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100’에 대한 검색결과는 12498건입니다.

정확도 최신순 오름순 내림순 가나다순 오름순 내림순 인기순 오름순 내림순

알림소식: 12498건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 국내 콘텐츠산업 성장 지속, 최초로 수출액 60억 달러 돌파 2018-06-01
    • 11.1 10.1 지식정보 444,837 456,911 479,653 515,703 566,412 9.4 9.8 6.2 콘텐츠솔루션 149,912 155,201 167,860 175,583 188,495 3.1 7.4 5.9 합계 4,611,505 4,923,100 5,273,519 5,661,368 6,008,063 100.0 6.1 6.8 □ 콘텐츠산업 수입액 현황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비중 (%) 전년대비 증감률(%) 연평균 증감률(%) 출판 314,305 254,399 319,219 277,329 256,006 22.4 △7.7 △5.0 만화 5,286 7,078 6,825 6,715 6,554 0.6 △2.4 5.5 음악 12,993 12,961 12,896 13,397 13,668 1.2 2.0 1.3 게임 179,135 172,229 165,558 177,492 147,362 12.9 △17.0 △4.8 영화 59,409 50,339 50,157 61,542 44,838 3.9 △27.1 △6.8 애니메이션 6,261 6,571 6,825 7,011 7,324 0.6 4.5 4.0 방송 136,071 122,697 64,508 146,297 129,111 11.3 △11.7 △1.3 광고 779,936 652,701 501,815 323,604 364,550 31.9 12.7 △17.3 캐릭터 179,430 171,649 165,269 168,237 170,445 14.9 1.3 △1.3 지식정보 508 597 626 652 694 0.1 6.4 8.1 콘텐츠솔루션 453 505 536 544 551 0.0 1.3 5.0 합계 1,673,787 1,451,726 1,294,234 1,182,820 1,141,103 100.0 △3.5 △9.1 □...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016년도 문화콘텐츠산업실 16대 주요과제’ 발표 2016-03-03
    • 4 전국 작은 영화관 확대 영화 관람 여건이 열악한 문화소외지역에 100석 내외 규모로 건립되는 ‘작은영화관’은 올해 14개 기초지자체에 추가 지원(55억 원)이 된다. 현재까지 총 19개소가 개소했으며, 올해 말까지 총 33개소가 개관할 예정이다. ‘작은영화관’은 지역주민들이 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융성 정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문체부는 전국 어디에서나 최신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작은영화관’ 건립을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고전·다양성 영화 기획 및 상영전 개최, 찾아가는 영상미디어센터 사업(위고WeGo 영상나눔버스) 등 작은영화관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장기적 발전을 위한 작은영화관 평가지표 개발과 운영매뉴얼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5 온라인 영화상영관 통합전산망 구축․운영 영화 맞춤영상정보서비스(VOD, 이하 브이오디) 시장의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12년 2,158억 원 → ’15년 3,349억 원)함에 따라 문체부는 온라인 영화시장에 대한 다양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투명한 산업 환경과 공정거래 환경 조성을 유도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13년부터 주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IPTV, 이하...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체부, 추경 3,399억 원으로 일자리 확충, 경기보강 나선다 2020-06-03
    • 52억 원 160만 명 박물관 박물관 1인당 2천 원 할인쿠폰 제공 38억 원 190만 명 영 화 영화 1인당 6천 원 할인쿠폰 제공 88억 원 147만 명 숙 박 3~4만 원 숙박할인쿠폰 제공 290억 원 100만 명 관 광 공모 선정된 우수 국내관광상품 선 결제 시 30% 할인 97억 원 15만 명 체 육 실내체육시설 월 이용권 구매 시 3만 원 환급 122억 원 40만 명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한국판 뉴딜’ 사업 640억 원 투입 코로나19 이후 비대면·온라인 문화 확산에 대비한 ‘한국판 뉴딜’에도 추경예산 640억 원을 투입한다.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 사업(149억 원)으로, 예술인 2,700여 명이 온라인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1인당 제작비 평균 5백만 원을 지원한다. ‘스포츠 원격 코칭 시장 육성’ 사업(55억 원)은 헬스·요가 강사 등 민간 체육인력들이 기존 대면 수업에서 벗어나 비대면 스포츠시장에 진출하도록 돕는다. 비대면 스포츠지도 전문인력 600명을 양성하고, 직접 운동 영상을 제작·보급하도록 사업화 비용을 지원한다. 아울러 ‘그린뉴딜’을 추진하기 위해 393억 원의 예산을 편성, 일상 속 생활체육시설인 ‘국민체육센터’를 친환경...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낙후된 폐광지역 새로운 관광 중심지로 재탄생 2015-11-30
    • 및 관광시설 확충) 7,586 (3,793) 879 150 729 삼척 심포리 뷰티스마켓 (마을주민 참여 지역 특산품(포도,공예) 판매장 및 체험프로그램 운영) 7,732 (3,866) 885 140 745 태백 오로라파크 (폐철도부지 및 광산문화자원 활용 테마파크 조성) 9,373 (4,686) 217 - 217 태백 슬로우 레스토랑 (폐광(한보탄광)부지 활용 향토음식테마공간 조성) 13,184 (6,592) 1,526 260 1,266 태백 양대강 축제 (한강, 낙동강 발원지 테마 민속축제) 5,735 (2,867) 451 25 426 태백 모터사이클 페스티벌 (모터사이클 페스티벌 개최) 사업 재검토 25 25 - 태백 소방 및 야외교통 4D체험관 (365세이프 타운 내 소방 및 야외교통 체험시설 조성,안전체험 전문시설로 운영) 13,793 (6,896) 1,459 100 1,359 정선 창극 업그레이드 및 인프라조성 (정선 아리랑 보존 및 콘텐츠 발굴, 전문가 레지던시 운영) 11,000 (5,500) 1,138 47 1,091 공동 특화마을 만들기 (지역주민 주도 특화마을 16개소 조성) 25,274 (12,637) 3,422 503 2,919 영월 박물관 고을 활성화 프로젝트 (박물관 통합연계, 지오파크 및 지오캐싱 프로그램 운영 등) 3,564 (1,782) 510 210 300 영월 탄광지역 통합관광 지원센터...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문화의 힘으로 지역소멸 막는다 2023-03-23
    • 알리기 위한 노력도 이어간다. 지역별 문화자원을 활용한 특화콘텐츠 개발을 지원하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유·무형 문화자원인 ‘지역문화매력 100선’을 선정하여 국내외에 알린다. 또한 워케이션, 생활이 여행이 되는 생활관광(‘살아보기’) 등으로 지역 관광을 활성화하고, 지역 명소·상품 할인혜택이 주어지는 ‘관광주민증’ 발급(11개 지역) 등으로 생활인구를 유입하여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지난해 10월부터 강원 평창과 충북 옥천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는 ‘관광주민증’ 사업은 올해 2월까지 5개월간 발급자 수가 2개 지역 정주인구의 52%인 47,000여 명에 달한다. 지역발전을 이끌 문화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일자리 창출 한편, 지역의 청년들이 문화를 통해 자기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감수성을 키우고 이를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게 하는 정책들도 추진한다. 먼저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고도 문화·예술 교육을 받고 관련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 교육과 일자리 창출·매칭을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학교 교육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예술꽃 씨앗학교’)하는 한편, 올해부터는 초등학생들이 우리...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2012년 상반기 한국영화 관객 수 ‘역대 최대’ 2012-07-03
    • 알림소식 > 사진뉴스
  • 문체부, 국정과제의 본격 추진 위한 예산 편성한다 2017-08-29
    • / %) 구 분 ’17년 예산(본예산) ’18년 예산 전년대비 증감 예산액(a) 비 중 예산액(b) 비 중 증감액(b-a) 비율 총 합계 56,971 100.0 51,730 100.0 △5,241 △9.2 문화예술 16,000 28.1 15,947 30.8 △53 △0.3 콘텐츠 7,430 13.0 6,989 13.5 △441 △5.9 관 광 15,538 27.3 14,027 27.1 △1,511 △9.7 체 육 15,021 26.4 11,576 22.4 △3,445 △22.9 기 타 2,981 5.2 3,191 6.2 210 7.0 문체부는 새 정부에서 편성하는 첫 예산안에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필수 예산을 담아내는 데 주력해 ① 문화소외계층 지원과 문화‧체육‧관광 향유 확대, ② 예술인의 창작권 보장, ③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콘텐츠, 관광, 체육 분야 산업생태계 조성 및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련 부당하게 폐지‧축소된 사업 복원’ 등 3+1대 중점 과제에 전략적으로 재정을 투자하기로 했다. 3+1대 중점과제 편성기조별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 편성기조 및 주요 사업 >> ◇ 문화소외계층 지원 및 문화‧체육‧관광 향유 확대 근로자의 쉼표가 있는 삶, 근로자 휴가지원 사업 신규 추진 근로자․기업이 공동으로 여행자금을 적립할 경우 정부에서 1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해 주는 근로자 휴가지원...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예술인 생활안정자금융자 시행 2019-06-24
    • * 예술활동수입 월평균 100만원 미만 72.7% (2018 예술인 실태조사) ** 일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예술인이 77.5%, 예술인 대상 융자상품 운용 시 이용 의향이 78% (2017.11월 예술활동증명완료자 4,151명 대상 온라인 설문) ㅇ 예술인은 경제적 사각지대 뿐 아니라 서민정책금융*에서도 사각지대에 위치 * 일반 서민정책금융제도는 대출용도가 창업자금에 한정되거나, 자격요건(자영업자, 근로자 등)이 예술인에게 해당되지 않는 경우 많음 □ 사업 근거 ㅇ 복권 및 복권기금법 제23조(복권기금의 배분 및 용도) 제3항에 따라 ‘문화예술진흥사업’, ‘저소득층 등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사업’ 등 ㅇ 문화예술진흥법 제18조(문화예술진흥기금의 용도) 제5호 ‘문화예술인의 후생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 복권기금 문화예술진흥기금 ��공익지원사업 (복권 및 복권기금법 제23조) - 문화예술진흥사업 - 소외계층복지사업 - 서민금융활성화지원 ��문화예술인의 후생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 (문화예술진흥법 제18조제5호) □ 주요내용 ㅇ (사업내용) 긴급생활자금 소액 대출 등을 통해 경제적 안전망 제공 융자상품(안) [‘19년 8,000백만원(약 1,170명)] ∙예술인...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일상으로 돌아온 ‘문화가 있는 날’ 2014-06-23
    • 프로그램 비고 K리그 클래식 울산 ㅇ 행복 나눔 축구클리닉 - 내용 : 지역 내 아동센터 3곳 아동초청, 축구 클리닉·선수와의 만남 등 - 참가자/대상자 : 선수 6명/ 아동 80명 울산축구 연합회 주관 부산 ㅇ 학교방문 축구교실 - 내용 : 지역 내 초등학교(3개소) 방문, 축구교실 진행(2~4교시) - 참가자/대상자 : 코치 6명/ 초등학생 270명 맥도날드 후원 제주 ㅇ 클럽하우스 초청행사 - 내용 : 클럽하우스 투어 및 선수와의 만남 등 - 참가자/대상자 : 선수 4명/ 유아 100명 전남 ㅇ 학교 배식 봉사 - 내용 : 지역 내 중학교(1개소) 방문, 학교 배식봉사 및 선수와의 만남 등 - 참가자/대상자 : 선수 12명/ 중학생 100명 K리그 챌린지 대구 ㅇ 친선경기 개최 - 대구FC VS 콘사도레 삿뽀로 영남일보 주관 안산 ㅇ 학교방문 축구교실 - 내용 : 지역 내 초등학교(1개소) 방문, 축구교실 진행 및 선수와의 만남 - 참가자/대상자 : 선수 4명/ 초등학생 100명 광주 ㅇ 학교방문 축구교실 - 내용 : 지역 내 중학교(1개소) 방문, 축구교실 진행 및 선수와의 만남 - 참가자/대상자 : 선수 4명/ 중학생 70명 고양 ㅇ 학교방문 축구교실 - 내용 : 지역 내 초등학교(1개소) 방문,...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붙임파일
  • 예술경영지원센터 2023 예술분야 창업기업 지원사업 공모 2023-02-13
    • ..PAGE:1 - 1 - 2023 예술분야 창업기업 지원사업 공모 □ 공모명 1) 2023 예술분야 초기창업 지원 사업 공모 2) 2023 예술분야 창업도약 지원 사업 공모 3) 2023 예술분야 창업 특화(ESG) 지원 사업 공모 4) 2023 예술기업 글로벌 도약 지원 사업 공모 □ 공모 개요 ㅇ (공모목적) 예술분야 창업기업, 사회‧환경 문제 해결 기업육성 및 해외진출을 통한 글로벌 성장 기회제공 ㅇ (지원기간) 2023년 4월 ~ 11월 (약 8개월) ㅇ (지원대상 및 규모) □ 접수기간 및 방법 ㅇ (접수기간) 공고일 ~ 2023년 3월 10일(금), 15:00까지 ㅇ (접수방법) e나라도움(www.gosims.go.kr)을 통한 온라인 제출 ※ 자세한 사항은 각 지원사업별 ‘공모요강’ 참조 □ 예술경영지원센터 공모신청 바로가기 https://www.gokams.or.kr/01_news/notice_view.aspx?Idx=3385&page =1&txtKeyword=&ddlKeyfield=T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는 예술분야 예비 창업자 및 기업의 사업모델 개발과 투자연계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예술기업의 자생력을 제고하고 예술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2023 예술분야 창업기업 지원 사업 공고>를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공모명...
    • 알림소식 > 알림 붙임파일