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융합 등 뉴미디어 환경에서 매체 영향력의 합리적인 조사를 위한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출범
게시일
2010.03.17.
조회수
4086
담당부서
미디어정책과(02-3704-9349)
담당자
이순일
본문파일
붙임파일

 신문?방송 융합 등 뉴미디어 환경에서 매체 영향력의 합리적인 조사를 위한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출범

- 미디어 산업 진흥과 여론 다양성 보장의 균형을 위한 정책적 기반인 여론집중도 조사 실시 -

 


□ 미디어 융합 등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나 사업자의 영향력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법정기구인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가 최초로 출범


미디어, 산업조직, 조사분석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3월 18일 활동 개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3월 18일(16:30), 여론집중도에 대한 조사?연구?자문을 수행하는 위원회 위원을 위촉하고 본격적인 활동 지원 추진


 ㅇ 위원회는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17조와 동법 시행령 제12조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위촉?구성


 ㅇ 신문?방송 등 미디어 분야, 시장경쟁 또는 산업조직 분야, 사회조사분석 또는 통계 분야의 전문가 9인으로 구성되고 임기는 3년임.


   ※ 위원회 명단 : 별첨


 ㅇ 위원회의 여론집중도 조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위원회 사무국으로서의 역할 수행


여론형성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종합 조사???미디어 정책 등 활용


□ 여론집중도 조사는 미디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미디어 산업 진흥과 여론다양성 보장 등 미디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제도로서,


   사회적 의제설정이나 여론형성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이 특정 사업자나 특정 매체에 집중되는 정도를 조사하는 것임.


□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는 신문?방송?인터넷 등 개별 매체별 사업자의 집중도와 매체 전체를 망라하는 미디어 시장 자체의 집중도를 조사


□ 위원회는 그간, 개별 매체나 사업자의 영향력이 합리적인 자료가 아닌 심증이나 예단에 의해 과대평가되거나 과소평가되어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논쟁들이 지속되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의 영향력을 합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어 구성되었음.


세미나, 토론회 등 공론화를 병행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


구체적인 조사 내용과 조사 방법 등은 위원회 구성 후 연구?조사 활동을 통해 확정되며,


   관련 학계?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세미나?토론회 등을 통한 공론화로 조사의 객관성과 합리성을 제고 할 것임.


   ※ 조사일정(안) : 연구(4~7월) → 조사(8~10월) → 분석?산정(11~12월)


향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타당성을 검토 하고, 관련 법과 제도를 개선 하는 등 미디어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며,


   여론집중도 조사가 미디어 시장의 현실과 매체의 영향력을 타당하고 믿을수 있게 반영하도록 발전시킬 것임.


※ 첨부 :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 명단 1부.

          해외 집중도 조사 사례 1부.


연락처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미디어정책과 이순일 사무관(☎ 02-3704-934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