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문화’에 대한 검색결과는 25962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25962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한영 수교 130주년 및 한국전쟁 정전 60주년 기념 문화행사 개최 2013-06-14
    • 달 항아리, 영국에 오다’ 전시 6.18(화) 19:00 주영한국문화원 ․한영수교 130주년 기념,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한영관계의 역사를 ‘달 항아리’를 통해 조명 ④ 인디밴드 공연 2 (이승열밴드+장기하와 얼굴들) 6.20(목) 19:30 스칼라 (800석) ⑤ 한국음악워크숍 및 음악 전문가 포럼 5.21(화) 19:00/ 6.18(화) 18:00 주영한국 문화원 ․거문고팩토리 한국전통악기 워크숍 (현지인 대상) ․현지 음악전문가 초청 판소리, K-POP 등 한국전반 음악에 대한 전문가 포럼 ⑥ 거문고 팩토리 퓨전국악 공연 6.19(수) 19:30 카도간 홀 (900석) ․영국 현지 유수 클래식 전문 공연장 내 퓨전국악공연(출연진 4인+스태프 2인, 총 6인) ⑦ 안숙선 명창 판소리 공연 6.21(금) 19:30 카도간 홀 (900석) ․명창 안숙선 판소리 및 가야금 산조, 병창(출연진 4인+스태프1인, 총 5인) ⑧ 사진전시 7.8(월) ~7.20(토) 런던아시아하우스 ․양국 작가들이 한국전과 참전용사들을 모티브로 한 예술작품을 전시 (한영 작가 15명, 18개 작품) ⑨ 런던시 템스축제 ‘From Seoul to London' 9.5(목)~ 9.15(일) 템스강변 ․한영수교 130주년, 한국전쟁 정전 60주년 기념, 한국과 영국 양국을 잇는...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영 상호교류의 해…한국 내 영국의 해 개막 2017-02-22
    • 알림소식 > 동영상뉴스
  • 한영 문화·창조산업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2013-11-07
    • - “광고, 건축, 미술품․골동품, 공예, 디자인, 패션, 영화․비디오․사진, 출판, 소프트웨어․컴퓨터게임, 쌍방향 오락 소프트웨어, 음악, 공연예술, 텔레비전․라디오” 등 13개 산업을 의미 □ 영국 창조산업의 국가경제적 위상(영국 문화부, 창조산업의 경제적 평가서 2011,12) ○ 창조산업의 부가가치(GVA) 규모 : 2009년 기준 363억 파운드 - 영국 총부가가치의 2.89% 차지, 출판 〉광고 〉TV 및 RADIO의 순서 ○ 창조산업의 산업연관 효과(CISG, 2003) - 생산유발은 서비스업 전체(1.66)보다, 부가가치유발은 제조업(0.83)보다 높음 ○ 창조산업의 고용규모 - 2009년 기준 약 150만명, 이는 영국 전체 고용규모의 5.14%를 차지 ○ 창조산업의 수출 규모 - 2009년 89억 파운드 수출(서비스 수출만 포함, 제품 수출 제외) - 영국 총 수출규모(841억 파운드)의 10.6%에 해당 - 출판(26억) 및 방송(22억), 영화, 비디오 및 사진(16억), 광고(15억 파운드) 등 ○ 창조산업의 기업체 규모 - 2011년 창조기업은 106,700개(영국 전체의 5.13%), ‘09년 4.9% 대비 소폭 상승 - 음악, 시각예술, 공연예술 분야가 가장 큰 비중(35,000개)을 차지 - 광고 증가(‘09:13,930개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영 문체부, 콘텐츠 협력으로 세계시장 진출 2017-02-20
    • 방송 프로그램 포맷 공동제작 분야에서 협력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창조산업 공동 발전과 문화예술 분야 교류 확대를 위한 양국 간 파트너십 강화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강만석)이 주관하고 주한 영국대사관(찰스 헤이 대사)이 협력하는 이번 포럼은 3회째를 맞이하여 양국의 창조산업 발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천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영국은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서 창조산업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하고 다양한 정책과 전략을 추진해 창조산업이 국가 총부가가치의 5.3%에 이를 정도의 세계적인 창조산업 선진국이다. 한국 또한 다양한 정부 지원 정책을 통해 아시아에서 한류 열풍을 일으키며, 아시아 창조산업을 선도하는 국가 중 하나다. 양국은 특히 성공적인 사업(비즈니스) 협력을 위해서는 상호 간의 문화적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데에 인식을 함께하고 ‘2017~2018 한영 상호 교류의 해’ 행사에 지속적으로 협력한다. 또한 미래 창조산업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양국의 관련 교육기관들의 참여도 이끌어낼 예정이다. 비디오게임/이스포츠, 음악, 창조기술, 창조콘텐츠 기업 간 협력 모색 이번...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영 문체부 장관, 창조산업 교류·협력의 미래를 열다 2014-11-19
    • - 발표(한국): 윤태용(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장)(′15) - 발표(영국): Sajid Javid 영국 DCMS 장관 <영국 창조산업 전략>(′10) - 발표(영국): Joe Twist(CEO, UK Interactive Entertainment Association)(′10) 패널 토의(Panel Discussion)(′20) Martin Fryer(사회), Time Davies, Hasan Bakhshi, Amanda Nevil, Andrea Young, Jo Twist, & 양국 장관 - Q&A(′15) 16:55~17:20 (′25) ⦁폐회사(Wrap-Up Time) : 한국 장관(‘5)/ 영국장관(’5) ⦁기념사진촬영(′15) 17:20~19:30 (′130) 환영 만찬(Networking Reception) 교육관 1층 홀(만찬사 시작 17:30) 만찬사(17:30): 한국 (‘5) /영국 (’5) 건배사(17:40): 한국 (‘3) /영국 (’3) 붙임 2 영국 방문 기업(기관) 명단 기관/업체명 참석자/직위 분야 형태 연사 DCMS Sajid Javid/Secretary of State * 정부 BBC Worldwide Tim Daviel/CEO 방송 방송 British Film Institute Amanda Nevill/ Chief Executive Officer 영화/방송 기관 NESTA Hasan Bakhshi/Director 창조산업 (연구진흥) 기관 Ukie Jo Twist/CEO 게임 협회 Blue Zoo/Animation UK Oli Hyatt/CEO 애니메이션 협회 Outpost VFX/Lightfield Robin...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영 간 문화(창조)산업 분야 협력 범위 넓힌다 2016-03-07
    • 16:00-16:30 정책 토론 ∘포럼 성과 브리핑 ∘질의응답 ∘한영 문화장관 폐회사 ∘사회: Martin Fryer (주한영국문화원장) ∘한국 콘텐츠정책관, 영국BFI 시니어 디렉터 ∘한영 문화 장관 16:30-17:30 리셉션 ∘폐회 선언 및 리셉션 (붙임 2) 분야별 쇼케이스 발표주제 및 발표자 구분 성명/직위 발표주제 연혁 영화 (VFX) 박영신/CEO VFX 사례발표 2012. (현)디지털 아이디어 CEO ※310편 영화 시각효과 담당 및 <국가대표>,<마이웨이>, <도둑들> 등 주요 국내 영화 제작에 참여 1987~ 엘지데이콤 인터넷비즈니스 책임자 1985-1987.. 고려대 산업공학과 석사졸업 애니메이션 윤상철/상무이사 국제 공동제작 사례발표 (현) SK Broadband 상무이사(애니메이션 담당) 2014. 해외문화교류 국무총리 수상 2013. 프랑스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심사위원 2001. ‘i-multi pro’ 설립 ※삼지애니메이션, CGI 스튜디오 부회장 ※한국 프랑스 애니메이션 TV 시리즈 공동 제작자 애니메이션 홍성호/ CC0 극장용 애니메이션 사례발표 1990~ (현) 로커스 대표 2010. 대한민국 스토리공모대전 대상 수상 2000-2002. INKE (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 사장 역임 2000~ 싸이더스 설립 1988. MIT...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여름의 케이팝…"한국 관광 오세요" 2015-08-06
    • 알림소식 > 동영상뉴스
  • 한여름밤의 문화향연, 7월 ‘문화가 있는 날’ 2014-07-28
    • 관심과 활동들이 모여 문화융성의 시대를 열어 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위원회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7월의 문화가 있는 날(7월 30일)에 참여하기를 희망한 문화행사는 총 1,395개소(7. 23. 현재 기준)로, 전월 대비 약 100여 개소가 증가했으며, 이는 지난 1월 첫 시행(883개소 참여) 이후 최대치다.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는 다양한 문화 분야별 시설과 혜택 등의 안내는 ‘문화포털’ 사이트 내 ‘문화가 있는 날 통합정보안내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민간포털에서 ‘문화가 있는 날’을 검색하면 ‘바로가기’를 통해 웹페이지를 방문할 수도 있다. ☞ 문화가 있는 날 통합정보 안내 웹페이지: www.culture.go.kr/wday * 문체부 홈페이지(www.mcst.go.kr)의 알림창을 통해서도 이동 가능 붙임 1. 7월 문화가 있는 날 주요 공연 2. 7월 문화가 있는 날 지도(별첨)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융성위원회지원팀 사무관 하현진(☎ 02-739-5242), 주무관 남태평(☎ 02-739-524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7월 문화가 있는 날 주요 공연 붙임 2. 7월 문화가 있는 날 지도 (별첨)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한식정책협의회 발족식 열려(2015. 10. 21.) 2015-10-21
    • 알림소식 > 사진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