, 공공서비스 인지 여부, 종사경력 등 14개 문항 o...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 어울림’, 전국 도서관에서 체험하세요 2016-04-01
    • 내국인 참여), 한국어교실, 퍼포먼스 미술독서지도 055-359-6026 119 경남 사천시 삼천포도서관 엄마와 자녀의 통하기 055-835-4436 120 경남 창원시 성산도서관 엄마는 동화구연가, 찾아가는 다문화 놀이터, 그림책으로 보는 다문화, 일본책 비교전시회, 다문화인식개선 인형극, 다문화영화상영 등 055-225-7407 121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도서관 찾아가는 다문화 인형극놀이, 그림책으로 풀어보는 부모교육 055-240-4571 122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도서관 자신감 UP 책놀이, 우리만의 책 출판하기, 영화로 보는 다문화 세상, 진동도서관과 함께 하는 '다(른)문화' 특강 055-271-8145 123 경남 창원시 성산구 창원도서관 함께 나누는 세계문화 이야기 055-278-2824 124 경남 통영시 통영도서관 옛이야기 속 우리 문화 055-648-8093 125 경남 통영시 통영시립도서관 찾아가는 다문화연극 ‘흑설공주’, 내 마을 들여다보기 055-650-2551 126 제주 제주시 조천읍도서관 북아트 만들기, 동서양 매듭 공예, 한국 전통 문양 생활 소품 만들기 064-728-8578 127 제주     한라도서관 한국어교육, 동반자녀돌보미 064-710-8643 붙임 ’16년 도서관 다문화 프로그램...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 미래의 열쇠인가?' 청년에게 듣고 4차 산업혁명에서 길을 찾다 2016-12-01
    • 관해 발표 한종호 -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 센터장 전)네이버 파트너센터 센터장 전)NHN 정책 담당 이사 세션 2의 발제자로 헤리티지 기반 창업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기의 지역 그리고 청년에 관해 발표 임학순 - 가톨릭대학교 문화비즈니스연구소 소장 가톨릭대학교 미디어기술콘텐츠학과 교수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 세션 2의 좌장으로 미래, 기술, 청년 & 문화를 주제로 패널 토론을 이끌 예정 붙임 4 지역 문화융성포럼 개최 결과 □ 지역포럼 개요 권역 호남권 영남권 수도권 충남 강원권 장소/일정 남원, 11.4~5 대구, 11.5~6 판교. 11.10 세종, 11.11~12 원주, 11.16~17 키워드 -의제 “자립” -청년자립을 통한 문화도시, 문화마을 가치 재창조 “인문정신” -청년은 지역을 위해, 지역은 청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융합” -청년들의 활로와 혁신 “혁신” -청년의 상상력을 통한 지역의 재생 “지속”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활동을 위한 문화의 역할이란 무엇인가 호남권 ‘청년자립, 열정포럼’ 영남권 ‘지역의 발랄한 청년들의 만남’ 충청권 ‘충청 미래공감포럼’ 수도권 ‘융합 : 청년曰’ 강원권 ‘융성웅성, 청년포럼’ 붙임 5 문화융성포럼...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가 있는 날’ 문화 소비 증가로 내수경기 활성화에 기여 2015-09-03
    • 후 ‘문화가 있는 날’ 확산에 적극 협력 ‘문화가 있는 날’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더욱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매달 마지막 수요일을 ‘문화가 있는 날’로 지정하여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는 사업으로서, ‘문화융성’의 대표정책 중 하나다. 문체부와 신한카드는 지난 5월 ‘문화가 있는 날’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신한카드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문화가 있는 날’을 지속적으로 홍보해 왔다. 신한카드는 지난 7월 ‘그레이트 웬즈데이(GREAT Wednesday)’를 시작으로 하여, 8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야외무대에서 인디밴드의 공연을 개최하는 등 ‘문화가 있는 날’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는 문화 시설과 혜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화포털’ 사이트 내 ‘문화가 있는 날 통합정보안내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문화가 있는 날 통합정보 안내 웹페이지: www.culture.go.kr/wday(문화가있는날.kr)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여가정책과 사무관 오경희(☎ 02-739-2542), 신한카드 박희철 부부장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가 있는 날’ 문화융성 그림말 내려받자! 2015-11-17
    • 이벤트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그림말 개발 담당자는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문화가 있는 날’이 생긴 만큼, 그림말도 친숙한 형태와 동작으로 개발했다. ‘문화’ 양과 ‘융성’ 군이 국민들에게 널리 사랑받는 캐릭터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향후 기념품 등에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문화융성’의 대표정책 중 하나인 ‘문화가 있는 날’에는 누구나 영화관, 공연장, 미술관, 박물관 등 전국의 주요 문화시설을 무료, 혹은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는 문화 시설과 혜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문화포털’ 누리집 내 ‘문화가 있는 날 통합정보안내웹페이지(www.culture.go.kr/wday)’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 문화융성 그림말(이모티콘) 실사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사무관 오경희(☎ 02-739-524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문화융성 그림말 실사 오늘도 사랑해 축하해요 우리 문화데이트 할까? 열받아.. 문화융성 오케이 스트레스 날려버렷! 문화가 있는 날 좌절... 고맙습니다 싫어! 슬퍼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