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국문학관 착공···한국문학사 한눈에
게시일
2024.05.21.
조회수
63
담당부서
디지털소통팀(044-203-2055)
담당자
전하현
최대환 앵커>
세계 시장에서 빛을 발하는 K-콘텐츠의 강점인 이야기의 힘, 전문가들은 그 원천으로 한국 문학을 꼽습니다.
우리 문학의 과거부터 미래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립한국문학관이 건립을 위해 첫 삽을 떴는데요.
김찬규 기자가 현장을 가봤습니다.

현장음>
"하나, 둘, 셋! 눌러주세요!"

김찬규 기자>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의 시작을 알리는 착공식.

국립한국문학관 착공식
(장소: 20일, 서울 은평구)

2019년 문학관 건립 추진을 시작한 지 5년 만입니다.

녹취> 유인촌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문학인들의) 오랜 염원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의 문학이 일취월장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국립한국문학관이 하도록 기대하고..."

한국문학 자료가 사라지고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한 문학관 건립은 문학계 숙원사업으로 꼽혀왔습니다.

김찬규 기자 chan9yu@korea.kr
"제 뒤로 보이는 공터에는 2026년 하반기, 한국문학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문학관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연면적 1만5천㎡에 달하는 부지에는 문학관이 수집한 약 12만 점의 소장자료가 머물 수장고와 전시관이 마련됩니다.
과거부터 미래까지 아우르는 한국문학사를 보여준다는 설명입니다.

녹취> 문정희 / 국립한국문학관장
"(국립한국문학관은) 그동안 멸실돼가는 한국 문학 자료를 정성껏 수집·보존했으며, 약 12만 점의 문학 자료를 보유해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문학관의 위상을 확실히 하고자 합니다."

가로로 긴 형태의 건축물에는 한국문학의 가치가 녹아있습니다.

녹취> 이은석 /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한국문학 특징은 민중 지향과 평등을 지향하는 문학입니다. 건축적으로 수평성을 강조하고 민중을 위한 공공성을 강조하며 전체적으로 한 마을의 분위기를 갖도록 디자인 했습니다."

신명과 해학을 보여주는 마당극의 특징도 반영됐습니다.
북한산을 향해 트인 문학관과 정원과 마당 등 외부 공간에서 자연의 멋과 풍류를 즐길 수 있습니다.
개관까지 남은 기간은 2년.
국립한국문학관은 전문 자문단과 함께 전시 콘텐츠를 발굴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개관 준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한기원 / 영상편집: 신민정)

KTV 김찬규입니다.
공공누리 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한국문학관 착공···한국문학사 한눈에" 저작물은 "공공누리 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회원 방문통계

통계보기

전체댓글(0) 별점 평가 및 댓글 달기를 하시려면 들어가기(로그인) 해 주세요.

  • 비방 · 욕설, 음란한 표현, 상업적인 광고,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특정인의 개인정보 유출 등의 내용은 게시자에게 통보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의 정책 및 자료 등에 대한 문의는 각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하여 질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