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 7,593억 원
게시일
2016.02.25.
조회수
4427
담당부서
공연전통예술과(044-203-2732)
담당자
최영진
본문파일
붙임파일
2014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 7,593억 원

2014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 7,593억 원

- 문체부,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 결과(2014년 기준) 발표 -

 

 

 

  2014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는 공연시설과 단체 매출액을 합한 금액으로 7,593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2년 국내 공연시장 규모 7,130억 원에 대비해 6.5%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23.3%포인트 둔화된 수치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이하 문체부)225(),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진행한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2014년 기준)’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연시설 매출액은 3,689억 원으로 전년대비 10.9% 감소했으며 그 주원인은 대학로와 민간(대학로 외) 공연장 등의 매출액 감소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공연단체 매출액은 2012년 대비 16.2% 늘어난 3,904억 원이었으며, 민간기획사의 매출 실적 증가가 주된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공연시장, 양적 지표 성장 속 소비시장은 위축

 

  2014년 공연시설 수는 1,034, 공연장 수는 1,280개로 전년 대비 각각 5.1%, 4.3%가 증가했으며, 공연시설 종사자 수는 12,669명으로 전년 대비 7.9%가 증가했다. 공연단체 수는 2,284개로 2012년 대비 8.3% 증가했고, 종사자 수는 55,858명으로 9.9% 많아졌다.

 

  전국 공연장에서 2014년 한 해 동안 진행된 공연 건수는 총 47,489, 공연 횟수는 20228회로 전년 대비 각각 5.1%, 0.9% 증가했다. 공연단체 또한 총 45,308건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총 119,968회를 공연하며 2012년 대비 각각 16%, 1.8% 실적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관람객 수3,7667,737명으로 5.0% 감소했다. 이는 공연시설 및 단체 수, 공연 건수 및 횟수 등 양적 지표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2014상반기 세월호 참사, 브라질 월드컵 등 대내외적 이슈로 위축된 소비시장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관람객수는 공연시설 기준으로 집계

 

 민간기획사가 시장 성장 이끌어

 

  소비시장 위축은 민간 시설의 매출 부진으로 이어졌다. 공공 공연장의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해 상대적으로 경기 영향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민간 공연장은 티켓 판매 수입을 중심으로 총매출이 2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단체 총매출액의 63.5%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기획사는 국내 공연시장의 성장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극·뮤지컬 장르 민간기획사의 매출액 성장이 21.7%로 가장 컸는데, 매출 규모 100억 원대 이상의 대형 기획사의 실적 개선이 주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5 공연예술실태조사(2014년 기준)’20156월부터 9월까지 공연작품의 창작(제작)을 담당하는 공연단체(2,284), 공연작품의 유통(매개)을 담당하는 공연시설(1,034) 및 공연행정기관(245)을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공연시설 ±3.4%포인트, 공연단체 ±2.7%포인트이다.

 

  ‘공연예술실태조사는 문체부가 2007년 통계청의 승인(승인번호 제11315)을 얻어 매년 시행하는 조사이다.

 

붙임: ‘2015년도 공연예술실태조사(2014년 기준)’ 주요결과 요약

 

 

문의안내

OPEN 공공누리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공연전통예술과 서기관 최영진(044-203-2732)

또는 ()예술경영지원센터 조사평가팀 팀장 해민영(02-708-2240),

담당 조소현(02-708-220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