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여행주간 총지출액, 최초 3조 원 돌파
게시일
2016.11.28.
조회수
7163
담당부서
관광정책과(044-203-2816)
담당자
이성은
본문파일
붙임파일
보도자료제목

가을여행주간 총지출액, 최초 3조 원 돌파

- ’16. 10. 24.~11. 6. 국내여행 참가자 수 2,454만 명,
이동총량 4,668만 일, 총지출액 3조 117억 원 -

 

 

 

 

  지난 10월 24일(월)부터 11월 6일(일)까지 2주간 가을여행주간이 진행되었다. ‘숨은 대한민국이 열립니다’라는 주제로 펼쳐진 가을여행주간 동안 국내여행 참가자 수와 이동 총량, 총지출액, 지역별 유동 인구 등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실시한 가을여행주간 국민 참여 실태조사와 케이티(KT) 통신사 거대자료(빅데이터)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가을여행주간 총소비지출액, 여행주간 추진 이래 처음으로 3조 원 돌파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시행한 가을여행주간 국민 참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여행 참가자 수는 ’15년 가을에 비해 23% 증가된 2,454만 명, 여행주간 이동 총량은 16% 증가된 4,668만 일로 나타났다.

 

 

 

국내여행 참가자(만명) 여행주간 이동총량(만일)

 

 

 

  여행주간 지출금액은 ’15년 가을여행주간 대비 18% 증가된 3조 117억 원이며, 이는 여행주간 추진 이래 최대치이자, 처음으로 3조 원을 돌파한 수치이다.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생산 유발효과 4조 9,771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조 5,090억 원, 고용유발효과 38,805명으로 나타난다.

 

 

 

여행주간 지출금액(억원) 그래프 합본

 

 

 

  여행주간 인지도는 36%로, ’15년 가을여행주간 30.7% 비해 약 6%포인트(p) 상승했으며, 여행주간 만족도는 92.3%로 ’15년 가을 91.4%에 비해 약 1%포인트(p) 상승했다.

 

 

 

여행주간 인지도(%) 전반적 만족도 비율(%)

 

국민여행 실태조사 개요

※ 참고: 국민여행 실태조사 개요

ㅇ 조사 대상: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5세 이상 일반인

ㅇ 조사 기간: ’16년 11월 7일(월)~16일(수), 10일간

ㅇ 표본 수: 2,000명(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할당)

ㅇ 조사방법: CAWI(Computer Aided Web Interview)

 

 

 

  이와 같은 가을여행주간 국내여행 참가자 수 증가와 총소비지출액 증가 등은 여행주간 특화 프로그램의 결과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가을여행주간에서는 개방되지 않은 장소를 여행주간에 한정하여 개방하는 특별 이벤트 17개 지역대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13,600여 개의 업체 할인 참여 등 대국민 관심을 이끌만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했다. 또한 국립공원과 농어촌 체험마을 등도 대규모로 참여해 여행주간의 즐거움을 높였다.

 

지방자치단체 유동인구 증가 및 여행주간 주요 홍보지점 관람객 확대

 

  여행주간 프로그램에 따른 결과는 지역별, 관광지별 분석 결과를 보면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지역별, 관광지별 분석은 통신사(KT) 거대자료(빅데이터) 조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지역별 이동인구수는 주간·야간 상시거주인구와 해당지역 반복 방문자를 제외하고 30분 이상 체류한 경우를 상정하여 측정한 것이다.

 

 

 

 

조사그래프

광역시도

2016

2015

 

10. 24.(월)~11. 6.(일)

10. 26.(월)~11. 8.(일)

증감률

서울특별시

3,026,541

3,304,366

-8.41%

부산광역시

852,401

782,689

8.91%

대구광역시

611,260

584,212

4.63%

인천광역시

646,512

757,665

-14.67%

광주광역시

360,357

328,821

9.59%

대전광역시

394,568

390,343

1.08%

울산광역시

260,033

229,421

13.34%

세종특별자치시

54,851

43,600

25.81%

경기도

2,736,054

2,869,840

-4.66%

강원도

369,906

402,881

-8.18%

충청북도

382,282

324,345

17.86%

충청남도

516,866

506,430

2.06%

전라북도

416,047

361,171

15.19%

전라남도

398,570

360,404

10.59%

경상북도

600,742

552,565

8.72%

경상남도

594,472

497,606

19.47%

제주특별자치도

154,614

130,975

18.05%

 

 

 

  우선 지역별 유동인구 거대자료(빅데이터) 분석 결과, 가을여행주간 기간 중 세종시(25.8%), 경남(19.4%), 제주(18%)가 높은 이동 증가율을 보였으며, 서울(-8.4%)과 경기(-4.6%), 인천(-14.6%)등 수도권은 이동인구가 감소하였다. 그 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대다수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조사기간: ’16년 가을여행주간 대비 ’15년 요일기준(월~일 2주간) 동 기간 분석

* 국민 이동량: 주간, 야간 상시 거주지역과 다른 시/군/구로 유입된 인구(인구 유입자 수)의 합계

* 상시 거주 지역은 해당 지역에서 직전 3개월 동안 주간(7~18시), 야간(19~07시) 각각 4시간 이상 체류하는 경우로 판단

* 해당 지역(이동기지국 기준) 30분 이상 체류한 사람만 산정되며,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사람(월 3회 이상)은 제외

* 인구 유입자 수의 경우 여행목적 뿐 아니라, 출장, 친지방문 등 여러 목적으로 인한 타 시·군 유입자 수까지 집계될 뿐 아니라, 시도 간 단순 통과도 집계되므로 과대 계상될 수 있음.

- 예를 들어, ’16. 7. 25. 서울에 거주하는 ㄱ씨가 경기 안성, 양평과 충북 제천, 진천을 거쳐 부산으로 여행한 경우, 거치는 각 지역에서 30분 이상 체류하였다면 경기 2명, 충북 2명, 부산 1명으로 집계됨.

 

  여행주간 집중 홍보 지역(대표프로그램, 특별개방지, 텔레비전 홍보 등) 창원(96.5%), 강진(17%), 거제(22.4%) 등은 대폭 증가하였으나, 경주(-15.4%), 통영(-0.8%)은 지진 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해 감소했다.

 

 

 

 

조사그래프

기초지자체

2016

2015

증감률

(%)

비고

10. 24.~11. 6.

10. 26.~11. 8.

경기 안산시

145,967

147,809

-1.25

지역대표프로그램

강원 평창군

24,747

28,958

-14.54

지역대표프로그램

강원 정선군

18,432

18,021

2.28

지역대표프로그램

충남 서천군

16,768

19,221

-12.76

지역대표프로그램

충북 단양군

17,562

18,138

-3.18

지역대표프로그램

충북 제천군

28,383

26,902

5.51

지역대표프로그램

전북 익산시

53,068

47,433

11.88

지역대표프로그램

전북 군산시

48,790

48,673

0.24

지역대표프로그램

전남 강진군

10,885

9,302

17.02

지역대표프로그램

전남 목포시

47,003

41,778

12.51

조선업지역(집중홍보)

전남 화순군

23,746

21,632

9.77

TV홍보

경남 밀양시

27,166

25,910

4.85

지역대표프로그램

경남 창원시

255,510

130,014

96.52

지역대표프로그램

경남 거제시

46,777

38,220

22.39

조선업지역(집중홍보)

경남 통영시

33,935

34,213

-0.81

조선업지역(집중홍보)

경북 안동시

38,160

35,071

8.81

지역대표프로그램

경북 경주시

74,591

88,205

-15.43

TV홍보

 

 

 

  특히 특별개방지, 지역대표프로그램 추진지점 등 주요관광지점의 경우에는 대다수 증가했다. 특히 창원과 홍천, 보현산, 강화, 대구가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 가을여행주간 특별개방이라는 주제가 일반 국민에게 주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그래프

주요관광지

인구 유입자 수(명)

증감률(%)

비고

16. 10. 24.~11. 6.

15. 10. 26.~11. 8.

창원 청춘바보몰

24,175

2,395

909.50%

지역대표프로그램

홍천 은행나무숲

11,753

1,613

628.57%

특별개방지

보현산 및 천문대

6,619

2,291

188.92%

특별개방지

강화 남문한옥

대명헌일대

12,583

4,628

171.90%

특별개방지

대구 계성중학교

6,853

3,088

121.95%

특별개방지

대구 근대골목

156,993

95,442

64.49%

지역대표프로그램

경상남도 매미성

12,446

9,048

37.56%

TV홍보

곡성태안사일대

1,323

997

32.68%

특별개방지

영덕 인량리마을

546

420

30.11%

특별개방지, TV홍보

고흥 나로우주센터 일대

5,380

4,266

26.11%

특별개방지

인천 월미도 및 월미공원

88,221

71,491

23.40%

VIP 방문지

무등산국립공원

83,790

70,674

18.56%

특별개방지

소수서원과 선비촌

11,372

9,640

17.96%

VIP 방문지

대구광역시 수성못

109,141

93,813

16.34%

지역대표프로그램

강진 땅심화훼단지

1,075

974

10.31%

특별개방지

지리산국립공원

240,464

218,880

9.86%

특별개방지

부산 영화의전당

62,909

59,791

5.22%

지역대표프로그램

보성 구 벌교금융조합일대

34,146

34,227

-0.24%

특별개방지

남산골한옥마을

110,471

111,946

-1.32%

특별개방지

고흥 소록도

16,303

17,094

-4.63%

특별개방지

울산 십리대숲

11,071

12,389

-10.64%

VIP 방문지

경상감영공원

26,159

30,916

-15.39%

특별개방지

부산 누리마루APEC 하우스

29,656

35,297

-15.98%

특별개방지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가을 여행주간을 통해 국민들이 국내여행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라며, “국민들이 내년 1월에 추진될 예정인 겨울여행주간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 기간 동안 국내여행에 참여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겨울여행주간은 2017년 1월 14(토)일부터 30일(화)까지 총 17일간 추진될 예정이다. 문체부는 겨울여행주간에 설 연휴 기간(1. 27.~30.)이 포함되어 추진되는 만큼, 국내여행을 계획한 사람들이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들을 만나볼 수 있게 준비할 계획이다.

 

 

 

 

 

 

문의안내

OPEN 공공누리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정책과 사무관 이성은(☎ 044-203-2816)

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