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에 대한 배려’가 새로운 사회 가치로 나타나
게시일
2013.12.18.
조회수
8354
담당부서
정책여론과(02-3704-9648)
담당자
안병호
본문파일
붙임파일
보도자료제목

타인에 대한 배려가 새로운 사회 가치로 나타나 

- 문체부, 2013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 발표 -

 


우리 국민들은 우리 사회가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배려’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부족한 덕목으로는 ‘타인에 대한 배려’를 꼽았다. 케이팝(K-Pop) 등 대중문화에 대한 자긍심은 2008년도 53.6%에서 27.9%p가 증가한 81.5%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남녀 2,5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하였다. 이 조사는 1996년, 2001년, 2006년, 2008년에 실시되었으며, 이번이 5번째 조사이다.


  타인에 대한 배려가 새로운 사회 가치로 확산


우리 사회가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 필요한 가치로 ‘타인에 대한 배려’라는 응답이 10점 만점에 평균 8.7점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우리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덕목으로 ‘타인에 대한 배려’라는 응답이 55.4%로 가장 높다는 점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가 새로운 사회적 가치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회균등 및 공정성의 확보’(8.5점), ‘윗사람에 대한 존중’(8.5점), ‘사회집단 간 소통’(8.5점) 등도 모두 8점 이상으로 나타나 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공통 가치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는 남녀평등 사회


‘우리 사회는 남녀가 평등한 사회이다’라는 질문에는 53.4%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2008년 30.4%보다 23%p가 증가했다.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우리 사회는 남녀 평등한 사회’라는 답변이 많았다. (남성 57.2%, 여성 49.5%)

 ‘나는 매장(埋葬)보다는 화장(火葬)을 선호한다'는 의견은 2008년 대비 12.0%p 증가한 75.0%로 나타나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환경 변화에 따른 가치를 수용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미래를 대비하기보다 현재의 삶을 즐기는 편이 더 중요하다’(52.0%), ‘우리 사회는 사회적 신분 이동이 열려 있다’(45.5%) 등의 의견도 많았다.


우리나라 문화만큼은 선진국 수준


우리나라의 문화에 대해 자랑스럽다는 응답이 모든 문항에서 80% 이상[문화유산이나 유물 93.1%, 한식이나 한복 92.7%, 충효사상 등 정신문화 85.9%, 케이팝(K-Pop) 등 대중문화 81.5%]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크게 향상되었다. 케이팝(K-Pop) 등 대중문화에 대한 자긍심은 2008년도 53.6%에서 27.9%p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문화 수준에 대해서도 경제 수준 대비 문화 수준이 ‘높다’는 응답은 54.5%로 ‘낮다’는 응답(45.5%)보다 높았으며, 문화 분야가 이미 선진국 수준이라는 응답이 31.5%로 다른 분야(경제 21.2%, 법치 5.2%, 정치 3.5%)보다 크게 높았다.

또한 현재 나의 문화·여가 활동에 대해서는 45.6%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해 5년 전 조사에 비해서는 10.2%p 높게 나타났다.

 거주 지역의 문화생활 여건에 대해서는 ‘좋다’(48.8%)는 응답보다 ‘좋지 않다’(51.2%)는 응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전국적으로 문화시설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시설의 개선이 없어서라기보다는 국민들의 기대 수준이 상승한 결과로 보인다.


행복을 결정하는 기준은 가족


우리 국민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9점으로 2008년 마지막 조사와 같은 수준이며, 배우자가 있거나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행복 수준이 더 높아져 ‘가족’이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한 삶을 위해 분야별로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10점을 척도로 질문한 결과, ‘건강’(9.4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배우자’(8.9점), ‘자녀’(8.6점), ‘소득이나 재산’(8.6점), ‘직장 생활’(8.4점), ‘친구’(8.1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실제 얼마나 만족하는지 10점을 척도로 질문한 결과, ‘자녀’(8.4점)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배우자’(8.3점), ‘친구’(7.8점), ‘건강’(7.8점), ‘종교 생활’(7.2점), ‘직장 생활’(7.0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복한 삶을 위한 중요도와 현실에서의 만족도 간 차이는 소득이나 재산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건강, 문화·여가 생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의 행복 수준


  가정에서는 ‘민주적’, 사회에서는 ‘권위적’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사회인지에 대해서는 10점 만점에 평균 5.6점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우리 사회 각 부문의 권위주의 수준에 대해 ‘부모와 자녀’ 관계는 민주적(65.7%)이라고 느끼고 있으나, ‘직장상사와 부하직원 사이’(79.9%), ‘기업가와 근로자 사이’(78.3%),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사이’(68.0%) 등은 오히려 권위주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 사회 복지 수준은 낮으며 정부가 더 책임을 져야


현재 우리나라 경제 수준 대비 사회복지 수준에 대해 ‘낮다’는 응답은 64.3%, ‘높다'는 응답은 35.7%로 2008년 조사 결과에 비해 ‘높다’는 응답이 13.1%p 증가했으나, 여전히 35%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사회복지 수준의 개선이 미흡한 점도 있으나, 국민들의 기대 수준이 높아진 것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정부가 복지에 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은 31.5%로 ‘당사자가 생계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 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2006년도에 시행된 서울대학교 한국학센터의 <한국인의 가치관조사 2006>에서는 ‘정부가 복지에 더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응답이 59.7%로, 이번 조사 결과보다 높았다. 정부에 대한 복지 의존도가 28.2%p 낮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복지에 대해 정부의 책임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지만 당사자의 책임이 필요하다고 보는 시각도 상당 수준 존재하는 등, 합리적 복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조사개요

붙임 : 2013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주요결과


문의안내

OPEN 공공누리

이 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여론과 사무관 안병호(☎ 02-3704-9648, 12월 22일 이후 044-203-292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