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게시일
- 2018.01.31.
- 조회수
- 6325
- 담당부서
- 체육진흥과(044-203-3130)
- 담당자
- 도현우
- 본문파일
- 붙임파일
국민 중 59.2% 규칙적 운동, 소득별 참여 격차는 감소 추세 - 문체부, 2017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 발표 -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정만)의 조사를 토대로 ‘2017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는 국정과제인 ‘모든 국민이 스포츠를 즐기는 활기찬 나라’를 만들기 위한 생활체육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최근 1년간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빈도를 조사한 결과, 주 1회(1회 운동 시 30분 이상) 이상 규칙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은 59.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주기를 1년으로 변경한 2014년 대비 4.4%포인트(p) 증가한 수치로, 2016년 59.5%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반면 체육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28.9%로 조사됐으며, 이는 2014년(34.5%)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최근 4년간 생활체육 참여율>
|
남성의 참여율은 2016년 62.3%에서 60.1%로 하락한 반면 여성의 참여율은 56.7%에서 58.4%로 1.8%포인트(p) 상승했다.
30대 여성 참여율 2016년 대비 7.7%포인트 증가
연령별로는 60대의 참여율이 61.7%로 가장 높았고, 20대(55.2%)와 70세 이상(54.6%)의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됐다. 특히 30대 여성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62.5%로 2016년 대비 7.7%포인트(p)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고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30대 여성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생활체육 참여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월 소득 100만 원 미만과 600만 원 이상 응답자 간의 참여율은 16.6%포인트(p)의 격차가 나타났다. 이는 2016년 26.5%포인트(p) 격차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이며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취약계층을 위한 생활체육 프로그램 운영, 공공체육시설 확충 등 생활체육 정책의 효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구분 |
주 1회 이상 |
차이 |
||
---|---|---|---|---|
’16년 |
’17년 |
|||
전체 |
59.5 |
59.2 |
-0.3 |
|
성별 |
남성 |
62.3 |
60.1 |
-2.2 |
여성 |
56.7 |
58.4 |
1.8 |
|
연령별 |
10대 |
63.1 |
60.4 |
-2.7 |
20대 |
57.3 |
55.2 |
-2.1 |
|
30대 |
56.8 |
60.7 |
3.9 |
|
40대 |
61.1 |
60.4 |
-0.8 |
|
50대 |
60.8 |
60.4 |
-0.5 |
|
60대 |
61.4 |
61.7 |
0.4 |
|
70대 이상 |
55.3 |
54.6 |
-0.6 |
|
소득별 |
100만 원 미만 |
39.6 |
49.2 |
9.6 |
100-150만 원 미만 |
46.2 |
57.2 |
11.0 |
|
150-200만 원 미만 |
54.8 |
57.6 |
2.8 |
|
200-250만 원 미만 |
53.9 |
55.9 |
2.0 |
|
250-300만 원 미만 |
56.8 |
52.1 |
-4.7 |
|
300-350만 원 미만 |
56.9 |
58.2 |
1.3 |
|
350-400만 원 미만 |
60.0 |
57.1 |
-2.9 |
|
400-450만 원 미만 |
61.7 |
57.9 |
-3.8 |
|
450-500만 원 미만 |
60.2 |
58.4 |
-1.8 |
|
500-550만 원 미만 |
63.9 |
65.1 |
1.2 |
|
550-600만 원 미만 |
64.5 |
66.7 |
2.2 |
|
600만 원 이상 |
66.1 |
65.8 |
-0.3 |
* 자료의 숫자는 반올림되어 있으므로 세부항목의 합이 전체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가장 많이 참여하는 체육활동은 걷기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가장 사랑받은 생활체육활동은 걷기(31.8%)인 것으로 조사됐다. 등산(17.0%), 보디빌딩(14.7%)이 그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는 낮은 연령대일수록 다양한 스포츠 종목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는 축구·풋살(24.3%), 농구(18.2%) 등 구기 종목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20~30대는 보디빌딩(각 28.7%, 24.1%)이나 요가·필라테스(각 13.1%, 14.1%), 40대 이상은 걷기에 가장 많이 참여했다. 50~60대의 경우 등산 참여율이 30% 이상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았다.
특히 70대 이상은 체조(16.4%)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은퇴기 이후 세대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보급 정책의 긍정적 효과로 해석된다.
구분 |
1순위 |
2순위 |
3순위 |
4순위 |
5순위 |
---|---|---|---|---|---|
전체 |
걷기 (31.8) |
등산 (17.0) |
보디빌딩 (14.7) |
수영 (8.2) |
축구, 풋살 (7.2) |
10대 |
축구, 풋살(24.3) |
농구(18.2) |
배드민턴(13.1) |
줄넘기(12.7) |
걷기(조깅, 속보) (9.8) |
20대 |
보디빌딩(28.7) |
걷기(16.7) |
요가, 필라테스(13.1) |
당구, 포켓볼(12.2) |
볼링(10.2) |
30대 |
보디빌딩(24.1) |
걷기(23.4) |
요가, 필라테스(14.1) |
등산(12.4) |
수영(10.7) |
40대 |
걷기(32.9) |
등산(23.8) |
보디빌딩(15.0) |
골프(8.5) |
수영(7.6) |
50대 |
걷기(40.4) |
등산(35.0) |
보디빌딩(11.7) |
골프(9.1) |
수영(7.8) |
60대 |
걷기(56.7) |
등산(30.5) |
수영(7.8) |
보디빌딩(5.6) |
체조(4.5) |
70대 이상 |
걷기(68.6) |
체조(16.4) |
등산(9.3) |
수영(6.1) |
보디빌딩(5.7) |
* 주로 참여하는 체육활동 종목은 2017년 기준 상위 10순위까지 나열하였으며, 1+2+3순위 기준임.
시간 부족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들
최근 1년간 체육활동에 전혀 참여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13.4%)를 대상으로 그 원인을 물었을 때, 응답자의 61.1%가 체육활동을 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체육활동 참여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체육활동 가능 시간 증가’가 필요하다고 대답한 응답자도 66.7%였다.
운동시간 부족의 원인으로는 과도한 노동시간을 꼽았다. 노동시간의 단축은 ‘삶을 삶답게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해석된다.
|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체육 인식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과 함께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스포츠클럽 확대 등 스포츠 참여 기회를 늘리고 국민스포츠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17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는 대한민국 내 만 10세 이상 국민 9,000명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을 통한 면접조사로 진행하였고 오차범위는 ±1.4%다.
붙임 1. 2017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그림자료
2. 2017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주요 설문 요약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진흥과 사무관 도현우(☎ 044-203-3130) 또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윤소영 연구위원(☎ 02-2669-6961), 송정련 주임전문원(☎ 02-2669-893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