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보고서 발간
게시일
2008.06.03.
조회수
2865
담당부서
국립국어원()
담당자
김덕호
본문파일
붙임파일
국립국어원(원장 이상규)은 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사업을 추진한 결과를 10권의 보고서로 발간하였다.

우리나라는 근대화 과정에서 식민 지배와 전쟁 등 많은 변화를 겪었고, 산업화 과정에서 다양한 전통 생활양식이 바뀌고, 기존의 전통 직업들이 소멸되고 새로운 직업들이 창출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의 고유한 생활어나 전통 직업어는 사라져 버릴 위기에 처하게 되었으나, 이를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국어 문화유산 보존을 위해 기층 생활어 및 직업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2007년에 처음으로 시작된 이 사업은 전국적으로 조사원 10명을 선발하여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전국 6개 권역 26개 지점에서 34개 분야, 71명의 제보자를 조사하였다.

전국 6개 권역 26개 지점 71명 대상 34개 분야 조사

ㅇ 2007년도 조사 지점(26지점)과 조사 분야(34개)
조사 지점조사 분야경기도(1지점 1명)한지장이강원도(5지점 9명)심마니, 한지장이, 광부충청도(2지점 4명)금산지역 생활어, 대장장이, 무속인, 단청장전라도(4지점 18명) 전통 건축, 김치, 젓갈, 장아찌, 참빗장, 죽렴장, 부채장, 채상장, 악기장경상도(12지점 31명)제례음식, 혼례음식, 향토음식, 육지 해녀, 미역채취업, 어부, 옹기장, 대고장, 유기장, 세시풍속, 민속놀이, 짚공예, 소목장, 옹기장, 사기장제주도(2지점 8명)해녀, 어부, 민속주
ㅇ 2007년도 조사 성과
조사 어휘(11,603개/표준국어대사전 미등재 어휘 6,401개), 음성 자료(구술 111개/분절음성 7,205개), 사진/동영상(3,835개/2개)


자충먹은잎삼대뇌두주근지근 [산삼의 부분 명칭] 생애 구술 자료와 어휘 설명 자료가 수록

이 보고서에는 제보자의 생애 구술 자료와 조사된 어휘에 대한 설명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조사 대상물에 대한 세부 명칭이나 이용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어까지도 세밀하게 조사하여 수록하였으며, 완성품을 제작하는 전 과정에서 사용되는 말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기록하였기 때문에 전통 생활 분야에 관심이 있는 국민들에게는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첨부자료 참고]

보고서 명조사 지역조사 분야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1제주해녀, 어부, 민속주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2경북 북부 제례음식, 혼례음식, 향토음식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3전북 전주전통 건축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4경북 영덕, 칠곡, 문경육지 해녀, 미역채취업, 어부, 옹기장, 대고장, 유기장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5경북 성주, 경산세시풍속, 민속놀이, 짚공예, 소목장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6전북 부안, 순창김치, 젓갈, 장아찌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7강원도, 경기 가평심마니, 한지장이, 광부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8경남 김해, 울산, 부산옹기장, 사기장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9충남 금산, 대전금산지역 생활어, 대장장이, 무속인, 단청장2007년도 민족생활어 조사 10전남 담양참빗장, 죽렴장, 부채장, 채상장, 악기장

국어 문화유산 보존 대책 마련과 국어 문화 체험을 위한 기초 자료 축적

앞으로 국립국어원은 동일 항목에 대한 어휘의 각 지역별 차이도 단계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예를 들면 전라도 김치와 제작 과정에서의 사용 어휘와 다른 지역의 김치와 제작 과정에 사용된 말을 조사하고 그 자료를 축적하여 국어의 폭넓은 이해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생활 현장에서 국민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생생하고 다양한 어휘를 발굴하고 각기 서로 다른 집단별, 직업별, 영역별 생활어 자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국어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국립국어원은 이 사업을 2016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집대성하여 직업별, 집단별 특수 사전을 제작하고, 풍부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정리하여 생생한 현장의 소리와 현실감 있는 시각 자료를 축적할 예정이다. 앞으로 이렇게 축적된 자료를 정제하여 국어 문화 체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유관 기관과 협의하여 국어 문화유산 보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